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2020년 11월 27일 금요일, 금오름나그네들이 안덕면 상창리에 있는 대병악과 소병악에 올라갔다. 표선에서 40km가 넘는 거리다. 가시리 슈퍼 앞에서 오후 2시에 만났다. 다리가 좀 아픈 이 여사를 빼고 7명이 모였다. 차 2대로 출발한다.

상창리에 들어섰더니 안내판이 하나 있다. 병악에 대한 안내문이다. 대병악과 소병악이 생김이 닮아 쌍둥이라고 불렀다고 한다. 동네 사람들은 큰오름, 족은오름이라고 편히 부른다고 한다. 대병악은 달리 여진오름이라고도 하는데, 오름 정상이 여인의 머리 얹은 모습과 같다고 해서 그렇게 부른다고 한다.
 
큰병악, 작은병악을 한데 묶어 병악오름이라고 합니다. 이 두 오름이 많이 닮았다고 해서 '골른 오름' 또는 '골래기'(쌍둥이의 제주어)라고도 합니다. 산이 높아 산정사에선 인근 마을과 임야지가 훤히 내려다보이므로 산화 감시장소로도 활용하고 있는 곳입니다. (안내판 글)

안내판 있는 곳에 올라가는 길도 나 있다. 그래도 대병악을 먼저 올라가야 할 것 같아 네비게이션이 알려주는 대병악으로 더 간다. 상창리를 벗어날 즈음 대병악이 나왔고, 입구도 보인다. 주차하고 우린 입구를 찾아간다.
 
저 멀리 산방산이 보이고 대병악이 가까이 보인다.
▲ 대병악과 산방산 저 멀리 산방산이 보이고 대병악이 가까이 보인다.
ⓒ 신병철

관련사진보기


좋은 길이 있어 길따라 간다. 그런데, 저쪽 오름 아래자락에 오름 입구 같은 게 보인다. 가까이 가 보았더니 계단길이 위로 나 있다. 우리는 출발점으로 후퇴해서 입구로 들어간다. 입구를 제대로 찾아야 고생하지 않는다. 천만다행이었다.

소병악에서 산방산 쪽으로 보면 대병악이 저렇게 보인다. 오름의 옆면을 보니 뾰족한 산처럼 보인다. 뾰족한 정상이 앞뒤로 쭉 이어져 있다. 오른쪽 방향 즉, 분화구 터진 쪽에서 보면 부채 편 모양처럼 보인다. 말굽형 분화구라는 뜻이다.
 
잡목숲 사이로 계단길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 대병악 올라가는 길 잡목숲 사이로 계단길이 끊임없이 이어지고 있다.
ⓒ 신병철

관련사진보기


올라가는 길은 계단길이 많다. 조성한 지 오래된 것 같다. 나무에 밧줄을 걸어 놓았다. 올라가는 데 부담을 많이 줄여 주는 밧줄이다. 경사가 급한 길이 계속 이어지고 있다.

비고가 132m이니 제법 힘들다. 힘이 들 땐 아무 말이 없다. 스틱을 짚어가며 한 발 한 발 올라간다. 그러면 어느새 하늘이 넓어지고, 정상이 보인다. 정상 옆에 저 멀리 산방산이 검게 솟아 있다. 정상과 산방산이 멋진 조화를 이루고 있다. 
 
대병악 정상에서 남쪽의 전망이 좋다. 산방산과 송악산과 바다가 멋있다.
▲ 대병악 정상 대병악 정상에서 남쪽의 전망이 좋다. 산방산과 송악산과 바다가 멋있다.
ⓒ 신병철

관련사진보기


정상에는 긴 의자 세 개가 나란히 앉아 있다. 남쪽으로 바다가 보인다. 산방산 부근의 작은 섬들까지 어렴풋이 보인다. 산 아래가 보이지 않고 저 멀리 평야가 펼쳐져 있으니 절벽에 올라선 느낌이다. 반야선을 타고 사바세계를 통과하는 듯하다.

이쪽저쪽 전망들을 즐긴다. 높은 데 올라가면 넓은 세상이 보인다. 높은 산이 주변에 없는 제주는 특히 더 그렇다. 올라온 방향 반대쪽으로 내려가는 길이 있다. 내려가서 어떻게 될지 몰라 우리는 올라온 길 쪽으로 가다 분화구 능선을 따라 내려가는 길을 택한다.
 
늦가을에 핀 참꽃이 애처롭다.
▲ 참꽃 늦가을에 핀 참꽃이 애처롭다.
ⓒ 신병철

관련사진보기


입구에 쓰러진 안내판에 대병악이 참꽃 자연군락지라고 적혀 있었다. 참꽃은 진달래를 말한다. 정상에 참꽃이 많았다. 계절을 잘 못 안 진달래 몇 송이가 꽃을 활짝 피웠다. 가을에 핀 진달래라서 그런지 더 화사하다.

11월 말의 제주도, 서리가 아직 내리지 않아 고사리도 푸른색을 유지하고 있고, 계절을 착각한 진달래는 꽃마저 피우고 말았다. 서귀포 해안지역은 상록수들이 그대로 푸른색을 유지하고 있어, 여름과 겨울의 차이가 없다.
 
북쪽으로 터진 말굽형 분화구 능선에는 나무들로 빼꼭 찼다.
▲ 대병악 분화구 북쪽으로 터진 말굽형 분화구 능선에는 나무들로 빼꼭 찼다.
ⓒ 신병철

관련사진보기


대병악은 북쪽으로 터진 말굽형 화산이다. 그러니 정상은 남쪽에 있다. 안타깝게도 북쪽 아래 자락에서 오름 전체를 조망하지 못해 펼쳐진 오름 모습을 보지 못했다. 그게 오름의 제대로 된 모습일 텐데 말이다.

분화구 능선 제일 높은 곳에서 분화구 안을 본다. 나무가 빼꼭 차 있어 분화구 안은 보이지 않는다. 급경사로 내려가면서 나무가 자라고 있다. 중산간 지역이라 잎이 떨어진 활엽수들로 가득 찼다.
 
상록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길이다.
▲ 내려가는 길 상록수와 활엽수가 섞여 있는 숲길이다.
ⓒ 신병철

관련사진보기


능선길 따라 내려간다. 상록수와 활엽수가 섞인 잡목숲길이다. 역시 경사가 급해서 계단을 만들어 놓았다. 태풍에 쓰러진 나무도 다시 살려고 안간힘을 쓰고 있다.

다 내려왔다. 앞에 소병악이 부채처럼 펼쳐져 있다. 대병악에 올랐으니, 소병악을 오르지 않을 수 없다.

먼 표선에서 찾아온 우리를 대병악은 성의를 다해 반갑게 맞아주었다. 우리는 내려와서 또 하나의 오름을 알게 되었음에 뿌둣해졌다. 다른 사람들은 이런 기분 혹 알까?    

태그:#대병악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제주도에서 살고 있습니다. 낚시도 하고 목공도 하고 오름도 올라가고 귤농사도 짓고 있습니다. 아참 닭도 수십마리 키우고 있습니다. 사실은 지들이 함께 살고 있습니다. 개도 두마리 함께 살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