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3.09.16 11:21최종 업데이트 23.09.16 11:21
  • 본문듣기

청담대교 남단, 7호선 전철이 지나가고 있다. 청담대교는 위로는 차로가, 아래로는 철로가 지나가는 복합교량이다. ⓒ 성낙선


전철을 타고 한강을 건너다보면, 가끔 외국인들이 한강을 신기한 듯이 바라다보는 광경을 보게 된다. 그들 입에서 연거푸 '아름답다'는 형용사가 튀어나온다. 스마트폰을 들어 전철 차창 너머로 물 흐르듯 지나가는 한강 풍경을 사진과 동영상으로 찍는 사람도 있다. 아파트가 즐비하게 늘어선 강변 풍경마저 아름답단다.

우리 눈엔 그저 삭막하게만 보이는 그 풍경이 뭐가 그렇게 신기한지 차창에 바짝 붙어서 좀처럼 떨어지지 않는다. 우리 눈엔 한강을 유심히 바라다보는 그런 외국인들의 모습이 더 신기하다. 짐작이 가지 않는 건 아니다. 한국을 처음 찾는 외국인들에겐 전철 안에서 내다보는 한강이 무척이나 색다르게 다가올 수밖에 없다.

그런 모습을 보면, 새삼 그들 외국인들처럼 '태어나서 한강을 한 번도 안 본' 눈이 갖고 싶어진다. 한강을 수도 없이 많이 보아온 내 눈에도 한강이 아름답게 보일 때가 있는데, 한강을 한 번도 안 본 그 눈에는 한강이 얼마나 아름다워 보일까? 그 눈으로 다시 한번 한강을 바라보고 싶다.
 

반포대교 남단에서 바라본 무지개분수. ⓒ 성낙선

 

반포대교 다리 밑, 잠수교 위에서 바라본 무지개분수. ⓒ 성낙선


외국인의 시선으로 다시 보는 한강

자전거를 타고 처음 한강에 갔을 때가 기억난다. 한강에 가 닿기 전에 먼저 중랑천을 만났는데, 그곳에서 바라다본 풍경만으로도 나는 이미 살짝 들뜬 상태였다. 중랑천이 그렇게 아름다운 줄 미처 몰랐다. 한국에 여행을 와서 처음으로 한강을 보게 된 외국인들의 심정이 아마도 그와 같았을 것이다. 

중랑천을 따라 내려가 드디어 한강을 마주하게 됐을 땐, 눈 앞에 펼쳐진 시원한 개방감에 가슴이 다 벅찰 지경이었다. 그때 내가 본 한강은 다리 위로 차를 타고 지나가면서 곁눈으로 내려다보던 풍경과는 완전히 달랐다. 내가 왜 지금까지 이런 광경을 놓치고 살아온 거지, 후회가 됐다.
 

양화대교 북단 다리 밑. ⓒ 성낙선

 
그 뒤로 한강에 매료됐다. 갈 때마다 새로운 풍경을 발견했다. 한강은 내게 완전히 새로운 세계를 보여주었다. 그렇게 해서 셀 수도 없이 많은 시간을 한강에서 보냈다. 한강에서 김포로 구리로, 그리고 춘천까지 자전거를 타고 갈 수 있는 곳은 거의 다 가 봤다.

그러면서 자연스럽게 감정이 점점 무뎌졌다. 이제 자전거를 타고 처음 한강을 마주하게 됐을 때 느꼈던 감동은 거의 다 사라졌다고 봐야 할 것 같다. 때로는 심드렁한 기분을 느낄 때도 있다. 이쯤 되면 사실 지겨워질 만도 하다. 하지만 내가 한강 여행을 그만둘 날은 그렇게 쉽게 오지 않을 것 같다.

한강 풍경은 우리가 알고 있는 것 이상으로 훨씬 더 풍부하고 다채롭다. 기존의 풍경도 시간을 달리해서 다른 모습을 보여준다. 때때로 이전에 보지 못했던 새로운 풍경을 만나게 될 때도 있다. 여기서 끊임없이 무언가를 새로 만들어 내는 한국인들의 기질을 본다. 경우에 따라서는, 이전에는 그다지 눈여겨보지 못했던 풍경을 새로운 시선으로 재발견할 때도 있다.
 

