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경상감영 공원에 위치한 팔각정 타종 시민체험 행사 광경
▲ 팔각정 타종행사 체험광경 경상감영 공원에 위치한 팔각정 타종 시민체험 행사 광경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 팔각정 타종체험 행사 경상감영 공원내 팔각정에 위치한 종을 치고 있는 일반 시민들
ⓒ 김용한

관련영상보기


대구관광협회와 대구시 주관으로 열리고 있는 경상감영 풍속재현행사가 시민들로부터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6일 종로 근처에 위치한 경상감영공원(옛 중앙공원)에서 펼쳐진 경상감영풍속재현 행사는 일반 시민들은 물론이고 외국 관광객들에게 조차 인기 있는 명물코스로 각광을 받고 있다.

매주 토요일마다 실시하고 있는 풍물재현 행사는 경점시보 의식(조선시대 북을 이용해 시간을 알려주는 것), 수문병 교대의식(포졸들이 교대하는 것), 순라군 활동(조선시대 감영 소속 군사들의 순찰), 수문병 교대의식(포졸들이 교대하는 광경) 등을 재현해 내 가족단위 방문객들에게 좋은 볼거리이자 역사 교육장소로서 도움이 될 만한 곳이다.

경상감영 공원에서 수문병이 교대의식을 재현해 내고 있다.
▲ 수문병 교대의식 경상감영 공원에서 수문병이 교대의식을 재현해 내고 있다.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이외에도 민속연희행사, 전통의상 체험행사, 타종체험행사, 역사퀴즈행사, 순라군들과 기념촬영하기, 가마체험, 민족무예 시연 등이 펼쳐졌다.

팔각정에 있는 종 타종행사에 참여했던 이종경 지도교사(아이눈 기자단)는 “타종행사에 대해서는 인터넷을 통해 접했는데 막상 타종행사에 체험해 보니 더 흥미롭고 재미있었다”고 말했다.

이어 그는 “어린 학생들이 좀 더 이해하기 쉽게 더 많은 홍보자료와 교육 자료들을 준비해 주면 좋겠다”는 바람을 전했다.

조선시대 순라군이 도둑,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마을을 돌던 모습을 재현 해 내고 있다.
▲ 순라군의 활동 재현 조선시대 순라군이 도둑, 화재를 예방하기 위해서 마을을 돌던 모습을 재현 해 내고 있다.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타종에 참여했던 윤성은 초등학생(아이눈 기자단)도 “소리가 커서 무서웠지만 종을 치는 것이 재미있었다”고 말했다.

또 다른 동료인 윤성흠 학생도 “경상감영 공원에 종이 있다는 것을 잘 알지 못했는데 직접 종을 치고 만져볼 수 있어 흥미로웠다”고 말했다.

지난해부터 경상감영공원에서 행사를 주관해 온 대구시관광협회 김태규 부장은 “많은 시민들이 참여해 줄 때 가장 보람을 느끼고 만족한다”고 강조했다.

가마타기 체험행사를 하고 있는 어린 학생들
▲ 가마타기 체험 가마타기 체험행사를 하고 있는 어린 학생들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그는 “시민들의 참여만큼이나 외국 방문객들이 찬사를 보낼 때 더 보람을 느낀다”고 설명하면서 “외국 방문객을 비롯해 어린 학생들이 경상감영 공원을 찾아 역사적인 학습장소로서 도움이 되길 바란다”는 당부도 하였다.

경상감영 풍속재연 행사에 재미를 더해주기 위해 민속무예 시연을 펼친 김상학 관장(24반 무예, 부산)도 “전통무예, 민족무술에 대한 관심이 높아질 수 있는 자리가 주어진 것에 만족하고 보람을 느낀다”고 소회했다.

24반 무예단은 곤봉권법을 비롯해 검법시연, 실전베기, 구조물베기 등을 시연해 구경 온 시민들로부터 박수갈채를 받았다.

24반 무예를 시연해 보이고 있는 김상학 관장.
▲ 24반 무예 시연 24반 무예를 시연해 보이고 있는 김상학 관장.
ⓒ 김용한

관련사진보기


경상감영 풍속재연행사는 오는 10월말까지 매주 토요일 오후 2시부터 4시까지 경상감영공원 일원에서 진행된다.

덧붙이는 글 | 경상감영공원은 400년 전 대구로 옮겨온 경상감영이 처음 자리잡았던 곳으로 그 터를 영구히 보존하자는 취지에서 새롭게 단장하였다. 경상감사가 집무를 보던 선화당(대구 유형문화재 제1호)과 처소인 징청각(대구 유형문화재 제2호), 관찰사의 치적이 담긴 선정비 27기가 있다. - 대구시 제공



태그:#경상감영, #대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든 사람이 기자가 될 수 있다"는 말에 용기를 얻고 글을 쓰고 있습니다. 우리가 바로 이곳의 권력이며 주인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