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상라봉 전망대에 올라서니 지나온 열두굽이길이 한눈에 보였다.
▲ 상라봉 전망대에서 찍은 열두굽이길 상라봉 전망대에 올라서니 지나온 열두굽이길이 한눈에 보였다.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흑산도는 목포 앞바다에 무수히 떠 있는 섬들을 뚫고 빠져나와 쾌속선으로 2시간을 가야 만날 수 있는 먼 섬이다. 그러나 우리에게 '흑산도'라는 이름은 어릴 적에는 이미자의 <흑산도 아가씨>라는 노래로, 최근에는 김훈의 소설 <흑산>과 영화 <자산어보>의 배경으로 친숙하다. 역사적으로도 장보고가 터를 닦고 이후에는 정약전, 최익현 등이 유배 온 유서 깊은 곳이기도 하다.

섬 자체로의 경관이 빼어난 데다 장도, 영산도 등 인근 섬까지 연결하면 어디와 견주어도 손색없는 관광 명소가 될 법도 한데, 지금은 아우 격인 홍도에 밀려 홍도를 가기 위해 쉬어가는 곳이 되었다. 

홍도 관광을 마친 후, 9월의 마지막 날을 흑산도에서 보내기로 하였다. 단순한 징검다리가 아닌 흑산도 자체를 즐기며 소설 <흑산>과 영화 <자산어보>의 흔적을 찾아보고 싶었다.

열두굽이길을 넘어 가면 보이는 풍경 

홍도(관련 기사)에서 떠난 배가 흑산도 예리항에 도착한 시간은 오후 4시. 배에서 내리자마자 마치 납치라도 되듯 안내되어 일주도로 관광택시에 몸을 실었다. 원래 계획했던 일정이고 섬을 한 바퀴 돌면서 전체를 살피기에는 안성맞춤이기도 했다.
택시 기사는 무성영화 시대의 변사 같은 목소리로 흑산도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명소들을 빠르게 설명하고 안내했다. 

1984년에 착공하여 27년 만에 개통한 흑산도 일주도로는 최초의 정착촌이었던 진리에서 여객선 터미널이 있는 예리항까지 이어진 총 길이 25.4km에 이르는 섬 전체를 둘러볼 수 있는 도로이다.

차를 타고 설명을 들으며 검푸른 바다 위 다도해의 황홀한 비경을 한눈에 볼 수 있으니 훌륭한 관광 상품이기도 하거니와 산길을 걸어야 했던 흑산도 주민에게는 생활의 척추 같은 길이기도 했다.
 
사진 아래쪽 빨간 아치형 다리로 연결된 옥섬이 보인다.
▲ 상라봉 전망대에서 바라본 예리항과 진리마을 사진 아래쪽 빨간 아치형 다리로 연결된 옥섬이 보인다.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왼쪽 대장도에는 한국에서 세 번째로 등록된 람사르 습지가 있다. 멀리 희미하게 보이는 섬이 홍도이다.
▲ 대장도와 소장도 왼쪽 대장도에는 한국에서 세 번째로 등록된 람사르 습지가 있다. 멀리 희미하게 보이는 섬이 홍도이다.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택시는 곱창처럼 구불구불한 열두굽이길을 넘어 장도가 바라보이는 주차장에 멈췄다. 여기서 계단 길을 올라가면 상라봉 전망대에 이른다. 생각보다 가파른 경사길을 타고 오르니 오른쪽은 예리항과 진리마을 앞바다가 펼쳐졌고 왼쪽은 탁 트인 다도해를 배경으로 대장도와 소장도가 눈앞으로 다가왔다. 펼쳐진 절경에 넋을 잃다가 택시 기사가 내어준 숙제가 생각났다.

"열두굽이길을 찍어 오셔야 합니다." 

아래를 내려다보는데, '아~ 여기서는 드론이 없어도 열두굽이길을 찍을 수 있구나…' 싶었다. 일주도로 관광이 흑산도 관광의 개요라면 다음날 발품을 팔며 다닌 곳은 진리와 예리에 대한 각론이라 하겠다.
 
밤 사이 비가 온 후 활짝 개인 예리항.
▲ 예리항의 아침 밤 사이 비가 온 후 활짝 개인 예리항.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흑산도에서 맞이한 아침은 밤사이 비가 내린 후 오랜만에 맑게 갠 날씨였다. 아침밥을 먹고 예리항 뒤를 감싸고 있는 칠락산 등반을 한 후, 돌아가는 배를 타기 전 시간에 여유가 있으면 소설 <흑산>에 나오는 옥섬을 가기로 했다. 산이 있는 곳이면 올라가야 하는 게 빠질 수 없는 일정이었고, 옥섬은 꼭 가고 싶은, 안 가면 아쉬움이 남을 것 같은 곳이었다. 

흑산도는 논농사가 전무한 산으로 이루어진 섬이다. 제일 높은 문암산(405m)을 비롯해 열두굽이길이 지나가는 상라봉(227m), 깃대봉(378m), 선유봉(300m) 등이 있으나, 예리항 뒤편에 있어 관광객의 접근이 가장 쉬운 곳은 칠락산(272m)이다.
 
