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옛 전남도청 서무과에서 추출한 탄두 사진
 옛 전남도청 서무과에서 추출한 탄두 사진
ⓒ 문체부

관련사진보기

 
위의 사진은 옛 전남도청 서무과에서 추출된 M16 소총의 탄두이다. 1980년 5·18민주화운동 당시 도청 진압 상황을 추정할 수 있는 흔적이다. 이와 같은 탄두는 10곳에 박혀 있었고 이중 5발이 추출됐다. 또 옛 전남도청 건물 일대에서 탄흔으로 의심되는 흔적 총 924개가 발견됐다.

문화체육관광부는 2020년 7월부터 2021년 3월까지 실시한 옛 전남도청 건물 일대 탄흔 조사 결과를 4월 13일 발표했다.

문체부는 "사진‧영상 속에 나타난 탄흔으로 추정되는 곳을 비파괴 검사 방법으로 형태를 분석한 결과 탄흔으로 추정되는 71곳을 발견했지만, 현재는 수리‧보수가 되어 있었다"면서 "이 밖에 잔존 성분 검사 등 추가 검증이 필요한 탄흔 의심 흔적 454개를 확인했고, 나머지 389개는 못이나 나사못 자국 등 공사 흔적으로 판명됐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건물 외에도 1980년 당시부터 있었던 수목 중 본관 앞 은행나무 속에 3발, 회의실(또는 민원봉사실) 옆 소나무 속에 2발 등, 탄두가 나무 속에도 박혀있는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문체부는 이번 조사를 위해 문헌이나, 구술, 당시 사진‧영상 등으로 탄흔이 있었던 곳을 추정하고 옛 전남도청 원형 복원을 추진하는 상황에서 적용할 수 있는 비파괴 과학적 방법(테라헤르츠‧철근계측 GPR탐사, 열화상 비교 분석, 금속 탐지, 감마선 촬영)을 전문가 자문을 통해 확정했다.
 
옛 전남도청에서 추출한 탄두 사진
 옛 전남도청에서 추출한 탄두 사진
ⓒ 문체부

관련사진보기

 
문체부는 특히 "국방부의 협조를 받은 사격장에서 당시 벽면과 같은 벽체를 만들어 탄흔 표본 사격을 한 후 확보된 탄흔 표본과 현 벽체를 비교·분석했다"면서 "이후 국립과학수사연구원을 통해 총탄의 성분 분석과 탄두 표면에 남아 있는 총강 흔적 등을 교차 확인해 엠(M)16의 탄두임을 증명했다"고 밝혔다.

문체부는 이번 탄흔 조사의 모든 과정을 영상으로 담아 전시콘텐츠로 제작하고 옛 전남도청 복원 이후에 공개할 예정이다. 탄흔으로 확정된 10개의 흔적은 영구적으로 보존할 수 있도록 처리하고, 나머지 탄흔 추정 흔적 71개와 의심 흔적 454개 등 흔적 525개에 대해서는 추가 조사와 검증을 계속할 예정이다.

문체부 정책 담당자는 "이번 조사로 확인된 탄흔을 통해 시민(군)들의 최후 항쟁 직전과 직후 모습, 계엄군의 진압 동선, 진압 방식 등을 유추할 수 있었다"면서 "이번 결과는 최후의 항쟁지였던 옛 전남도청이 품고 있던 그날의 기억과 5·18 당시의 진실을 밝히는 또 하나의 중요한 실마리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밝혔다.

태그:#5.18, #전남도청, #탄두, #문체부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환경과 사람에 관심이 많은 오마이뉴스 기자입니다. 10만인클럽에 가입해서 응원해주세요^^ http://omn.kr/acj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