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함양에서 남강 줄기를 타고 남으로 내려가면 산청이다. 지리산에 한 발 더 다가서 지리산의 정취가 물씬 나는 고을이다. 멀리 지리산 줄기에서 흘러온 실개천이 반달모양으로 휘돌아가는 그윽한 곳에 한 마을이 들어섰다. 남사(南沙)마을이다. 산골고을 산청에 들어선 산골마을이다.
  
남사마을은 지리산 줄기 응석봉 자락에 남사천이 반달모양으로 휘돌아가는 그윽한 곳에 들어섰다. 사진 속에 키가 큰 회화나무 집이 이씨고가다.
▲ 남사마을 정경  남사마을은 지리산 줄기 응석봉 자락에 남사천이 반달모양으로 휘돌아가는 그윽한 곳에 들어섰다. 사진 속에 키가 큰 회화나무 집이 이씨고가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700년 이상 오래된 마을, 남사마을

진양하씨, 밀양박씨, 성주이씨, 연일정씨가 어울려 살고 있는 오래된 마을로 옛사람들 고매한 자취가 서려 있다. 진양하씨 하즙(1303-1380)과 아들 하윤원(1322-1376), 하즙의 외증손 진주강씨 강회백(1357-1402)은 이 마을 출신으로 마을 역사는 적어도 700년이 넘는 셈이다.

이를 말해주듯 하즙이 심은 원정매(元正梅)가 마을 안 하씨종가에, 강회백이 심은 정당매(政堂梅)가 마을 근처 단속사 터에 살아 있다. 모두 700년 가까이 된 고매(古梅)들이다.

진양하씨는 하연(1376-1453)으로 대(代)를 이어 남사마을에 뿌리를 굳게 내렸다. 하연은 하즙의 증손자로 세종대에 영의정까지 오른 인물이다. 그가 7세에 심은 감나무가 하씨고가 뒤뜰에 600년 넘는 세월을 보내고 있다.
  
남사와 700년 가까이 오래 세월을 함께하여 남사의 모든 일을 기억할 것만 같다.
▲ 하씨고가 감나무 남사와 700년 가까이 오래 세월을 함께하여 남사의 모든 일을 기억할 것만 같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진양하씨 외에 오래전부터 이 마을에 살붙이고 산 성씨가 성주이씨다. '이화에 월백하고'로 시작하는 <다정가>의 작가, 이조년(1269-1343)의 증손인 이제(?-1398) 후손들이다. 이제는 이성계의 사위로 1차 왕자의 난으로 이방원에 의해 목숨을 잃었다. 최근 이 문중에서 보관해오던 태조 이성계가 이제에게 직접 내린 '이제개국공신교서'가 국보로 승격되었다.

남사마을에 살고 있는 또 다른 성씨는 연일정씨. 정몽주의 후손들로 정씨고가를 짓고 살고 있다. 정몽주의 손자 정보(鄭保)가 이곳에 내려와 눌러 살았다 하는데 이는 정보가 단성에 유배된 후 이곳에서 죽은 사실에 기인한 것으로 보인다. 연일정씨 집으로 사양정사가 전한다.

남사마을에 거주하는 성씨로 밀양박씨를 빼놓을 수 없다. <난중일기>에 백의종군하던 이순신은 1597년 6월 1일 오후 늦게 산청에 도착하여 밀양박씨 박효원의 종집에서 유숙했다고 나온다. 이순신은 이 지역의 유력한 집안인 박효원의 내력을 알고 이곳에서 유숙했던 것으로 추측된다. 박효원의 재사(齋舍)로 니사재(尼泗齋)가 전하며 그 아래에 후손이 살고 있다.

남사마을은 마을의 역사에 비하면 아주 오래된 집이 없는 편이다. 하연과 강회백 그리고 걸출한 후손들이 남사에 눌러 살지 않고 이거하여 그런지 모르겠다. 이조년의 현손 이존성(?-1388)의 딸을 부인으로 둔 하연과 강회백은 동서지간으로 함께 이거하였다. 현재 남아 있는 옛집으로 이씨고가, 최씨고가, 사양정사를 꼽는다.