광진교 남단 다리 밑. ⓒ 성낙선

 

광진교 남단 다리 밑. ⓒ 성낙선

 
다리 밑에 숨어 있던 색다른 풍경들

그런 풍경들 중에 요즘 내가 빠져 있는 건 '다리 밑'이다. 다리 밑에 뭐 볼 게 있냐고 말할 수도 있다. 다리 밑은 사람들이 잠시 머물렀다 가는 공간에 불과하다. 다리 밑에 가면, 운동기구들이 죽 늘어서 있는 모습을 흔히 본다. 다리 밑을 찾는 사람들은 산책 겸 운동을 하러 나온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그들이 다리 밑에 오래 머무르는 경우는 거의 없다.

그들 눈엔 잿빛 시멘트 구조물이 삭막해 보일 수도 있고, 그 위를 지나가는 자동차들의 소음이 신경에 거슬릴 수도 있다. 하지만 우리가 다리 밑에서 접하게 되는 건 그게 전부가 아니다. 다리 밑에도 그곳에서만 볼 수 있는 풍경이 있다. 거기서 우리는 교각과 상판이 만들어 내는 또 다른 형태의 조형미술을 보게 된다. 무엇보다 거대하고 육중한 선과 면이 모여 만들어내는 입체감이 매우 독특하다.
 

잠실대교 남단 다리 밑 야경. ⓒ 성낙선


비슷하게 생긴 다리라고 다 같은 다리가 아니다. 다리 밑에서 보면, 그 다리마다 다른 기하학적 문양을 가지고 있다는 걸 알 수 있다. 공룡의 다리를 연상시키는 거대한 교각들이 소실점을 향해 연속적으로 달아나는 것 같은 광경을 보고 있으면 장쾌함마저 느껴진다. 인간이 만든 인공구조물 중에, 다리 밑 교각만큼 예술적 감흥을 강하게 불러일으키는 것도 드물다.

밤에 보는 풍경은 또 다르다. 다리 밑으로 조명이 켜질 때는 엉뚱하게도 이 풍경을 어떻게 다리 위로 옮길 수 없을까 하는 생각도 한다. 이런 풍경이 다리 밑에만 있을까? 내가 아는 한강은 풍경의 보고다. 그동안 내가 미처 보지 못한 풍경이 어딘가에 또 있다. 그러니 '한강을 한두 번 본 것도 아니고 새로울 게 뭐 있어' 같은 말은 하지 말자.
 

강변북로를 떠받치고 있는 Y자 교각. 왼쪽에 원효대교가 보인다. ⓒ 성낙선


살다 보면, 일상적으로 '한 번도 안 본 눈'을 유지하기가 힘들다. 하지만 한강에는 여전히 우리가 한 번도 보지 못한 풍경이 숨어 있다. 그때 우리에게도 아직 '한 번도 안 본 눈'이 남아 있다는 사실을 깨닫게 된다. 요즘은 외국인들 중에도 한강공원을 찾는 사람들이 꽤 있는 모양이다. 그들이 한강의 다리 밑에선 또 어떤 풍경을 보았을지 궁금하다.

한강에는 모두 32개의 다리가 있다. 올해 완공 예정인 '고덕-구리간 다리'까지 포함하면 모두 33개다. 상당히 많은 수다. 그런데 우리는 그 다리를 얼마나 잘 알고 있을까? 살다 보면, 위만 보고 아래는 보지 못하는 경우가 허다하다. '등잔 밑이 어둡다'는 말을 다리 밑에서 다시 한번 곱새긴다.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진실과 정의를 추구하는 오마이뉴스를 후원해주세요! 후원문의 : 010-3270-3828 / 02-733-5505 (내선 0) 오마이뉴스 취재후원

독자의견


다시 보지 않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