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바른지역언론연대

관련사진보기



2008년 2조6천억 원에서 10년 후 1조 원 증가
본사-지사간 유출·타지 근로자 순증 등 원인


소득 역외유출이 갈수록 심화하고 있다. 지역에서 벌어들이는 돈보다 빠져나가는 돈이 증가하고 있는 것. 한국은행 강원본부는 지난 9일 강원지역 GRDP의 구조적 특징 및 시사점 보고서를 통해 이러한 내용을 발표했다. 

가령, 지난해 원주에서 100만 원어치 제품과 서비스를 생산했다고 가정해보자. 35만 명의 원주시민이 이에 대한 보상으로 90만 원을 받았다면 나머지 10만 원은 역외 유출금액이 된다.

즉 자본의 역외유출 현상은 지역총소득이 지역총생산보다 작을 때 발생한다. 대형마트처럼 원주에서 발생한 수입이 서울 본사로 귀속된다거나, 다른 지역 주민이 원주에서 일하고 떠나는 사례가 대표적이다. 원주에 부동산을 소유한 서울 사람이 정기적으로 임대료 등을 받는 것도 역외유출에 포함된다.

강원도는 역외유출이 갈수록 커지는 모양새다. 한국은행에 따르면 2018년 도내 역외유출액(지역총소득액-지역총생산액)은 3조6천268억 원이었다. 2008년에는 2조5천896억 원을 기록했다.

10년 전과 비교해 유출 규모가 1조372억 원 커진 것이다. 한국은행 강원본부 신동수 과장은 "본사-지사 간 유출, 타지 근로자의 역내 유입 등이 주된 원인"이라며 "이는 도내 정주 여건이 미흡하고 기업부문 소득이 취약해 발생한다"고 말했다. 

실제로 강원도 임금근로자 보수는 취업자의 역외 순유입과 접경지역 특이성에 기인해 순유출이 지속되고 있다. 한국은행이 추산한 도내 피용자보수 순유출액은 2008년 1조1천억 원이었지만 2018년에는 1조9천억 원까지 늘어났다.

영업잉여 순유출액 또한 2008년 2조7천억 원에서 2018년 3조6천억 원까지 확대된 상태다. 한국은행은 "제조업이 발달한 지역에선 본사가 위치한 대도시로 영업잉여가 유출되는 모습을 보이지만, 강원지역은 낮은 제조업 비중에도 영업잉여 유출 현상이 발생하고 있다"고 진단했다. 

상가나 주택 임대료도 역외유출 요인으로 작용할 가능성이 크다고 했다. 강원지역 주택의 외지인 소유 비율은 2018년 15.8%에 달했는데 이는 전국 평균 13.5%보다 1.3%포인트 높은 수치였다. 게다가 도내 정주 여건이 수도권이나 광역시에 비해 미흡한 점도 순통근유입인구 증가 요인으로 작용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러나 유출액 규모가 크다고 해서 지역경제에 큰 해를 끼쳤다고 단정 지을 수는 없다. 역외유출액 산정은 통계청 자료를 바탕으로 내린 결과여서 해석상 유의할 필요가 있기 때문. 

예를 들어 도내에서 복역하는 군인의 인건비, 퇴직금, 복리후생비, 포상비 등은 피용자 보수 생산계정에 잡히지만, 소득계정에는 이 중 일부만 포함돼 순유출 규모가 과대 계상되는 부분이 적지 않다. 

타지역에 본사를 둔 대기업 계열사를 도내로 유치할 경우, 지역경제에 미치는 긍정적인 영향도 무시할 수 없는 부분이다. 수도권 기업이 원주에 공장이나 연구소를 짓고 종업원을 고용하면 소비 증가 등의 경제 활성화 요소가 발생하기 때문이다. 한국은행은 역외유출액만을 놓고 지역경제 전체를 재단하는 것은 조심해야 한다고 조언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원주투데이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원주투데이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지역언론연대는 전국 34개 시군구 지역에서 발행되는 풀뿌리 언론 연대모임입니다. 바른 언론을 통한 지방자치, 분권 강화, 지역문화 창달을 목적으로 활동합니다. 소속사 보기 http://www.bjynews.com/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