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20년 1월 28일부터 2월 25일까지 페루 도자기 여행을 다녀왔다. 2월 첫 주 페루의 쿠스코주, 피삭에서 열린 제1회 라틴도예가들의 축제 '잉카 길의 흙(Barro del Qhapaq Nan)' 참여를 시작으로 그곳에서 인연이 된 도예가들과 남미 지인들의 소개를 통해 연이 닿은 '흙'을 재료로 살아가는 사람들을 만나는 여정은 짧게나마 '잉카의 길'을 걸어보는 시간과 같았다. 그 만남의 이야기를 담았다.

*Qhapaq Nan이란, 페루 원주민 언어 케추아어로 '잉카의 길'을 뜻한다. 'qhapaq'는 '부'를 의미하고 'nan'은 길을 의미하여 '부의 길'로 해석되기도 한다. 잉카 제국시절 새로이 만들어진 길이 아닌 이미 존재했던 길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4만 킬로미터가 넘는 길로 알려져 있다.?[편집자말]
페루 여행자들에게는 다소 낯선 도시, 아야쿠쵸(Ayacucho)로 가는 길은 편하지 않았다. 쿠스코에서 야간버스로 17시간. 직행버스는 하루에 한 대뿐이었고, 우기여서 가는 길이 문제가 생기는 날이면 그마저도 운행을 안 할 수도 있었다.

4000고지가 넘는 고산지대를 넘어가는 길이라 귀가 막혔다 뚫렸다하며 아파서 잠도 제대로 못자며 고생을 했다. 하지만 이런 고생을 하고 그야말로 '굳이' 아야쿠초를 간 보람은 있었다. 그것은 이 도시에서 우연히 마주친 두 개의 작품 때문이었다. 이 만남은 그냥 지나치던 페루의 역사 한 켠을 잠시 머물러 들여다보게 해 주었다.

가족의 흙을 이어 빚는 도예가, 로사리아 띠네오
 
로사리아 집안의 대표 도자기인 피규어 피리
 로사리아 집안의 대표 도자기인 피규어 피리
ⓒ 신주희

관련사진보기


페루 도예축제에서 만난 로사리아 띠네오(Rodaria Tineo, 아래 로사리아) 도예가의 집 겸 공방은 아야쿠초 시내에서 오토바이 택시 툭툭을 타고 어딘지도 모를 언덕을 한참 올라가서야 도착했다. 

도예축제에서 로사리아를 보았을 때도, 그녀의 공방에서 잠시 이야기를 나눌 때도 나는 그녀가 페루의 전통도예를 소박하게 하는 도예가쯤이라고 생각을 했다. 하지만 그녀가 무심히 내어 놓는 신문기사, 책들을 살피다 보니 아야쿠초, 아니 페루에서도 이름있는 레온시오 티네오(Leoncio Tineo,1924-1996) 장인의 딸로 3대째 그들 가족 도자기 전통을 이어오는 유명한 도예가라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그녀의 할머니 마리아 오초아(Maria Ochoa)로부터 시작된 흙으로 만든 피규어 피리는 매우 독창적이어서 아야쿠초 도자기의 한 캐릭터로 자리잡았고 그녀의 아버지로 이어지며 더 공고해졌다. 가족 중에 이를 이어갈 사람이 없었는데 로사리아가 18살에 뒤늦게 본격적으로 도예를 시작하며 그 전통이 이어지고 있었다.
 
페루 분쟁의 역사를 담은 로사리아의 작품
 페루 분쟁의 역사를 담은 로사리아의 작품
ⓒ 신주희

관련사진보기

   
페루 분쟁을 담은 로사리아의 작품
 페루 분쟁을 담은 로사리아의 작품
ⓒ 신주희

관련사진보기


로사리아의 작고 귀여운 작품들을 구경하다가 그 사이에 전혀 결이 다른 인상적인 작품을 발견했다. 고문 장면을 묘사한 작품이었다. 로사리아는 1980년에서 2000년의 페루 분쟁의 역사를 담은 작품이라고 말했다. 그녀의 가족이 이 역사의 직접적인 희생자이기도 했다. 작품들은 2년 전 아야쿠초의 예술가들이 이 페루 분쟁의 역사를 주제로 공동 전시를 할 때 만든 작품들이었다.

