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예담(사진 오른쪽)이 중국의 스밍을 상대로 펀치를 날리고 있다.

서예담(사진 오른쪽)이 중국의 스밍을 상대로 펀치를 날리고 있다. ⓒ UFC 한국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제공


UFC는 종합격투기 선수라면 모두가 바라는 꿈의 무대다. 그런만큼 세계 최고 MMA 단체로의 진출은 역시 쉽지 않았다. 'ROAD TO UFC 시즌 3'를 디딤돌 삼아 UFC 입성을 노리던 코리안 파이터들의 희비가 엇갈렸다. 일단 '에피소드 1 & 2'에 출전한 한국선수 4명은 모두 고개를 떨궜다. 김한슬(33), 홍준영(33), 송영재(28), 서예담(32)은 18일(한국시간) 중국 UFC 퍼포먼스 인스티튜트(PI) 상하이서 있었던 'ROAD TO UFC 시즌 3: 에피소드 1 & 2'에서 패배의 쓴 잔을 마셨다.

시즌 1에 이어 ROAD TO UFC에 두 번째 도전한 '코리안 좀비' 정찬성(37)의 제자 홍준영은 다시 한번 레슬러의 벽을 넘지 못하고 무너지고 말았다. 완패였다. 페더급(65.8kg)으로 내려온 지난 시즌 라이트급(70.3kg) 토너먼트 준우승자 하라구치 신(25·일본)은 12번의 테이크다운을 성공하고, 12분여를 유리한 포지션에서 컨트롤했다. 홍준영은 레슬러에 맞설 대응 전략으로 니킥을 준비해왔지만 하라구치의 맷집을 뚫어내기에는 역부족이었다.

또 다른 정찬성의 제자 김한슬 역시 관문을 넘지 못했다. 박치기에 맞아 눈가가 찢어지는 악재 속에서 바하터보러 바터보라티(26·중국)에게 판정으로 역전패했다. 웰터급(77.1kg) 논토너먼트 경기에 출전한 장신의 김한슬은 1라운드에서 거리를 길게 가져가며 경기를 유리하게 이끌었다. 답답해진 바터보라티가 거칠게 밀고 들어오자 주특기인 왼손 카운터를 적중시키며 다운을 만들어냈다.

여기서 경기가 끝났으면 좋았으련만 바터보라티는 놀라운 내구력으로 살아남았다. 2라운드에서 예상치 못한 변수가 발생했다. 박치기에 흐름이 뒤집어 진 것이다. 바하터보러가 왼손 펀치를 던지며 들어가 클린치를 시도하는 과정에서 머리가 김한슬의 얼굴에 부딪혔다. 이에 김한슬의 오른쪽 눈가에서 피가 나며 경기 흐름이 바뀌기 시작했다.

바하터보라티는 테이크다운에 성공하며 2라운드를 가져갔고, 3라운드에도 잽과 클린치를 적극적으로 활용해 점수에서 앞서며 판정승(29-28, 29-28, 29-28)했다. 경기의 일부로 어쩔 수 없는 상황이었다고는 하지만 박치기로 흐름이 뒤바뀌었다는 점에서 두고두고 아쉬움이 남는 한판이었다.

'예능 매미' 김동현(42)의 제자 송영재는 또 다른 일본 레슬러 카와나 마스토(29)에게 무너졌다. 카와나는 그레코로만 레슬링 일본 전국체전과 23세 이하 세계선수권을 제패한 정상급 레슬러다. 송영재는 경기 시작부터 카와나의 레슬링 공세에 고전했다. 2라운드에는 카와나의 체력이 떨어진 틈을 타 강력한 펀치를 퍼부으며 흐름을 뒤집었다. 하지만 3라운드 카와나의 왼손 훅에 맞아 재역전을 허용했다. 송영재는 테이크다운을 시도하며 피니시 위기를 벗어났지만 남은 라운드 내내 불리한 포지션에서 컨트롤 당하며 석패했다.

여성 스트로급(52.2kg) 토너먼트에 출전한 서예담은 불의의 일격에 맞아 패배했다. 태권도 검은띠 스밍(29·중국)이 왼발 스위칭 헤드킥을 시도하는 과정에서 니킥이 서예담의 턱에 적중됐다. 서예담은 쓰러졌지만 가까스로 의식을 잃지 않고 스밍의 그라운드 앤 파운드와 서브미션을 방어했다.

서예담 특유의 맷집과 정신력이 돋보인 대목이었다. 심기일전한 그녀는 2라운드에 접어들자 테이크다운을 성공시키고 라운드 내내 상대를 그라운드에서 컨트롤해 승부를 원점으로 돌렸다. 3라운드에서 치열한 접전이 이어지며 혹시나하는 기대를 가지게 했지만 판정단은 만장일치로 스밍의 손을 들어줬다.

한편 중국은 2명의 우승자와 3명의 결승 진출자를 배출한 시즌 2의 상승세를 이어갔다. 8명이 출전한 중국은 7승 1패를 기록했다. 유일한 패배도 중국 선수끼리의 대결에서 나왔다. 신흥 격투 강국으로서의 위세가 돋보이고 있다. 더불어 일본도 2승 1패와 1부전승을 통해 전통적 강호의 자존심을 챙겼다. 이에 따라 ROAD TO UFC 시즌 3 준결승 진출자는 페더급 중국 2명, 일본 2명, 여성 스트로급 중국 3명, 일본 1명으로 결정됐다.
 
