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천연기념물 제366호 '담양 관방제림'의 입구
 천연기념물 제366호 "담양 관방제림"의 입구
ⓒ 문화재청

관련사진보기

여름만 되면 장마로 인한 피해가 속출하고 있다. 특히 경상도와 전라도는 남부지방이라는 지리적 요건으로 인해 매해 대비를 철저히 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크고 작은 손실이 발생하고 있다.

문화재 역시 다르지 않아서 폭우가 올 때마다 피해가 발생하고 있다. 2019년의 경우 태풍 '링링'으로 인해 총 26건의 문화재가 피해를 봤다. 천연기념물 제541호 '경남 합천사 해인사 학사대 전나무'는 크게 부러져 손상을 입었으며, 보물 제1307호 '고흥 능가사 대웅전'의 벽체가 파손되는 등의 피해가 발생했다.

올해도 남부지방은 폭우로 인한 문화재 손상을 피해가기 힘들 것으로 보인다. 구례 화엄사 관계자는 "최근 사적 제505호 '구례 화엄사'의 진입로가 비로 인해 훼손돼 방문객의 출입을 잠시 중단하고, 빠른 수습을 할 예정"라고 밝혔다.

지금보다 열악했던 환경 속에서 조상들은 어떻게 폭우에 대비했을까. 미리 비를 측정하는 기구, 제사 등의 방법도 있었으나, 인공림을 조성해 재해를 막은 흔적도 존재한다.
 
?'담양 관방제림'의 내부 길
 ?"담양 관방제림"의 내부 길
ⓒ 문화재청

관련사진보기

수백 년 동안 한 자리를 지킨 420그루의 나무들

전남 담양에 있는 천연기념물 제366호 '담양 관방제림'은 담양천의 북쪽 언덕에 조성되어 있다. 정확하게 조성된 시기는 알 수 없으나 나무들의 수명으로 보아 조선 중기에 고을 부사가 백성들을 동원해 지은 것으로 추정하고 있다.

폭우로 인한 피해를 막기 위해 제방을 쌓고, 물을 조절하기 위한 나무들도 인공적으로 심었다. 면적이 무려 12만3173㎡에 이르며, 표준 높이는 500m다. 제림을 구성하고 있는 나무는 푸조나무(111그루), 팽나무(18그루), 벚나무(9그루) 등 총 420여 그루에 이른다.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구역 안에는 185그루의 나무들이 자라나고 있다. 문화재청 천연기념물과에서 확인한 결과 큰 나무들은 300~400년 전에 심어진 것이고, 비교적 작은 나무들은 1854년 황종림 담양부사가 심은 것으로 밝혀졌다.

담양 관방제림은 홍수 피해를 막기 위해 제방을 만들고 나무를 심은 인공림으로 우리 선조들의 자연재해를 막는 지혜를 알 수 있는 역사 및 문화적 자료로서의 가치가 커 1991년 천연기념물 제366호로 지정됐다.

문화재청이 2014년에 작성한 조사서에 따르면, 천연기념물로 지정된 후 관람객들이 늘어나자 수분의 유입과 통기가 불량해졌으며 대부분의 수목들이 활력을 잃어서 근본적인 관리 대책이 요구된다고 기록되어 있다. 조상들이 자연재해를 막기 위해 조성한 천연기념물인데, 인간의 행위로 인해 파괴된다는 것은 본래의 뜻에서 어긋나는 일이다.

다가오는 여름 재해 속에서 조상들의 지혜를 본받아 문화재에 대한 피해가 없도록 노력을 가해야 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CPN문화재TV에도 실립니다.


태그:#담양관방제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문화유산 현장취재 기사를 쓰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