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BC스페셜-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기

MBC스페셜-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기 ⓒ MBC


매주 월요일, 제 자리로 돌아온 < MBC 스페셜 >은 세월호 4주기를 맞아 두 편의 특집을 마련했다. 그 중 하나가 지난 16일 방영한 끝나지 않은 세월호 학부모들의 이야기 '너를 보내고- 세월호 합창단의 노래'였다. 그리고 23일 아직 끝나지 않은 세월호 현장의 이야기를 또 한 편 다뤘다. 바로 그 바다에 목숨을 건 목격자였던 세월호 잠수사들의 이야기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기'이다.

시간이 어찌 흘러가는지 밥을 먹어야 하는 건지 아니 먹어도 되는 건지 잠을 자도 되는 건지 모를 상황이 흘러가고 있었다. 무조건 시신을, 아니 생사를 확인해야 했다. - 잠수사일기 중

사진이 한 장 있다. 건물을 빠져나오기 위해 서둘러 우르르 아래로 내려가는 사람들과 달리 건물 위로 거슬러 올라가는 소방관의 모습이 담긴. 지난 2001년 9월 11일, 미국 뉴욕 세계 무역 센터(wtc) 건물에 비행기로 추정되는 두 대의 검은 물체가 곧장 날아와 부딪쳤다. 건물은 연달아 폭발했고, 무너져내렸다.

이 사건으로 납치된 여행기 승객과 건물에 있던 사람 등 3500여 명의 사람들이 목숨을 잃었다. 사망자 명단에는 구조 활동 중에 순직한 소방관 343명과 경찰 23명의 이름도 올라있다. 1차 폭격이 있은 이후 발빠르게 불을 끄기 위해 1번 빌딩에 들어간, 그리고 사람들을 대피시키기 위해 2번 빌딩에 들어간 소방관들은 '건물이 붕괴된다'는 무전조차 제대로 받지 못했고 그래서 소방관들의 피해가 더 커졌다고 한다. 하지만 국가 재난 사고에서 발빠르게 움직인 '공권력'으로 인해 미국 국민들은 '국가는 위기에서 절대 국민을 포기하지 않는다'는 믿음을 확인했다.

70일간의 로그북, 헌신의 시간

 MBC스페셜-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기

MBC스페셜-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기 ⓒ MBC


재난의 현장에 제일 먼저 간 '공권력'. 그런데 우리는 어땠을까? 4년 전 그날 바다에서 아이들을 구하기 위해 발빠르게 검은 바다로 뛰어든 건 민간 잠수사들이었다. 지금 생각해 보면 '어불성설'이다. 당시 국가 재난의 현장엔 한 사람의 목숨이라도 더 구하기 위해 위험을 무릎쓴 민간인들이 있었을 뿐, 공권력은 무기력했거나 사건 은폐에 급급했다. 이후 4년이란 시간이 흘렀고, 그들의 그림자는 희미해졌다.

< MBC 스페셜 >은 비록 사라졌지만 끝나지 않은 '기억'의 봉인을 푼다. 잠수사들이 잠수를 하고 나서 남긴 기록인 잠수일지를 통해서 말이다. 일명 로그북으로 지칭되는 잠수일지에는 잠수했던 날짜, 장소, 시간, 입수지점, 수심, 기온, 특기사항이 적혀있다. 하지만 그동안 잠수사들은 차마 그 기록들을 공개할 수 없었다고 한다. 방송은 잠수사들이 70여일 동안 작성한 로그북을 기초로 세월호 참사를 가장 가까이서 목격했던 잠수사들의 이야기를 복원한다.

다섯 구의 시신을 인도하고 올라오니 감독관 "사람이 더 있드나" "더 확인해봐야 알겠습니다." "수고했고 실종자 가족이 물속에 상황을 듣고 싶어 하니 가서 얘기해 줘라." 저 편에 열 명쯤 되어 보이는 실종자 가족이 보인다. 그들에게 다가간다. 그들의 충혈된 애타는 눈빛을 보니 내 눈시울도 젖어온다. 어찌 얘기를 해야 될는지... - 잠수사의 일기 중

2014년 4월 전광근씨는 '세월호 전원 구조'가 오보라는 소식을 듣고 장비를 챙겨 참사 현장으로 달려갔다. 이미 천안함 인양에 참가했던 그는 현장에서의 잠수가 쉽지 않음을 경험했었다. 그렇게 세 아이들의 아버지 황병주씨, 해병대 출신의 한재명씨, 대학때부터 취미로 다이빙을 배운 백인탁씨 등 여러 명의 민간잠수사들이 그저 자신의 '잠수 경험'이 도움이 되었으면 하는 마음으로 현장에 달려왔다.

하지만 현장은 '구조 중'이라고 말하기도 무색하게 체계도, 장비도 갖추어지지 않은 상태였다. 많은 잠수사들이 '의욕'만 가진 채 서성이다 발길을 돌렸다. 사고 초기 잠수를 할 수 있었던 잠수사는 10명 정도 밖에 안 되었다. 이후 민간 잠수사들이 중심이 되어 유족들과 함께 수색 작업 체계를 만들어 수색에 돌입했다.

잠수라는 작업은 자칫 생명을 잃을 수도 있는 위태로운 과정이다. 그래서 산업 현장 등에서도 잠수사들은 하루 한 번만 잠수를 한다. 잠수를 하는 과정도 쉽지 않다. 잠수사들은 수압을 조절하며 서서히 내려갔다가 조심스레 올라와 감압탱크에 재빠르게 들어가야 한다. 그렇지 않으면 '잠수병'에 걸려 생명이 위태로울 수도 있기 때문이다.