최씨고가와 사양정사
  
남사마을 옛담은 향토적 서정과 아름다움을 고이 간직하고 있어 마을담 자체가 등록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 남사마을 옛담  남사마을 옛담은 향토적 서정과 아름다움을 고이 간직하고 있어 마을담 자체가 등록문화재로 등록되어 있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남사의 보물은 뭐니 해도 옛담이다. 남사의 옛담은 향토적 서정과 아름다움을 고이 간직하여 마을담 자체가 등록문화재로 등록되었다. 옛담은 집과 집을 이을 때 생명력을 갖게 되며 생명력을 얻은 담은 서로 어울려 특유의 공간을 만들어 낸다. 가장 눈여겨볼 만한 공간이 고가들의 진입공간이다. 어쩌면 남사의 옛집보다 옛집들의 진입공간이 더 매력적인지 모른다.

최씨고가는 마을에서 제일 큰집이고 마을 한가운데 있어도 집으로 들어가는 길이 'ㄱ' 자로 꺾여 집이 거의 드러나지 않는다. 사양정사의 뒷담과 정씨고가의 외벽, 최씨고가의 행랑채 뒷마당을 둘러싼 담으로 생긴 길이다.
  
‘ㄱ’자로 꺾여 긴장감이 도는 공간이다. 봄철에는 정씨고가 정씨매의 매화향이 담을 넘어 골목 안에 매화향이 가득 고인다.
▲ 최씨고가 진입공간 ‘ㄱ’자로 꺾여 긴장감이 도는 공간이다. 봄철에는 정씨고가 정씨매의 매화향이 담을 넘어 골목 안에 매화향이 가득 고인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집주인은 'ㄱ' 자 모양이 되도록 행랑채 외담을 쌓아 다분히 의도적으로 진입공간을 설정 한 것으로 보인다. 큰 회화나무를 기준으로 담을 꺾어 놓아 공간을 더 극적으로 연출하였다. 집 규모에 비하면 대문은 소박하다. 진입공간의 크기에 맞춰 눈에 거슬리지 않게 하였다.

사랑마당은 넓다. 사랑마당 한쪽에 자라는 150년 된 최씨매는 대문 곁에 있던 400년 된 매화나무가 죽은 뒤 후계목으로 심은 나무라 하니 이 집이 비록 1920년에 세워지긴 했어도 집안의 연륜은 깊은 셈이다.

마을에서 가장 깊숙이 있는 집은 사양정사(泗陽精舍)다. 연일정씨 정제용(1865-1907)의 아들 정덕영과 손자 정종화가 남사로 이전한 뒤, 1920년대에 지은 정사다. 정사 앞집은 하씨고가, 옆집은 정씨고가, 뒷집은 최씨고가로 사방이 둘러싸여 있다. 사양정사 가는 길은 높고 깊어 아늑하고 포근하다.
  
사양정사 가는 담길은 높고 깊어 아늑하다.
▲ 사양정사 진입공간 사양정사 가는 담길은 높고 깊어 아늑하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정몽주 후손 정제용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정사로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엄청나게 크게 지었다.
▲ 사양정사 정몽주 후손 정제용을 추모하기 위해 지은 정사로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엄청나게 크게 지었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풍부한 경제력을 바탕으로 허세를 부렸는지 엄청나게 크게 지었다. 일제강점기 신흥부호들 사이에 유행한 건축양식을 따른 거로 보면 되지만 뒤편의 낮은 굴뚝과 동쪽 누마루 밑 겸손한 기단굴뚝을 보면 마냥 허세만 부린 것은 아니다. 옆집 정씨고가 굴뚝처럼 당시 유행한 붉은 벽돌로 크고 화려하게 만들 법 했지만 정사 굴뚝이라 자제한 듯하다.

이씨고가와 굴뚝

최씨고가 서쪽에 성주이씨 집들이 몰려 있다. 이씨고가를 중심으로 바로 앞에 성주이씨 제실로 사용되는 남호정사(南湖精舍)가 있고 몇 집 건너 520년 묵은 향나무 집 사효재(思孝齋)가 있다. 이씨고가의 진입공간은 남사에서 제일 인기가 많은 길이다. 양쪽이 담으로 된 직선 길로 가운데 회화나무 두 그루가 교구(交媾 성교)하는 듯 서로 교차하며 자라고 있다.
  