"당시에 이웃들이 부모님을 좌파로 지목했어. 왜 그랬는지 모르겠어. 아버지는 어머니가 보는 앞에서 심하게 고문을 당하고 감옥에 갇혔지. 그때는 정말 힘든 시기였어. 아직도 그때의 희생자들이 많이 남아 있지."

페루의 역사를 단편적으로만 알고, 실제로 어떻게 사람들의 삶에 영향을 미쳤는지 무지했던 나는 로사리아의 작품을 본 후 다시 인터넷으로 역사를 살펴보았고, 그제서야 내가 방문한 아야쿠초가 페루 분쟁의 시작이자 중심지였음을 알게 되었다. 그리고 그 당시 많은 사람들이 다른 도시로 이주를 했고, 수공예를 하는 사람들도 다르지 않았다고 한다.

"내가 기억하는 이야기를 남기지 않으면 누가 그것을 지켜줄 수 있을까. 그래서 계속 그 이야기를 빚지. 그리고 나는 마지막 순간까지 나의 흙에서 아버지의 이름을 이야기 할 거야."

그 문을 열면 만나는 과거, 레 따블로와 '마마 앙헬리까'
 
'레따블로retablo'는 아야쿠초의 대표적 수공예이다. 나무 집 모양의 문을 열면 그 안에 작은 모형들이 다양한 이야기를 보여준다. 인터넷으로 작품을 보았을 때 나는 집 안의 모형들이 흙으로 만들어진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직접 만난 레따블로의 재료는 전혀 달랐다.

석고가루와 지역의 감자를 으깨 섞어 만든 재료였는데 과연 제대로 된 점성을 가질 수 있는지, 강도는 괜찮은지, 시간이 지나면 부패되지는 않는지 의심이 들었지만 직접 만드는 것을 보니 신기하게도 쫀득쫀득한 지점토 형태가 되고 조형 후 굳으면 마치 석고가 굳듯 단단해져서 몇 백 년도 끄떡없다고 했다.
  
레따블로 수공예를 볼수있는 레따블로의 집.
 레따블로 수공예를 볼수있는 레따블로의 집.
ⓒ 신주희

관련사진보기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레빠들로
 다양한 이야기를 담은 레빠들로
ⓒ 신주희

관련사진보기

 
아야쿠초 시내 외곽에 있는 레따블로의 집(casa de retablo)은 이 수공예를 잘 볼 수 있는 곳이다. 레따블로 수공예 장인 실베스트레 아따우꾸시(Silvestre Ataucuci, 아래 실베스트레)가 자신의 집을 확장하여 전시와 박물관의 기능을 함께하는 공간을 열었다.

레따블로의 탄생은 스페인 식민지 시절이었다. 가톨릭 포교를 목적으로 대리석으로 상자 형태의 성당을 들고 다닌 것이 전신이다. 이후 대리석이라는 재료가 너무 비싸서 다른 재료로 실험들이 되었고, 안에 있는 모형을 보호하기 위해 문도 만들어졌다. 지역 예술가들이 이 방법을 배우기 시작하면서 종교적이었던 주제는 점점 관습과 역사, 생활문화로 다양하게 변해 갔다.

레따블로의 집에는 실베스트레의 작품뿐 아니라 아야쿠초 곳곳에서 수집된 의미있는 작품들도 전시되어 있었는데 나의 시선을 잡는 한 작품이 있었다. '앙헬리까(Angelica)라는 이름을 단 작품이었는데 다른 작품들의 화려한 색감과는 달리 어둡고 슬픈 이야기를 담고 있는 듯했다.
  
