열여덟 먹은 소녀가 감당하기엔 벅찬 삶이었을 테다. 영화의 마지막 장면, 로제타(에밀리 드켄 분)는 계란 하나를 삶아 가만히 껍질을 까고 한 입 베어 문 뒤 가스를 틀고 문틈을 수건으로 막는다. 옆 침대엔 술을 잔뜩 먹고 의식이 없는 엄마가 누워 죽은 듯 자고 있다. 로제타는 아무것도 보기가 싫은 듯 커튼을 치고 침대에 누워 계란을 씹는다. 쉭- 하고 새어나오는 가스소리가 좁은 캠핑카 안을 채운다.

가만히 새어나오던 가스가 어느 순간 멈춘다. 가스통이 텅 빈 것이다. 로제타는 일어나 지폐 두 장을 꺼내고 가스통을 들어 밖으로 나온다. 무거운 가스통을 끌다시피 들고서 관리인의 캠핑카로 향한다. 무거운 퍼런색 가스통을 새로 받아 제 캠핑카로 돌아오는 로제타의 뒷모습이 축 늘어진 듯 무겁다. 죽는 데도 돈이 들고, 죽는 데도 힘이 들고, 죽는 것도 마음처럼은 안 되는 것이다.

부천노동영화제(11월 2일~11월 12일) 마지막 날, 부천시 원미로 81에 위치한 전환을 꿈꾸는 공간 '열린' 강당에선 다르덴 형제의 역작 <로제타>가 상영됐다. 이 영화로 뤽 다르덴과 장 피에르 다르덴은 칸 영화제 황금종려상을 받았다. 주연인 에밀리 드켄은 여우주연상을 받았다. 벨기에, 나아가 전 유럽이 들썩였다. 영화가 겨냥한 것은 노동, 그 중에서도 청년의 노동이었다. 벨기에에선 큰 논란이 일었고 청년 노동을 위한 법률이 제정됐다. 법은 몇 년 지나지 않아 폐기됐으나 청년의 노동할 권리에 대한 논의는 멈출 줄을 몰랐다.
 
로제타 포스터

▲ 로제타 포스터 ⓒ 부천노동영화제

 
가난 속 분투하는 열여덟 로제타

영화는 지독한 가난으로부터 출발한다. 집 없이 캠핑장에서 알코올 중독 엄마와 사는 로제타는 억척스러운 소녀다. 열여덟, 아직 어린 나이에도 제게 일을 달라고 마트며 식당이며 공장을 찾아 제안한다. 그녀에겐 일자리가 필요하다. 일이 있어야 살 곳도, 먹을 것도 얻을 수가 있다.

로제타가 어른도 들기 힘든 밀가루 포대를 낑낑대며 옮겨서 붓는 일을 제게 달라고 몇 번이고 와플제조업체 사장을 찾아 들이대는 광경이 낯설기만 하다. 일을 남에게 준 사실을 알았을 땐 바닥에 드러눕고, 상대와 몸싸움을 벌이고, 저는 일을 해야 한다고 소리소릴 지른다.

로제타는 차들 씽씽 오가는 왕복 사차선 도로를 내달려서 구멍 난 철망을 들추고 물가로 들어선다. 물가에서 그녀는 직접 만든 낚싯줄로 송어를 낚는다. 운 좋은 날은 잡은 고기로 끼니를 때우고, 잡지 못한 날은 뭐든 사서 먹는다. 당장 입원치료가 필요한 만큼 알코올 중독 증세가 심한 엄마는 술을 마시기 위해 관리인에게 몸까지 판다. 로제타가 기댈 곳은 그 어디에도 없다.
 
로제타 스틸컷

▲ 로제타 스틸컷 ⓒ 부천노동영화제

 
제게 손 내민 이를 고발하는 소녀

로제타의 팍팍한 삶에도 서광이 비추려나. 와플제조업체에서 반죽을 받아 파는 직원 리케(파브리지오 롱기온 분)가 그녀에게 손을 내민다. 몰래 제 기계로 만든 와플을 팔아 딴 주머니를 찬 리케는 로제타에게 어떻게든 도움을 주려 한다. 그녀에게 은근한 연정을 품은 그이지만 로제타는 좀처럼 도움을 받으려 하지 않는다. 도리어 그의 비리를 사장에게 고발하기까지 한다. 그렇게 그녀는 리케의 일자리를 꿰찬다.

다르덴 형제의 영화는 언제나처럼 상징적이다. 엄마와 몸싸움을 벌이다 웅덩이에 빠진 로제타는 비명을 지른다. 발밑이 진흙이라 움직일수록 빠져든다고, 엄마에게 저를 꺼내 달라 도움을 요청한다. 그러나 엄마는 멀리 도망칠 뿐이다. 그녀에겐 이미 하나뿐인 딸조차 도울 여력이 없는 것이다.

