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대흥의좋은형제공원 비석거리에 있는 이건하 영세불망비(오른쪽)와 거사비.
 대흥의좋은형제공원 비석거리에 있는 이건하 영세불망비(오른쪽)와 거사비.
ⓒ <무한정보> 김동근

관련사진보기


충남 예산군이 발 빠르게 '친일파 기념물' 정비에 나섰다. 매헌 윤봉길 의사의 고장에서 역사를 바로 세우기 위해 이들의 행적을 알리는 안내판을 설치하기로 한 것.

대상은 '백성을 자애롭게 여기고, 청렴하고, 고결하여 그 덕을 기리기 위해 세웠다', '대흥군에 각별한 선정을 베풀었다'는 해설이 달린 △정낙용 상공 영세불망비(군청앞 비석군) △정주영 관찰사 청덕선정비(군청앞 비석군)·상서 유혜기념비(대흥의좋은형제공원 비석거리) △이건하 관찰사 영세불망비·순상 거사비(대흥의좋은형제공원 비석거리)다.

군에 따르면 기자가 8월 15일 광복절을 맞아 '소녀상 건너편 친일파 기념물'을 보도한 뒤, 충남도역사문화연구원 독립운동사·조선시대 전문가 현장자문을 받아 친일행적을 기록해 알릴 수 있는 안내판을 설치하기로 했다. 필요한 예산은 제2회 추가경정예산을 통해 군비로 확보했다.

세 사람은 민족문제연구소가 발간한 친일인물사전에 이름을 올린 친일반민족행위자들이다.

이건하는 대한제국기 중추원 찬의와 충남도관찰사 등을 지낸 경기도 광주 출신이다. 1910년 한일합병(경술국치) 공로 남작 작위, 1911년 은사공채 2만5000원,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 등 종4위에 서위됐다.

정낙용은 일제가 1910년 남작 작위, 1911년 은사공채 2만5000원, 1912년 한국병합기념장을 하사한 인물이다. 장남인 정주영은 작위를 승계해 1915년 조선총독부가 식민지배를 정당화하고 시정사업을 선전하기 위해 연 '시정5년기념 조선물산공진회 경성협찬회의' 특별회원으로 참여해 기부했다. '다이쇼천황 즉위기념 대례기념장'도 받았다.

반면, 1900년 8월 정주영과 대술 시산리로 내려와 어린 시절을 보낸 딸은 아버지와는 정반대의 삶을 살았다. 김구 선생이 '한국의 잔다르크'라고 칭한, '임시정부의 어머니' 수당 정정화다.

그는 1919년 3·1운동 직후 상하이로 건너가 1930년까지 국내를 오가며 거액의 독립운동자금을 모집했다. 1934년 한국국민당 입당, 1940년 한국독립당 창당요원·한국혁명여성동맹 조직, 1941년 3·1유치원 교사, 1943년 대한애국부인회 참여 등으로 정부는 1982년 대통령표창에 이어 1990년 건국훈장 애족장을 수여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남 예산군에서 발행되는 <무한정보>에서 취재한 기사입니다.


태그:#일제청산, #친일파 기념물, #예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본인이 일하고 있는 충남 예산의 지역신문인 무한정보에 게재된 기사를 전국의 독자들과 함께 나누고픈 생각에서 가입합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