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몇 년 전 이맘때 강화군 불은면 상동암리에서 저어새를 만난 적이 있다. 이른 아침에 삼동암천을 지나가는데 수로에 하얗게 새들이 모여 있었다. 그 속에 저어새도 끼어 있었다. 세계적 희귀조인 저어새를 한두 마리도 아니고 떼로 만나다니... 횡재한 기분이었다.

저어새는 주걱처럼 생긴 부리로 물 밑 바닥을 휘저으며 먹을 것을 얻는다고 '저어새'라는 이름이 붙었다. 2020년 기준, 전 세계 5000여 마리만 확인된 희귀종으로 이 중 4500여 마리가 우리나라에 서식한다고 한다.

멸종위기종 저어새

저어새는 강화 갯벌을 찾아오는 특별하고 귀한 손님이다. 세계 5대 갯벌에 속할 정도로 강화도 남단의 갯벌은 광대하다. 썰물 때면 직선거리로 4km의 갯벌이 펼쳐진다. 여의도 면적의 20배도 넘는 강화도 남쪽 갯벌에 온갖 새들이 날아와 먹이를 찾는다. 그 새들 중에 저어새도 있다.
 
강화군 불은면 상동암천에 날아온 새들
 강화군 불은면 상동암천에 날아온 새들
ⓒ 이승숙

관련사진보기

 
저어새
 저어새
ⓒ 이승숙

관련사진보기

 
강화군 화도면 동막해수욕장 인근은 저어새에게 특히 더 중요한 곳이다. 동막해수욕장 근처에 '각시바위'라는 이름으로 불리는 작은 바위섬이 있는데 저어새들이 깃들어 알을 낳고 품는다.

분오리돈대는 저어새가 깃들어 사는 각시바위를 바라보며 있다. 마니산 줄기가 뻗어 내려오다 바다를 앞에 두고 잠시 숨을 고르다가 조금 더 뻗어나간 언덕 위에 분오리돈대가 있다.

각시바위와 분오리돈대

분오리돈대(分五里墩臺)는 바다 쪽으로 툭 튀어나간 언덕 위에 위치해 있다. 돈대로 올라가는 길은 오로지 한 곳 밖에 없다. 바다와 닿아 있는 삼면은 가파른 벼랑이라 접근할 수 없고, 남아있는 한 면, 즉 산이 뻗어 내려온 쪽에서만 올라갈 수 있다. 이런 것만 봐도 분오리돈대는 원래의 목적에 충실한 돈대라고 볼 수 있다.

돈대는 바다를 통한 외적의 침입을 감시하고 막기 위해 해안가 높은 곳에 만든 요새다. 강화도에만 있는 독특하고 특별한 관방유적인 돈대는 강화에 모두 54개가 있다. 조선 숙종 5년에 한꺼번에 48개를 만들고 그 후로도 몇 개 더 만들어서 강화는 마치 커다란 성(城)처럼 되었다. 
 
분오리돈대와 동막해수욕장
 분오리돈대와 동막해수욕장
ⓒ 문화재청

관련사진보기

 
초승달처럼 생긴 분오리돈대
 초승달처럼 생긴 분오리돈대
ⓒ 이필완

관련사진보기

 
돈대는 강화를 수호하기 위해 만들었지만 그보다는 외적이 바다를 통해 한양으로 들어가는 것을 막을 목적으로 축조한 것이라고 볼 수 있다. 54개 돈대 중 40개에 가까운 돈대가 강화의 동쪽과 북쪽 해안에 촘촘히 들어서 있다. 물길을 타고 한양으로 들어갈 수 있는 쪽에 돈대가 더 많은 것으로 봐서 강화도의 돈대는 한양 수호를 위한 방어선이었던 것이다.

모든 돈대가 다 중요했지만 그중 몇몇 돈대는 더 중요했는지 본영인 진무영에서 관할했다. 분오리돈대도 진무영 관할 아래 있었다. 서해에서 강화로 들어오는 초입에 있는 돈대이니 얼마나 중요했을까. 그래서 강화도를 수호하기 위해 만든 군사조직인 진무영(鎭撫營)에서 분오리돈대를 특별 관리했다.