 기원빈(사진 오른쪽)이 일본의 사이카 타츠야를 몰아붙이고 있다.

기원빈(사진 오른쪽)이 일본의 사이카 타츠야를 몰아붙이고 있다. ⓒ UFC 한국 미디어커뮤니케이션 제공

 
18일 코리안 파이터 4명이 전패한 것과 달리 19일 같은 장소에서 있었던 '에피소드 3 & 4'에서는 코리안 파이터 4명 중 3명이 승리를 가져갔다. 유수영(28)과 최동훈(25)이 'ROAD TO UFC 시즌 3' 준결승에 진출했으며 기원빈(33)도 짜릿한 역전승으로 지난 시즌 실격패를 만회했다.

'유짓수' 유수영은 노세 쇼헤이(26·일본)에게 만장일치 판정승을 거두고 밴텀급(61.2kg) 4강에 진출했다. 기량에 더해 상성에서도 좋았던 탓일까. 시종일관 압도하는 양상으로 경기가 진행됐다. 유수영은 경기 내내 그라운드에서 같은 그래플러인 노세를 압도하며 한 수 위임을 입증했다. 경기 시작과 동시에 노세가 달려들어 테이크다운을 시도하고 그라운드 백포지션까지 장악했지만 거기까지였다. 유수영은 손쉽게 빠져 나와 역으로 백포지션을 장악했고 경기 종료까지 우세를 이어갔다.

경기 후 인터뷰에서는 "상대 그래플링이 워낙 뛰어나 내가 공격을 당하면 끌려간다는 생각에 오히려 먼저 그래플링을 시도했다"며 "많은 경험을 쌓아오면서 내 그래플링 실력을 의심하지 않게 되어 이길 수 있었다"고 말했다. 유수영은 준결승에서 오자키 렌(22·중국)을 꺾고 올라온 다얼미스 자우파스(24·중국)와 격돌한다.

최동훈은 지난 시즌 준우승자 지니우스위에(23·중국)를 스플릿 판정으로 꺾고 플라이급(56.7kg) 4강에 올랐다. 그야말로 종이 한 장 차이로 승부가 갈렸다. 최동훈은 로우킥과 펀치로 상대를 공략했고, 지니우스위에는 보디 펀치와 킥으로 맞섰다. 1라운드는 지니우스위에가 앞섰지만, 2라운드에 지니우스위에가 최동훈을 수플렉스로 넘기려다 오히려 하위 포지션에 깔리며 승부는 원점으로 돌아갔다. 3라운드에도 접전이 이어졌지만 결국 더 강력한 펀치를 적중시킨 최동훈이 이겼다.

최동훈은 경기 후 인터뷰에서 "기분이 너무 좋다. 상대가 작년 준우승자라 내가 이길지 몰랐지만 나를 믿었다"고 소감을 밝혔다. 이어 "이번 시즌 3를 다 쓸어버리겠다. 한국이 가져가겠다"고 큰소리쳤다. 최동훈은 준결승에서 존 데이브 알만자(20·필리핀)를 타격 TKO로 쓰러뜨린 앙가드 비시트(28·인도)와 격돌한다.

논토너먼트 라이트급(70.1kg) 경기에 출전한 기원빈은 난타전 끝에 2라운드 51초 펀치 연타에 의한 TKO로 사이카 타츠야(33·일본)를 쓰러뜨렸다. 기원빈은 1라운드 초반 상대의 펀치 연타에 맞고 녹다운 당하는 등 고전했지만 불굴의 투지로 버텨낸 뒤 후반 분위기를 반전시켰다. 2라운드에 지친 사이카를 케이지에 몰아넣은 후 펀치 연타로 경기를 마무리지었다.

지난 시즌 녹다운된 상대를 끝내려다 후두부를 가격해 실격패한 기원빈은 이번 승리로 명예를 회복했다. 그는 "계속된 도전에서도 알 수 있듯이 UFC는 파이터 인생의 가장 큰 꿈이자 목표다. 이미 두 번이나 탈락해서 좌절을 느끼던 순간도 있었지만 이렇게 조금이라도 기회를 다시 잡아서 꿈만 같다"는 말로 감격스런 심정을 드러냈다. 한편 밴텀급 토너먼트에 출전한 김규성(31)은 나카니시 토키타카(27·일본)의 그래플링에 무너지며 만장일치 판정패로 탈락했다.

☞ 관점이 있는 스포츠 뉴스, '오마이스포츠' 페이스북 바로가기
기원빈역전승 서예담석패 토너먼트 에피소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 디지털김제시대 취재기자 / 전) 데일리안, 전) 홀로스, 전) 올레 , 전) 이코노비 객원기자 / 농구카툰 크블매니아, 야구카툰 야매카툰 스토리 / 점프볼 '김종수의 농구人터뷰' 연재중 / 점프볼 농구카툰 'JB 농구툰' 연재중 / 점프볼 객원기자 / 시사저널 스포츠칼럼니스트 / 직업: 인쇄디자인 사무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