"잠을 잘 수가 없었다. 눈을 감으면 오늘 수습한 희생자의 얼굴과 눈동자, 차디찬 하얀 손과 발들이 머릿속에 각인되어 환영으로 비추어진다." - 2014. 04. 26 잠수사 로그북 중

하지만 세월호 현장에서는 이 '원칙'을 지킬 수 없었다. 바다 속 희생자들은 서로 참혹하게 뒤엉켜 있었고, 유족들은 그들을 애타게 기다렸다. 슬프고 참혹한 현장의 목격자가 된 잠수부들은 하루 한 번이라는 원칙을 깨고 하루 네 번의 잠수를 감행했다. 또 수색이 어려운 세월호에서 한 구의 시신이라도 더 찾기 위해 보조장치도 포기한 채 무리한 잠수를 감행했다.

안타깝게도 그런 잠수부들의 열의와 헌신에 대한 세상의 평가는 냉정했다. 초기와 달리 점차 성과가 줄어들 수밖에 없는 현장에 대해 불만이 터져 나왔고 잠수부들의 헌신을 '돈'으로 깎아내리며 비아냥거리는 시선마저 등장했다. 수색이 장기화되면서 엎친 데 덮친 격으로 동료 잠수부까지 사고로 목숨을 잃는다. 이후 해경은 7월 10일 미수습자 11명을 남겨놓은 가운데, 잠수부들과 한 마디 논의도 없이 이들의 철수를 결정했다.

여전히 그 '바다'에 잠겨있는 잠수부들

 MBC스페셜-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기

MBC스페셜-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기 ⓒ MBC


그렇게 세월호 수색에 참가했던 민간 잠수부들은 불명예스럽게 세월호 현장에서 나왔다. 하지만 4년이 지난 지금 유족들만이 아니라 그들 역시 여전히 그 '바다'에 있다. 차마 부모들에게도 보여줄 수 없었던 세월호 현장에서 오로지 한 명의 시신이라도 더 가족 품으로 보내주고 싶다는 마음으로 위험을 무릎쓰고 뛰어들었던 잠수부들. 하지만 그 '무리했던' 여정은 이후 그들에게 고스란히 고통으로 돌아왔다.

"다시 집으로 돌아왔을 때, 예전의 일상으로 돌아갈 수 없다는 것을 깨달았다." - 잠수사 일기 중

잠수사들은 눈만 감으면 다시 그 바다에 가 있다고 했다. 어떤 이는 차라리 눈 앞에 아이들이 보이면 괜찮다고 했다. 처음엔 아이들의 형체로, 그 다음에 '시신'의 냄새로 더듬어 수색을 했어야 했던 경험은, 이제 그들에게 암흑 속 막연한 공포의 기억으로 남았다.

그들은 불안 장애, 우울증, 수면 장애, 심지어 자살 충동에 시달리며 '세월호 이전의 나'를 잃어갔다. 누군가는 잠수사 일을 그만두었고, 누군가는 늘상 화를 내는 등 성격이 변해 가족들을 걱정시킨다. 또 다른 누군가는 무리한 잠수로 신장병이 악화되어 투석을 하게 되었고, 다른 누군가는 세상의 차가운 시선에 '한국이 싫어' 외국을 전전하기도 한다. 그러다 결국 잠수사 중 한 명은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이들을 만난 정혜신 박사는 이들이 겪는 고통을 '죽음 각인'이라고 했다. 죽음이 일상화된 현장 속에 놓여졌던 이들은 삶과 죽음의 경계가 모호해지며 그 경계 너머로 자신을 이끌게 된다는 것이다. 정신과 의사의 말에 비로소 눈물을 터트리는 이들... 그들의 '트라우마'는 깊었다. 그리고 방송이 말하고자 하는 건, 바로 국가 재난 사태에 '의인'으로 참가한 이들에게 국가가 빚지고 있는 '부채'다.

미국의 9·11 테러로 순직한 소방관들은 'FNDY 343 NEVER FORGET'이란 문구로 새겨져 기억된다. 2005년부터는 소방관을 비롯한 일반인들이 이들이 올라갔던 쌍둥이 빌딩과 같은 110층 높이의 계단을 오르는 행사를 하며 '추모'의 정신을 이어간다.

우리는 어떨까? 2016년 6월 박주민 민주당 의원은 세월호 피해자에 잠수사들을 포함시키는 내용을 담은 '세월호 피해자지원 특별법 개정안'을 발의했지만, 당시 새누리당(현 자유한국당)의 반대로 통과가 되지 않았다. 이후 과거 '원칙에 맞지 않는다'고 밝혔던 정부가 입장을 바꾸면서 지난 2월 27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를 통과한 것으로 알려졌다.

세월호 4주기, 국가의 재난 현장에 발빠르게 달려왔던 잠수사는 말한다. '다시 그런 일이 생긴다면, 아마도 그곳에 가지 않을 것'이라고. 이제 국가를 위해 자신을 기꺼이 내놓은 이들 민간 잠수사들에게 '국가'가 답해야 할 차례다.

덧붙이는 글 이 글은 이정희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http://5252-jh.tistory.com)와 <미디어스>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MBC스페셜- 로그북 세월호 잠수사들의 일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