산길은 경사가 완만한 오솔길로 아늑하고 바닥은 폭신했다.
▲ 칠락산 등산로 산길은 경사가 완만한 오솔길로 아늑하고 바닥은 폭신했다.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아침밥을 먹은 식당 주인에게 등산로를 물었더니 섬의 전경을 감상할 수 있는 샘골로 올라가 면사무소로 내려오라고 했다. 산길은 경사가 완만한 오솔길로 아늑하고 바닥은 폭신했다. 사람의 기척조차 없어 산은 온전히 우리의 것이었다. 등산로에서 바라본 영산도가 신비로워 보였다. 
 
등산로에서 바라본 영산도가 신비로워 보였다.
▲ 칠락산 등산로에서 보이는 영산도 등산로에서 바라본 영산도가 신비로워 보였다.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샘골에서 칠락봉 정상까지 1.2km 정도이니 결코 힘든 산은 아니다. 칠락봉 표지석은 근엄한 맛이 없고 귀여워 보이기까지 했다. 그만큼 친근한 산은 아닌지.
 
칠락봉 표지석은 근엄한 맛이 없고 귀여워 보이기까지 했다.
▲ 칠락봉 칠락봉 표지석은 근엄한 맛이 없고 귀여워 보이기까지 했다.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작고 평화로웠던 옥섬 

흑산면사무소로 내려오니 11시가 조금 넘었다. 짐이 있는 예리항으로 가서 정리한 후 점심을 먹으면 3시 10분에 출항하는 배를 탈 때까지 두 시간여의 시간이 남아 옥섬을 갈 수 있을 거 같았다.

"옥섬에 뭐 볼 게 있다고 간다요? 그 '옥'자가 구슬 '옥'이 아닌 감옥 할 때 '옥'이지요. 여기서 옥섬까지 한 30분 정도 걸릴 겁니다."

점심을 먹은 식당 주인의 말이었다. 옥섬에 대하여 김훈의 소설 <흑산>에서는 이렇게 표현한다.
 
'죄수는 낚싯대로 물고기를 잡거나 해초를 뜯어먹으며 연명했다. 옥섬에 갇힌 첫날밤에 죄수들은 수군진 쪽을 향해 - 아이고, 아이고, 아이고 라고 비명을 질러댔다.'

소설에서 창대 아버지 장팔수는 밤새 잡은 고등어 마릿수를 속인 죄로 옥섬에 갇힌다. 사실 옥섬의 위치는 정약전이 머물렀던 사리와는 먼 거리인 읍동에 있으니 장팔수 이야기는 소설가가 지어낸 이야기일 것이다.
 
섬이 지닌 내력과는 달리 지금의 옥섬은 예쁘기만 했다.
▲ 옥섬 섬이 지닌 내력과는 달리 지금의 옥섬은 예쁘기만 했다.
ⓒ CHUNG JONGIN

관련사진보기

 
예리항에서 옥섬까지는 편도 3.5km. 걷는 길이 평지이니 시간은 충분했다. 옥섬까지 가는 길에 성황당과 흑산도 유일의 해수욕장인 배낭기미해수욕장을 만났으나 시간이 촉박하여 살펴볼 여유가 없었다.

드디어 빨간 아치형 다리로 연결된 옥섬이 눈앞에 들어왔다. 식당 주인의 말처럼 볼 것이 없다고 생각해서인지 예쁜 다리 주변은 고기잡이 도구들과 주차된 트럭으로 너저분했다.

섬이 지닌 내력과는 달리 지금의 옥섬은 예쁘기만 했다. 바위섬 윗부분은 소나무로 덮여 있고 쉬어가라고 정자까지 놓여 있었다. 정자에 앉아 있자니 평화롭기 그지없었다. 섬 아래쪽에는 죄인들이 살았다는 동굴이 있다는데 아래로 가는 사다리가 끊겨 있어 접근이 불가능했다. 

십 분 정도 정자에서 쉬다가 배를 타기 위해 예리항으로 떠나면서 흑산도 여행도 끝이 났다.
 
옥섬까지 오가며 거의 유일하게 만난 사람이다.
▲ 배를 손질하는 외국인 노동자 옥섬까지 오가며 거의 유일하게 만난 사람이다.
ⓒ 백종인

관련사진보기

 
2016년에만 하더라도 흑산도의 인구는 4300여 명이었는데 5년이 지난 지금은 반에도 못 미치는 2115명(택시 기사의 말)이란다. 하긴 관광지를 벗어나 칠락산까지 오가는 길에서나 옥섬까지 오가는 길에서나 마주친 사람이 거의 없었다. 해안 길을 걸으면서 거의 유일하게 마주친 사람은 고깃배를 손질하는 외국인 노동자였다. 택시기사의 너스레가 자꾸 생각났다.

"흑산도에는 '흑산도 아가씨'가 없어요. 할머니만 있어요…"

태그:#흑산도 일주도로, #자산어보, #정약전, #칠락산, #옥섬
댓글2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4년 반 동안 대한민국의 이곳저곳을 쏘다니다가 다시 엘에이로 돌아왔습니다. 이곳에서도 열심히 다니겠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