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유정현 주이란대사(오른쪽)와 헴마티 이란 중앙은행 총재(가운데)가 지난 22일 주이란한국대사관에서 면담하고 있다.
  유정현 주이란대사(오른쪽)와 헴마티 이란 중앙은행 총재(가운데)가 지난 22일 주이란한국대사관에서 면담하고 있다.
ⓒ 이란정부

관련사진보기

  
"이란-한국, 이란 동결자금 이전에 합의(Iran, South Korea agree on transfer of Iran's assets)"

22일 저녁 이란 관영 IRNA 통신발 기사가 눈에 확 들어왔다. 제목이 사실이라면 트럼프 정권이 가했던 금융제재 때문에 한국의 은행들에 묶여 있었던 이란의 원유 수출대금 70억달러 문제가 해결됐다는 얘기 아닌가.

여기에는 미국 측이 제재 해제에 동의했다는 전제가 당연히 포함된다. 문제 해결의 열쇠를 미국이 쥐고 있기 때문이다. 만약 미국의 동의 없이 한국과 이란 정부끼리 합의했다면 이런 기사가 나올 필요도 없을 것이다.

그러나, 현재까지의 흐름을 보면 IRNA의 기사는 이란 정부의 '오버', 좀 나아가면 미국을 압박하기 위한 언론플레이로 보는게 타당한 것으로 보인다.

해당 기사는 "이란 중앙은행 압돌나세르 헴마티 총재와 (유정현) 한국 대사는 월요일(22일) 한국 은행 내 이란 자산의 일부를 이전하고 사용하는 방법에 대해 합의했다"고 전했다.

그리고 "(두 사람이) 한국 대사관의 요청에 따라 만났다"며 "이란 자산의 특정 장소로의 이전과 이전 분량 그리고 이전되는 은행들에 대해 동의했다"라고 보도했다. 

또 "한국 대사는 한국 정부가 한국내 모든 이란 자산의 사용에 필요한 조치를 취할 준비가 돼 있고, 어떠한 상한선이나 제한도 없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한국 외교부 "기본적 의견접근 있었을 뿐... 유관국 협조 필요"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서울 종로구 외교부 청사.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그러나, 이에 대한 한국 외교부의 설명은 달랐다.

일단, 압돌나세르 헴마티 이란 중앙은행 총재와 (유정현) 한국 대사가 지난 22일 주이란 한국대사관에서 만난 것은 사실이다. 그리고 이란 자산의 이전 장소나 금액, 이전 은행 등에 대해 양국이 의견을 같이 했을 가능성도 크다.

문제는 역시 '미국의 동의'다.

최영삼 외교부 대변인은 23일 오후 브리핑에서 "22일 면담에서 이란 측은 우리 측이 제시한 방안에 대해 동의 의사를 표명하는 등 기본적 의견 접근이 있었다"고 말했다.

그러나 "다만, 실제 동결자금의 해제를 위해서는 '유관국' 등 국제사회와의 협의가 보다 필요한 만큼 향후 우리 정부는 이와 관련한 소통을 위해서도 계속 노력해나갈 예정'이라고 말했다.

최 대변인의 말을 종합하면 결국 '한국과 이란간 의견 접근은 있었지만, 유관국(미국)의 동의는 아직 구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란 측이 이같이 성급한 보도를 낸 데 대해 '그만큼 동결자금에 대한 절실함을 반영한 것이 아니겠냐'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한 외교부 관계자는 "이란 측이 동결자금의 이전장소, 금액 등을 한국과 합의했다는 사실을 바이든 신 행정부 측에 알려서 조속한 제재 해제를 압박하려는 의도"일 것으로 추측했다. 미국의 금융제재와 코로나19로 인해 좋지 않은 이란의 경제상황을 하루빨리 개선하려는 의도라는 것이다.

IRNA 통신에 의하면, 같은 날 헴마티 총재는 주이란 일본대사와도 만나 일본에 동결된 자금을 사용할 수 있게 해달라고 요청했고, 일본 측은 코로나19 백신 구입에 사용할 것을 제안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란은 일본에도 약 15억 달러의 원유 수출대금이 묶여있다.

태그:#이란, #동결자금, #헴마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