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정부와 경찰의 집회금지와 원천봉쇄로 지난 11일 ‘한미FTA저지, 비정규직 철폐, 반전평화 범국민행동의 날’ 집회가 정상적으로 열리지 못하자 경남조직위원회는 시․군지역 경찰서장의 공개사과 등을 촉구하고 나섰다.

 

경남조직위는 15~16일 사이 각 시․군조직위원회별로 해당 경찰서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항의방문을 하기로 했다. 창원조직위원회는 15일 창원서부․중부경찰서 앞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항의방문하며, 마산조직위원회는 마산 동부경찰서, 사천조직위원회는 사천경찰서에 각각 항의방문한다.

 

이들은 “집회의 자유는 헌법이 보장하는 국민의 기본권이다. 시민들의 이동권을 막는 것은 국민들의 기본권을 막아나서는 일이다. 11일 대회 과정에서 생긴 모든 불미스러운 일들은 경찰측에서 모든 책임을 져야한다”고 촉구할 예정이다.

 

창원조직위원회는 미리 낸 자료를 통해 “불법적인 차량절취 탈법적인 차량이동권 봉쇄를 진행한 창원 서부, 중부 경찰서장은 공개사과할 것”과 “11일 대회의 불법적인 차량절취와 차량이동권 봉쇄 등 창원지역에서 발생한 모든 일들의 책임은 경찰에게 있음을 시인하고 경찰에서 모든 책임을 질 것”을 촉구했다.

 

또 창원조직위원회는 “경찰측의 차량 탈취와 원천봉쇄로 인한 차량비, 식사비 등 경제적 손실을 보상할 것”도 함께 요구했다.

 

창원조직위원회는 미리 낸 기자회견문을 통해 “살기 위해서는 오직 거리로 나설 수밖에 없었던 노동자, 농민, 시민들이 참여하는 11일 범국민대회는 정부와 경찰에 의해 불법 집회로 매도되었다”면서 “국민들의 분노의 표출을 막기 위한 막가파식 경찰들의 불법 행위는 민주주의를 완성했다고 자처했던 노무현 정권에 의해 7- 80년대 군사독재시절로 회귀하였다”고 지적했다.

 

또 이 단체는 “한미FTA 저지, 비정규직 철폐, 반전평화의 외침은 이 땅에 살아가는 국민으로서 너무나 당연한 요구 임에도 불구하고 노무현 정부는 국민들의 피맺힌 외침을 불법으로 매도하였으며, 이에 따라 경찰들은 불법적인 인권 유린 행위를 자행되었다”고 덧붙였다.


태그:#범국민행동의날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오마이뉴스 부산경남 취재를 맡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