진무영 직할 돈대 

지난 6월 하순에 분오리돈대를 찾아갔다. 분오리돈대는 차가 다니는 길에서 직선거리로 30m 정도 밖에 떨어져 있지 않으니 찾아가기에 아주 좋다. 그러나 언덕을 올라가야 하니 보행이 불편한 분들은 쉽게 오를 수 없겠구나 하는 마음도 들었다.

바닷가 언덕 위에 돈대가 있다. 길을 따라 올라가니 돌로 쌓은 성벽이 우뚝하게 서있다. 두 길 정도 높이의 성벽은 완고하게 진입을 막는다. 돈대 안으로 들어가려면 돈문(墩門)을 통과하는 길 밖에 없다.

돈문을 통해 돈대 안으로 들어간다. 밖에서 봤을 때는 성벽이 꽤 높았는데 안에 들어오니 허리 정도 높이 밖에 되지 않는다. 성벽에 올라 아래를 내려다보며 공격할 수 있도록 그렇게 만든 것이리라.
 
분오리돈대의 잔존 성벽 높이는 약 3.6m에 달한다.
 분오리돈대의 잔존 성벽 높이는 약 3.6m에 달한다.
ⓒ 이필완

관련사진보기

 
분오리돈대의 문.
 분오리돈대의 문.
ⓒ 이승숙

관련사진보기

  
성벽 위로 올라가서 사방을 둘러보았다. 동막해수욕장도 마니산도 한 눈에 다 들어온다. 인천공항이 있는 영종도며 인근의 섬들이 손에 닿을 듯이 가깝다. 아, 그래서 여기에 돈대를 만들었구나. 한양으로 올라가려는 배들을 여기에서 다 파악할 수 있었겠구나.

분오리돈대는 여타의 돈대들과는 달리 생김새가 독특하다. 대개의 돈대들이 네모 모양이거나 둥근 원형인데 반해 이 돈대는 살 찐 초승달 모양이다. 땅의 생김새에 맞춰 돈대를 쌓다보니 그런 모양이 되었을 것이다.

초승달 모양 분오리돈대

돈대 밖으로 나와 성벽을 따라 돌았다. 분오리돈대의 성벽은 숙종 시대의 축성 방식을 잘 보여준다. 조선시대에 쌓은 성곽을 보면 각 시대에 따라 돌을 가공하는 방법에 조금씩 차이가 있다. 조선 전기의 경우, 가공하지 않은 자연석을 이용했다. 숙종 때는 큰 암반에서 돌을 떼어내서 40~120cm 정도 크기로 반듯하게 가공해서 성벽을 쌓았다. 분오리돈대는 숙종 5년에 축조했으니 성벽을 쌓은 돌 역시 자연석이 아니라 가공한 돌이었다.

분오리돈대를 둘러보고 옆에 있는 동막해수욕장으로 갔다. 모래사장과 맞닿아있는 솔숲에는 함민복 시인의 시비가 있다. 대개의 시비들이 수직으로 세워진 것과 달리 함민복 시인의 시비는 수평으로 누워 있다.
 
동막해수욕장 솔밭에 있는 함민복 시인의 시비
 동막해수욕장 솔밭에 있는 함민복 시인의 시비
ⓒ 이승숙

관련사진보기

 
갯벌은 수평이다. 드넓게 펼쳐진 갯벌과 하늘 모두 높낮이가 없이 수평이다. 세상은 자꾸만 높게 쌓아 올리며 나를 드러내는데 갯벌에서는 그런 게 아무런 의미가 없다.

딱딱한 문명과 물렁물렁한 갯벌

높게 쌓아올리는 것은 언젠가는 무너져 내린다. 물렁물렁한 갯벌은 그 모든 것을 품어준다. 더러워 보이지만 더럽지 않은 갯벌, 더러움을 정화시켜주는 갯벌이다. 함민복 시인의 수평으로 누워있는 시비는 이런 것을 말하려고 하는 듯이 보였다.