바로 그 웅덩이에 리케가 빠지는 날이 있다. 그는 로제타를 도우러 그곳에 왔지만 로제타의 실수 탓에 그곳에 빠지게 된 것이다. 그런데 로제타의 행동은 보고 있는 관객을 경악시킨다. 로제타는 그를 구하지 않는다. 가만히 등을 지고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 그녀는 리케가 거의 죽게 되었을 즈음에서야 뒤늦게 나무막대기를 뻗어 그를 구하는 것이다.

혼자서는 발버둥 쳐도 나올 수 없는 위기가 곳곳에서 일고 있다. 의도치 않게 서로가 서로를 빠뜨리게 되고 서로를 돕지 않게 되고 그렇게 빈 자리를 제가 차지하는 세상이다. 일자리는 부족하고 누구도 속이지 않는 합법적인 일자리는 더욱 그렇다. 그 자리를 놓고 다른 이를 밀어 빠뜨리거나 빠진 이를 구하지 않는 일이 너무나 자주 일어난다. 그곳을 관리해야 할 관리자는 그 위험을 제거하는 대신, 송어낚시를 막을 뿐이다. 로제타도 리케도 본래 그들보다 못한 인간이 되어간다.
 
로제타 스틸컷

▲ 로제타 스틸컷 ⓒ 부천노동영화제

 
발 밑은 무너지고 사람들은 등을 돌리는데

인간성을 위협하는 부조리를 그대로 방치하고 그로써 더욱 조장하는 관리자는 누구인가. 일자리를 앗아가고, 제로섬 게임의 비인간성을 내버려두는 관리자가 곧 자본주의 그 자체처럼 여겨질 즈음 영화는 가장 노력하는 인간이 삶을 포기하는 광경을 관객 앞에 내보일 뿐이다.

영화 속 인간들의 삶은 밀가루 포대처럼, 가스통처럼 버겁기만 하다. 관객에게까지 그 무게가 훅하고 덮쳐드는 연출이 인상적이다. 로제타에게만이 아니다. 그를 해고한 사장 역시 홀로 온갖 짐을 옮기다가 숨을 몰아쉬며 주저앉는 모습을 영화는 사실적으로 내보인다. 그와 로제타의 관계가, 그와 리케의 관계가, 또 로제타와 리케의 관계가 서로 다르지 않다. 모두가 모두를 상대로 싸워서 겨우 제 살 터전을 얻는 게 다르덴 형제의 눈에 비친 현실이다.

1999년, 아직은 투박했던 다르덴 형제의 영화는 책임이 누구에게 있는지를 향해가진 못한다. 다만 무너져나가는 열여덟 소녀 로제타의 뒷모습을 집요하게 따르며 누구보다 생명력 있던 그녀가 마침내 스스로를 포기하기까지의 과정을 짚어내는데 집중한다. 그녀는 달걀을 까먹으며 죽고자 한다. 세상 어느 사회라도 달걀을 먹으려는 욕망이 있는 아이가 스스로 죽기로 결정하게 한다면 유죄판결을 피할 수는 없는 것이다. 욕망이 남은 인간이 삶을 저버리려 할 만큼 잔혹해서는 안 되는 것이다.

제9회 부천노동영화제는 20세기 말 벨기에의 현실을 다룬 <로제타>로 노동의 가치를 이야기한다. 올해 초 34세 이하 청년 40%가 연소득 2000만 원 미만이라는 통계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에서 발표됐다. 서울연구원은 서울 청년 52.9%가 스스로 경제적으로 빈곤하다고 생각한다는 조사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일자리를 두고 치열하게 경쟁하며 빈곤의 수렁으로 서로를 밀어내는 청년들이 20여 년 전 벨기에에만 있는 건 아닌 것이다.
 
로제타 스틸컷

▲ 로제타 스틸컷 ⓒ 부천노동영화제

 
덧붙이는 글 김성호 평론가의 브런치(https://brunch.co.kr/@goldstarsky)에도 함께 실립니다. '김성호의 씨네만세'를 검색하면 더 많은 글을 만날 수 있습니다.
로제타 부천노동영화제 다르덴 형제 벨기에 영화 김성호의 씨네만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영화평론가.기자.글쟁이. 인간은 존엄하고 역사는 진보한다는 믿음을 간직한 사람이고자 합니다. / 인스타 @blly_kim / 기고청탁은 goldstarsky@naver.com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