'마마 앙헬리까'의 이야기를 담은 레빠블로, John deiuis ataucusi 작
 "마마 앙헬리까"의 이야기를 담은 레빠블로, John deiuis ataucusi 작
ⓒ 신주희

관련사진보기

 
레따블로 안의 주인공인 '마마 앙헬리까'는 페루 분쟁 역사 안에서 '정의와 평화의 상징'으로 알려진 여성이다. 1983년 어느 날 그녀의 아들이 이유없이 잡혀가서 사라지고, 남편도 살해되었다. 2년 동안 아들을 찾아 헤매었던 그녀는 다섯 명의 다른 실종자들의 어머니들과 연합을 만들었다.

그녀의 침묵을 깨는 이런 움직임은 다른 사람들의 연대를 불러와 수백 명의 사람들이 함께 싸우기 시작했다. 이후 이 움직임의 노력으로 100여 명의 유골이 발견되기도 했고, 수감자들이 풀려나기도 했다.

그리고 지금까지도 수많은 실종자와 수감자에 대한 진실공개와 진상규명 요구가 이어지고 있다. 마마 앙헬리까는 2017년에 돌아가셨는데 그 순간까지도 아들을 찾고자 했지만 결국 발견하지 못했다고 한다. 이 고통의 역사가 레따블로 안에 담겨 이야기를 건네주고 있었고, 나는 한참을 그 앞에 머물며 그 이야기를 들었다.

"레따블로는 과거의 공간이라고 생각해요. 그 안에는 작가의 과거, 경험 기억들이 담겨 있죠. 작가의 기억과 기록에 따라 변해가는 것이 레따블로입니다."

실베스트레 장인의 말처럼 레따블로가 하나의 과거를 담는 상자라면 '앙헬리까'는 한 여성의 아픔과 투쟁의 시간을 담은 상자로 그렇게 내 앞에서 문을 열었다.

오늘을 빚는 이야기
 
아야쿠초에서 만난 이 두 작품은 예술가의 작품이라는 것이 얼마나 중요한가, 하는 것을 다시한 번 생각하게 했다. 백번 글로 읽어도 잘 이해가 되지 않던 사실은 로사리아의 작품으로, 레따블로의 집에서 본 작품으로 다시 읽히고 그제서야 비로소 머리에 한 줄 정도의 기록을 남겼다.
  
아야쿠초 도예가 로사리아
 아야쿠초 도예가 로사리아
ⓒ 신주희

관련사진보기

 
"꿈이 있다면 공방을 조금 더 넓혀서 손주들 같은 아이들을 가르치고 싶어. 아이들이 배우지 않으면 언젠가는 아야쿠초의 도자기는 사라질테니 말이야."


로사리아 도예가의 소박한 꿈처럼 높은 언덕, 로사리아의 작은 작업실에 보글보글 아이들의 흙놀이가 벌어지는 모습을 상상해 본다. 그리고 앞니 없이도 환하게 웃고 있을 지금보다는 조금 더 할머니가 되었을 로사리아도 말이다. 로사리아가 빚었던 오늘은 과거가 될 것이고 아이들의 흙은 그 시간의 오늘이 될 것이다.

지금 무언가를 빚는다면 어떤 오늘을 그 것에 담아야 할까. 그렇게 담긴 시간은 누군가의 걸음을 잠시 멈추게 할 어떤 기록이 될 수 있을까. 그런 조금은 거창한 생각을 해본 여정이었다.
 
*페루분쟁 :  1980년부터 2000년, 지금도 일부 진행 중인 페루 정부와 반군 사이의 분쟁이다. 페루 공산당의 무장조직인 인민유격대(Ejército Guerrillero Popular)가 정부군과 항쟁하고 있다, 1980년 이래로 페루 분쟁으로 70,000명의 사람이 죽은 것으로 추산된다. 분쟁으로 인해 발생한 희생자의 절대 다수는 민간인이다. 분쟁에 참여중인 모든 세력은 민간인 살해에 책임이 있다. 페루 분쟁은 콜롬비아 분쟁, 과테말라 내전에 이어 세 번째로 긴 라틴아메리카 분쟁이다. (위키백과 참조)

태그:#페루도예가들, #페루아야쿠초, #페루분쟁, #페루역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흙, 예술치료, 스페인 문화&언어, 글쓰기로 삶의 형태를 만들어갑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