몸 섞어 자라는 두 그루의 회화나무는 용의 불기운을 누그러트리려 심었다 한다. 부부가 이 나무 아래를 지나면 백년해로한다 하여 남사에서 제일 인기가 좋다.
▲ 이씨고가 회화나무 몸 섞어 자라는 두 그루의 회화나무는 용의 불기운을 누그러트리려 심었다 한다. 부부가 이 나무 아래를 지나면 백년해로한다 하여 남사에서 제일 인기가 좋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바른네모꼴 대문을 통해서 본 이씨고가 진입공간은 액자 속 그림처럼 보인다. 이 길은 교구하듯 몸을 섞은 두 그루 회화나무 덕택에 더 이상 밋밋하지 않다.
▲ 이씨고가 대문과 진입공간 바른네모꼴 대문을 통해서 본 이씨고가 진입공간은 액자 속 그림처럼 보인다. 이 길은 교구하듯 몸을 섞은 두 그루 회화나무 덕택에 더 이상 밋밋하지 않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마을이 쌍용교구(雙龍交媾)지형이라 용의 불기운을 막기 위해 심었다 하는데 부부가 이 나무 아래를 지나면 백년해로한다는 재미난 얘기도 들린다. 바깥사람들에게 집이 드러나지 않게 하고 다소 민숭민숭한 직선 길에 변화를 준 것이다.

이씨고가 안채는 1700년대 초에 건립되어 이 마을에서 가장 오래되었고 사랑채는 200년 뒤 1900년대 초반에 세워졌다. 사랑마당 한가운데 서 있는 굴뚝이 인상적이다. 사람 허벅지 높이까지 기단을 만들고 그 위에 붉은 벽돌을 곧게 쌓아 멋이라고는 전혀 없는 무뚝뚝한 굴뚝이다. 마당 한가운데 굴뚝이라니 사연이 궁금하기만 하다.

이는 풍수와 관련이 있다. 마당 한가운데의 굴뚝자리는 용이 지나가는 자리로서 용의 불기운이 이 굴뚝을 통해 빠져나가게 했다는 것이다. 불기운을 막기 위해 집 앞에 회화나무를 심은 이치와 같다.
  
마당 한가운데에, 정확하게 사랑채의 반을 나누는 자리에 굴뚝이 서있다. 멋없는 굴뚝이라 장식용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많은 이가 풍수 굴뚝으로 여기고 있다.
▲ 이씨고가 굴뚝 마당 한가운데에, 정확하게 사랑채의 반을 나누는 자리에 굴뚝이 서있다. 멋없는 굴뚝이라 장식용으로 보이지는 않는다. 많은 이가 풍수 굴뚝으로 여기고 있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민간싱앙과 관련 있는 굴뚝으로 보고 있다. 굴뚝에 짚을 둘러 사악한 기운을 막으려한 것이다.
▲ 정동호가옥 굴뚝 민간싱앙과 관련 있는 굴뚝으로 보고 있다. 굴뚝에 짚을 둘러 사악한 기운을 막으려한 것이다.
ⓒ 김정봉

관련사진보기

 
참고로 풍수 굴뚝처럼 민간신앙과 관련 있는 굴뚝이 있다. 예산 정동호가옥의 짚가림 굴뚝이다. 굴뚝목까지 짚으로 두른 굴뚝이다. 화재의 위험을 무릅쓰고 굴뚝을 짚으로 두른 것은 아이를 낳을 때 금줄을 내걸거나 장독에 짚을 둘러 악귀와 질병, 액을 막은 것과 같은 의도다. 굴뚝에 짚을 둘러 집으로 들어오는 사악한 기운을 막으려 한 것이다.

태그:#남사마을, #이씨고가굴뚝, #최씨고가, #사양정사, #남사마을굴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美不自美 因人而彰(미불자미 인인이창), 아름다움은 절로 아름다운 것이 아니라 사람으로 인하여 드러난다. 무정한 산수, 사람을 만나 정을 품는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