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3년 3월 박근혜 정권 출범 직후 보수단체 세마나에서 문화예술계 좌편향을 주장하던 김병재 평론가.

2013년 3월 박근혜 정권 출범 직후 보수단체 세마나에서 문화예술계 좌편향을 주장하던 김병재 평론가. ⓒ 유튜브 방송 화면

 
영상물등급위원회(아래 영등위)가 22일 제9기 위원장에 김병재 평론가를 선출하면서 논란이 되고 있다.
 
김병재 평론가는 박근혜 정권 시절 "문화예술계가 좌편향 돼 있다"며 "주도면밀한 대응"을 주문하기도 했고, 2015년 부산영화제 지원금 삭감 논란 당시 이를 옹호하는 대필 기고 논란을 일으켰다. 이런 이유로 영등위원으로 선임됐을 때부터 부적절하다는 영화인들의 비판을 받았다.

2013년 3월 박근혜 정권 출범 직후 선진화시민행동-문화미래포럼-한국문화안보연구원이 주최한 '한국 사회와 문화 현실' 세미나에서 그는 영진위 산하 노조 등을 좌파로 규정한 후 "문화계 중 영화계만큼 좌파들이 실세를 이루고 있는 곳이 없다"는 인식을 나타냈다.
 
또한 영진위 사무국장으로 재임했을 때를 떠올리며 "10년 좌파 기간 동안에 영화 정책을 입안한 사람들의 계획과 정부 돈을 어떻게 영화계 쪽으로 유용했는지 봤는데 잘못이 있다"고 말했다.
 
하지만 그는 영진위 사무국장으로 재직하던 2009년 3월, 계약 만료 예정인 직원 5명을 일괄적으로 해고 예고 통보 조치해, 영진위 노동조합의 반발을 샀고 강한섭 위원장과 함께 퇴진 요구를 받기도 했다.
 
김병재 평론가는 부산영화제에 대한 정치적 탄압 논란이 한창이던 2016년 1월에는 부산지역 일간지 기고를 통해 "부산영화제 사태는 개인에 대한 법률적 문제일 뿐 영화제 죽이기가 아니"라고 박근혜 정권의 입장을 대변했다. 이후 다른 언론 기고 등을 통해 "부산영화제 지원 삭감에 정치적 보복 의혹을 제기하고, 정당한 심사 절차와 내용까지 불신하는 것은 억지다"라는 주장을 폈다.
 
'2016년 국제영화제 육성지원사업' 심사위원으로도 참여했는데, 당시 부산영화제는 2015년에 이어 2년 연속 10억 미만을 지원받게 됐다. 이후 조사 과정에서 박근혜 정권 차원의 블랙리스트 탄압이라는 사실이 밝혀졌다.
 
특히 김병재 평론가의 언론 기고가 영진위의 청탁에 의한 것이었다는 사실이 2017년 3월 도종환 의원에 의해 국회에서 공개돼 파장이 컸다. 2017년 한국영화평론가협회장으로 선출됐으나 대필기고 논란이 드러나면서 중도 사퇴했다.
 
[관련기사]
"영화계는 좌파 실세가 지배"라던 이가 영화평론가협회장? https://omn.kr/mmo7
부산영화제 여론 조작 대필 기고 사실로 드러나 https://omn.kr/mtfi
 
"정부의 영화예산 삭감 불가피" 옹호
 
 지난 4월 26일 유인촌 문체부 장관에서 임명장을 받는 영등위원들. 우측이 김병재 평론가

지난 4월 26일 유인촌 문체부 장관에서 임명장을 받는 영등위원들. 우측이 김병재 평론가 ⓒ 문체부 제공

 
김병재 평론가는 지난해에도 정부의 영화제 예산 삭감에 대해 언론기고를 통해 "불가피해 보인다"며 "지자체 주민과는 상관없는 영화인들만의 영화제에 이중삼중으로 혈세를 낭비해서는 안 된다"는 입장을 나타냈다.
 
지난해 연말부터 김병재 평론가가 영등위원장으로 내정됐다는 이야기가 영화인들 사이에서 있었는데, 문체부 측은 지난 1월 이에 대한 확인요청에 "아직 위원 선임 과정에 있고, 위원장은 위원들이 호선을 통해 선임한다"는 원론적인 입장만을 밝혔으나 소문대로 귀결된 셈이다. 
 
영화계는 영화예산 삭감을 옹호하는 등 여러 논란의 중심에 있던 인사가 영등위원장으로 선임된 것에 대해 국가범죄로 규정한 블랙리스트의 귀환으로 평가하는 모습이다. 한국영화로서도 치욕적이라는 지적이 나온다.
 
정윤희 '블랙리스트 이후' 디렉터는 "김병재 영등위원장은 블랙리스트 정권에 적임자로 보인다"라며 "이분이 그동안 쏟아낸 말은 이명박 정권 블랙리스트 기조인 '문화권력 균형화 전략'의 좌파 예술인 적출 내용과 판박이고, 늘 한결같은 입장인 것 같은데, 윤석열 정권이 검열을 강화하겠다는 뜻을 나타내는 것 같다"고 평가했다.
 
한편 김병재 위원장은 영등위원장 선출된 후 "급변하는 미디어 환경에 맞춰 등급분류제도의 실효성을 강화하고, 등급분류에 대한 다양한 소통과 협업을 확대하여 보다 발전적인 등급분류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노력하겠다"라고 밝혔다.
영상물등급위원회 김병재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