시비에 새겨져 있는 시를 읽어 보았다. '딱딱하게 발기만 하는 문명에게'(함민복) 전하는 시인의 고언이었다.

"거대한 반죽 뻘은 큰 말씀이다/쉽게 만들 것은/아무것도 없다는/물컹물컹한 말씀이다/수천 수만 년 밤낮으로/조금 무쉬 한물 두물 사리/소금물 다시 잡으며/반죽을 개고 또 개는/무엇을 만드는 법을 보여주는 게 아니라/함부로 만들지 않는 법을 펼쳐 보여주는/물컹물컹 깊은 말씀이다" ('딱딱하게 발기만 하는 문명에게' 전문)  
 
갯벌에 날아온 두루미. 저 멀리 분오리돈대가 보인다.
 갯벌에 날아온 두루미. 저 멀리 분오리돈대가 보인다.
ⓒ 이승숙

관련사진보기

 
물이 빠진 동막해수욕장의 갯벌과 저 멀리 보이는 분오리 돈대
 물이 빠진 동막해수욕장의 갯벌과 저 멀리 보이는 분오리 돈대
ⓒ 이승숙

관련사진보기


함민복 시인의 시를 읽고 물이 빠진 갯벌을 바라봤다. 직선거리로 4km나 되는 뻘 밭이 끝없이 펼쳐져 있었다. 갈매기를 비롯한 새들이 갯벌 여기저기에 앉아 먹이를 찾고 있었다. 그런데 저 앞에 저어새가 보이지 뭔가. 저어새는 예의 그 주걱 같은 부리를 이리저리 휘젓고 있었다.

분오리돈대에서 갯벌과 저어새와 시를...

천연기념물 205호로 지정되어 보호받고 있는 저어새다. 한때 전 세계에 2천 마리 정도 밖에 확인되지 않아 세계적인 멸종 위기종이었지만 개체 수를 늘리기 위한 꾸준한 노력 덕분에 지금은 5천 마리 이상 서식하고 있는 게 확인되었다. 강화군에서도 저어새를 보호하기 위해 여러 노력을 기울이고 있다. 저어새는 강화군의 군조(郡鳥)이기도 하다.

분오리돈대 앞 각시바위는 천연기념물인 저어새가 알을 낳아 새끼를 키우는 곳이다. 최근에 모니터링 한 결과에 의하면 각시바위에서 약 60여 쌍 정도가 번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정부에서는 분오마을을 저어새 생태마을로 선정했다.

세계적 희귀조인 저어새를 만날 수 있는 분오리돈대다. 분오리돈대에 올라 저어새가 깃들어 사는 각시바위도 바라보고 동막해수욕장 소나무 숲에 있는 함민복 시인의 시비도 찾아보자. 물렁물렁한 갯벌을 보며 수직에서 수평으로 마음을 내려 놓아 보자.

<분오리돈대 기본 정보>

- 소재지 : 인천광역시 강화군 화도면 사기리 산185-2
- 별칭 : 칠오지돈대
- 입지 : 분오리 곶의 구릉 정상부에 위치
- 축조 시기 : 1679년(숙종5)
- 규모 : 둘레 - 113m, 잔존 성벽 높이- 3.6m
- 형태 : 초승달 모양
- 문화재 지정여부 : 인천 유형문화재 제36호
- 시설 : 문 1개, 포좌 4개
- 그외 : 갈곶돈대와 1645보(1970m), 송곶돈대와 420보(550m). 

덧붙이는 글 | '강화뉴스'에도 게재합니다.


주요 지리정보

태그:#강화도여행, #분오리돈대, #함민복시인, #저어새, #갯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일을 '놀이'처럼 합니다. 신명나게 살다보면 내 삶의 키도 따라서 클 것이라는 생각을 하며 오늘도 뭐 재미있는 일이 없나 살핍니다. 이웃과 함께 재미있게 사는 게 목표입니다. 아침이 반갑고 저녁은 평온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