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991년 8월 14일 자신이 일제시대에 정신대였다고 증언하는 김학순 할머니.
 1991년 8월 14일 자신이 일제시대에 정신대였다고 증언하는 김학순 할머니.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미국 유력 일간지 뉴욕타임스(NYT)가 일본군 위안부 피해를 최초로 공개 증언·고발한 고(故) 김학순 할머니의 부고 기사를 실었다. 

현지시각 25일 NYT는 김 할머니가 1997년 12월 세상을 떠난 지 24년 만에 뒤늦은 부고 기사를 냈다. 이 신문이 창간한 1851년 이후 잘 보도하지 못했던 주목할 만한 인물을 뒤늦게라도 소개하는 '간과된 인물들'(Overlooked) 시리즈의 일환이다. 

지난 2018년 3월에는 유관순 열사가 사망한 1920년 이후 98년 만에 부고 기사를 내고 추모하기도 했다. 

"20만 여성 끌려간 일본군 위안부... 국가 주도의 최대 범죄"

NYT는 김 할머니가 1991년 8월 14일 TV에 나와 자신이 17세 때 일본군 위안부에 끌려가서 당했던 경험을 세상에 처음으로 알렸다고 서술하며 "그의 강력한 설명은 일본의 많은 정치 지도자들이 수십 년간 부인해왔고, 지금도 많은 사람이 부인하고 있는 역사에 생생한 힘을 실어줬다"라고 소개했다.

또한 "일본이 1930년대부터 제2차 세계대전이 끝날 때까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서 20만 명에 달하는 여성들을 꾀어내거나 강제로 위안부 시설로 끌고 갔으며, 이는 국가가 주도한 성노예 범죄 사례 중 역사상 최대 규모"라고 지적했다. 
 
1991년 8월 14일 명동 향린교회에서 고 김학순 할머님은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음을 최초로 고백하는 기자회견을 하였다. 이후 여성, 종교단체가 연대해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약칭 정대협)가 탄생했고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시위가 열려 일본 정부의 태도를 규탄했다.
▲ "일본군 위안부"였음을 최초로 고백한 고 김학순 할머님 생전 모습  1991년 8월 14일 명동 향린교회에서 고 김학순 할머님은 일제강점기 시절 "일본군 위안부"로 끌려갔음을 최초로 고백하는 기자회견을 하였다. 이후 여성, 종교단체가 연대해 한국정신대대책협의회(약칭 정대협)가 탄생했고 일본대사관 앞에서 매주 수요시위가 열려 일본 정부의 태도를 규탄했다.
ⓒ 정의기억연대 제공

관련사진보기

 
그러면서 "김 할머니는 증언 6년 만인 1997년 폐 질환으로 세상을 떠났지만, 오래 기억되는 유산을 남겼다"라며 "필리핀, 인도네이사, 말레이시아, 중국, 호주, 네덜란드 등에서도 위안부 피해자들이 세상 앞에 나오도록 영감을 주었다"라고 강조했다.

이어 기사는 일본군 위안부를 '반인류 범죄'로 규정했던 게이 맥두걸 전 유엔 특별보고관이, 관련해 "내가 보고서에 쓴 어떤 대목도 김 할머니가 직접 증언한 영향력에는 근접하지 못한다"라고 말한 것을 전했다.

어렵게 위안부 수용소에서 탈출한 이후 김 할머니의 기구한 삶을 전한 NYT는 "당시에는 성범죄를 당한 여성 피해자가 문제를 해결할 방법을 찾기보다는 수치와 침묵 속에서 살도록 하는 문화 탓에 많은 피해자가 과거를 숨겨야 했다"라고 설명했다.

그러나 김 할머니가 "일본은 위안부를 부정하지만, 내가 그 모든 것을 견뎌냈으며 그것이 실제였다는 살아있는 증거로서 항의하고 싶었다"라고 증언을 결심한 이유를 소개했다. 

"김 할머니, 20세기의 가장 용감한 인물 중 하나"

한일 관계를 연구하는 알렉시스 더든 미 코네티컷대 교수는 NYT에 "김 할머니는 20세기의 가장 용감한 인물 중 하나"라며 "그의 증언 덕분에 역사학자들이 증거 문헌을 발굴하고, 유엔이 이를 전쟁 범죄로 규정하고 일본 정부에 책임을 묻게 했다"라고 강조했다. 

NYT는 "김 할머니는 일본 정부가 법적인 책임을 지고 보상할 것을 요구하며 지치지 않는 활동을 펼쳤다"라며 "하지만 소망을 이루지 못하고 세상을 떠났다"라고 전했다. 그러면서 김 할머니가 세상을 떠나기 얼마 전인 1997년 7월 생전 마지막 육성 인터뷰가 담긴 유튜브 영상(바로보기)을 소개하며 부고 기사를 끝맺었다.
 
"100살이든 110살이든, 살아서 내 귀로 일본 정부와 일왕의 사과를 듣고 싶다. 누구도 나를 대신할 수 없기에 죽기 전에 증언하고 싶었고,  (일본으로부터) 진심으로 미안하다는 말을 듣는 것 말고는 다른 소망이 없다."

태그:#김학순 할머니, #일본군 위안부, #뉴욕타임스
댓글6
이 기사의 좋은기사 원고료 10,000
응원글보기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