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983년 5월, 23일 간 목숨을 건 단식투쟁을 하던 김영삼 전 대통령의 모습.
▲ 김영삼 전 대통령 단식투쟁 1983년 5월, 23일 간 목숨을 건 단식투쟁을 하던 김영삼 전 대통령의 모습.
ⓒ 연합뉴스

관련사진보기

자유한국당의 황교안 대표가 추운 야외에서 단식투쟁을 계속하다 8일째 되는 날부터 의식을 잃고 병원에 호송되어 치료를 받고 깨어났다. 29일 공식적으로 단식을 마무리한다고 발표했다. 야당 대표로서 정치적 요구를 내걸고 투쟁하는 것은 당연한 일인데 이번에는 왠지 빛나 보이지가 않는다.

비교하면 1983년에 야당 지도자이던 김영삼 전 대통령이 감행했던 단식투쟁과 대조가 되는 것이다. 다같은 야당의 최고 지도자이고 정권에 대한 강력한 투쟁방식으로 단식투쟁을 택한 것인데 그 무게와 공감이 훨씬 덜하게 느껴지는 것이다.

정치 지도자들은 중요한 순간에 자신의 정치적 요구를 관철하기 위해 목숨을 건 단식투쟁을 하기도 한다. 대체로 단식투쟁은 정치적 폭압이 지독하여 다른 투쟁의 수단이 없는 극한적인 상황에서 최후의 수단으로 선택한다. 또 권력이 대화를 하지 않고 힘으로 일방적으로 밀어붙일 때 저항의 강력한 수단으로 단식투쟁을 하기도 한다. 그리고 자신의 정치적 상황이 복잡하게 불리할 때 일거에 해결하기 위한 열쇠로서 단식투쟁을 택하기도 한다. 김영삼 전 대통령은 명백히 첫 번째 경우에 해당되고, 황교안 대표는 두 번째인 것처럼 내세우지만 그보다는 세 번째 경우에 가까운 것 같다.

어쨌든 정치 지도자가 단식투쟁을 할 때는 명분과 타이밍 그리고 결기와 공감이 중요하다고 볼 수 있다. 이런 중요한 요인들이 잘 결합되어야 단식투쟁은 빛을 발하고 정치적 투쟁으로 큰 성과를 얻을 수 있다.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고생만 실컷하고 별다른 정치적 성과를 얻지 못하는 우스운 꼴을 당하기도 한다. 그래서 단식투쟁은 잘하면 상대를 벨 수 있고 잘못하면 자신을 베게 되는 양날의 칼과 같은 조심스러운 투쟁수단인 것이다.

돌이켜 보면 김영삼 전 대통령은 전두환 군사독재의 폭압에 맞서 정말 목숨을 건 딘식투쟁을 감행하였다. 1983년 광주항쟁 3주기를 맞는 5월 18일 전격적으로 단식투쟁에 돌입하여 병원에 실려가 위험한 고비를 겪으면서도 23일간이나 단식을 계속하였다. 언론에 보도조차 제대로 되지 않았지만 전두환 독재정권이 놀라 김 전 대통령의 정치적 요구를 대부분 수용함으로써 정치적 승리로 단식투쟁을 마쳤던 것이다. 이후 가택연금이 해제되어 본격적인 만주화투쟁을 다시 할 수 있게 되었다.

김영삼 전 대통령의 단식투쟁은 명분, 타이밍, 결기, 공감 등 모든 요인이 잘 결합된 탁월한 정치적 승부수였다. 국민들은 민주화를 갈망했기에 정치적 명분은 최고였고, 광주항쟁 3주기에 맞추어 민주화투쟁을 재기하는 타이밍도 적절했고, 더욱이 목숨을 걸고 단식투쟁을 한다는 본인의 결기도 단호하였고, 국내는 물론 국외의 여론까지 호응하는 등 공감이 매우 컸다. 정말 야당의 최고 정치 지도자다운 명승부를 펼쳐 정치적 승리를 쟁취하였고, 역사적인 민주화투쟁으로까지 자리잡게 된 것이다.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27일 오전 청와대 사랑채앞 천막에서 지소미아 연장, 공수처법 철회, 연동형비례대표제 선거법 철회를 요구하며 7일째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 황교안 단식농성 7일째 황교안 자유한국당 대표가 27일 오전 청와대 사랑채앞 천막에서 지소미아 연장, 공수처법 철회, 연동형비례대표제 선거법 철회를 요구하며 7일째 단식농성을 이어가고 있다.
ⓒ 공동취재사진

관련사진보기

   
이에 비해 지금 진행중인 황교안 대표의 단식투쟁은 대조적으로 미흡한 면이 많이 드러나 보인다. 우선 가장 중요한 명분을 따져보면 지소미아 폐기 반대, 패스트트랙 반대 등 정치현안에 대한 요구를 내걸고 있지만 뚜렷한 명분이 약해 보인다. 타이밍 또한 정기국회가 막바지 시점인 지금 시급하게 해야 하는지도 회의적이다. 또 결기는 처음부터 영양제 투여와 과잉 의전으로 황제단식이라는 논란까지 일면서 약해져 버렸다. 그리고 공감이 국민들에게까지 확산되지 못했다.

이렇게 따져 보면 과연 그런 명분을 가지고 굳이 이 시점에 단식투쟁을 강행할 필요가 있느냐 하는 비판이 나오는 것이다. 그래서 국민적 공감이 약하다는 문제점을 극복하려고 단식투쟁중에 결기를 강화하여 단호한 모습을 보이려고도 했다. 그러나 여론에는 당내외에 직면하고 있는 자신의 정치적 위기를 해결하려 무리하게 단식투쟁을 펼친 것으로 비쳐지고 있다. 앞으로 계속 단식투쟁을 하면 정치적 상황의 변화가 올는지 모르겠지만 지금으로 보아서는 성공한 단식투쟁으로 평가받기가 어려워 보인다.

민주화투쟁의 싱징과도 같은 김영삼 전 대통령의 단식투쟁과 황교안 대표의 단식투쟁을 비교하는 것 자체가 무리일 수도 있겠다. 그때와 지금의 정치적 상황도 많이 다르고, 정치 지도자로서 두 사람의 무게도 차이나기 때문에 비교 자체가 곤란할 수도 있겠다. 그러나 어떤 경우이든 제1야당의 대표라는 위상은 정치적으로 매우 막중한 자리이다. 나라의 운영과 국민의 삶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정치 지도자인 것이다. 그렇다면 정치적 투쟁도 그만큼 무게있고 사려깊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단식투쟁과 같은 극한적인 투쟁을 선택할 때는 매우 신중해야 하는 것이다.

황교안 대표가 병원에 실려가고 위험을 겪자 자유한국당내에서 동조단식에 들어가면서 정치적 효과를 높이려는 시도를 하고 있다. 그러나 넓은 하늘을 손바닥으로 가릴 수는 없는 일이다. 자유한국당은 황교안 대표의 단식투쟁이 국민의 눈에 어떻게 비춰지고 있는지를 냉철하게 보아야 한다. 물론 패스트트랙이 국회에 상정되면 본격적인 투쟁을 하려고 단식을 마칠 작전을 세워놓았는지도 모른다. 그러나 국민들은 결코 그 작전에 대해 공감하고 지지하지 않을 것이다.
 

태그:#황교안 단식, #김영삼 단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