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개남 장군
 김개남 장군
ⓒ 박도

관련사진보기

동학혁명사의 연구 과정에서 중대한 미스테리의 하나는 전봉준ㆍ김개남ㆍ손화중 등 우두머리와 흥선대원군과의 밀약설ㆍ묵계설ㆍ암묵설ㆍ내통설 등 이른바 '연계설'이다.

여러 정황으로 보아 '접촉'은 있었을 것으로 보는 견해가 있는 반면 대원군의 교사에 의해 거사하지는 않았다는 주장에 힘이 쏠린다.

1636년(인조 14) 남한산성에서 주화파와 주전파가 밤을 새워 가면서 죽기로 싸울 것이냐, 치욕을 겪더라도 살아남아 후일을 도모할 것이냐를 두고 논쟁을 벌였다. 그로부터 258년이 지난 1894년 봄 전주부에서는 전봉준ㆍ김개남ㆍ손화중 등 동학농민혁명 지도자들이 비슷한 논쟁으로 날을 새웠다.
  
이곳이 김개남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의 주둔지였음을 알리는 팻말을 누군가 세워두었습니다.
▲ 교룡산성 성벽 이곳이 김개남이 이끄는 동학농민군의 주둔지였음을 알리는 팻말을 누군가 세워두었습니다.
ⓒ 서부원

관련사진보기

 
황현의 『오하기문』에는 세 사람의 의견을 소개하고 있다.

전봉준은 "지금 시세(時勢)를 보건대 왜(倭)와 청(淸)이 전쟁중인데 어느 쪽이 이기든 반드시 군사를 우리들에게 돌릴 것이다. 우리들은 비록 무리는 많지만 오합지졸이어서 쉽게 무너진다. 이 무리로서는 끝내 뜻을 이룰 수 없다. 현재의 질서 아래 각 고을에 농민군 역량을 보존하면서 시새의 변화를 지켜보자"는 신중론을 피력했다.

손화중도 "우리들이 봉기한 지 반년이 되었다. 전라도가 모두 호응하고 있지만 성망있는 사족(士族)이 지지하지 않고 부민(富民)이 지지하지 않으며 지식인이 지지하지 않는다. 더불어 접장(接長)이라고 부르는 자들은 모두 우둔하고 천해서 화를 즐기고 절취를 일삼는 자들 뿐이다. 인심의 향배를 알 수 있다. 반드시 일이 뜻대로 되지 않을 것이다. 사방에 우리 역량을 보존하여 후일을 도모하는 것이 좋다"고 하여 전봉준과 같은 뜻임을 말하고 있다.

그러나 김개남은 "이번 무리가 한번 흩어지면 다시 합하기 어렵다"하여 말로 전봉준, 손화중과 다른 입장을 취하였다. (주석 9)


이와 관련 비슷한 연구 결과도 소개한다. 정부에서 동학지도부의 이간책을 쓰고 농민군 측에서도 농사철을 맞아 동요가 일고 있었다. 조정에서는 특명전권안무사에 엄세영을 임명하여 전주로 출발시키며 동학군이 제기한 폐정개혁안을 받아들여 화의(和議)하는 방책을 썼다.
 
전봉준
 전봉준
ⓒ wikimedia commons

관련사진보기

 
온건파인 전봉준 대장은 전주성에서 처음으로 개남장(將)에게 제안했다.

"우리의 목적은 탐관오리를 일소하고 외침(外侵)을 방지하는 보국안민에 뜻이 있으며 다른 뜻은 없지 않습니까? 또한 관리들도 위아래 전체가 탁관(濁官)으로서 부정부패했다고 볼 수도 없는데다 조정에서 4월말경 청나라에 지원병을 요청하여 충청도 아산에 상륙한다는 설과 일본군들의 한양 입경설도 있다고 합니다. 조정에서는 우리 동학군의 뜻대로 폐정개혁을 들어준다 하니, 우리 농민군이 개혁안을 제출하여 약속을 받고 상호 화약하는 것이 어떻겠습니까?

손화중도 같이 김개남에게 주청하자 강경파인 개남장(將)은 대응했다.

"탐관오리는 왕도(王道)를 제대로 지키지 못하고 무분별한 인재 등용에서부터 발생한 것이오. 임금이 부실하면 나라에 액운이 오고 도처에 민란도 거듭 발생하는 것이며, 군왕(君王)이 현명한 성상(聖上)이 되는 것은 임금에게 달린 것이지 하늘에 있는 것은 아닌 것이오. 또 미운 자에게도 유공(有功)하면 필상(必賞)하고 착한 자라도 유죄를 하였을 때 필벌(必罰)하였다면 탐관오리는 있을 수 없는 것이오."

이는 민비와 대원군 사이에서 고종황제가 현명하게 대처하지 못했음을 지적한 것으로 김개남의 담대함을 엿볼 수 있게 하는 것이다. 당시 김개남은 북진을 완강하게 주장하였다. (주석 10)

 
흥선대원군 효유문. 크기 가로 27cm×세로 117㎝
 흥선대원군 효유문. 크기 가로 27cm×세로 117㎝
ⓒ 안병기

관련사진보기

 
정세는 여러 가지로 김개남에게 불리했다. 결국 동학농민군은 '전주화약'을 맺고 전주성을 물러나기로 하였다. 그 대신 폐정개혁안은 정부가 수용한다는 조건이었다.

김개남의 생각은 일관되었다. 계절이 농사철이고 아무리 외군이 진입하더라도 이런 기회를 한 번 놓치면 호국열정에 불타는 동학농민군을 다시 불러 모으기 어렵다는 이유를 들었다. 이번 기회에 부패무능한 왕조를 뒤엎고 그 힘으로 외적을 격퇴하자는 주장이었다.

전봉준과 김개남 등 주도자들이 최초 혁명을 논의할 때 사발통문의 4개결의 중 "전주영(全州營)을 함락하고 경사(京師)로 직행(直行)할 사(事)"라는 항목에서 보이듯 서울(한양)으로 북진하여 중앙의 탐관오리들을 척살하고 새 왕조를 세우는 것이 당초의 목표였다.


주석
9> 김은정 외, 『동학농민혁명 100년』, 295쪽.
10> 김기전, 『다시 쓰는 동학농민혁명사』, 130~131쪽.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동학혁명과 김개남장군‘]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동학혁명, #김개남장군 , #동학혁명_김개남장군, #동학군지휘부_노선갈등, #개남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