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통일문제연구협회를 창립했지만 운영은 쉽지 않았다.

시국의 급변이 영향을 미쳤다. 박정희 정권은 71년 10월 15일 서울에 위수령을 발동, 각 대학에 휴교령을 내리고 10월 16일 박대통령은 느닷없이 국가비상사태를 선언한 데 이어 10월 27일 야당의 반대 속에 대통령에게 비상대권을 부여하는 국가보위법을 변칙 통과시켰다.

해가 바뀐 1972년 7월 4일 남북공동성명을 발표하고, 10월 17일 친위쿠데타를 일으켜 비상계엄을 선포, 국회를 해산하는 등 폭거를 감행했다. 서민호와 김대중 신민당 후보가 남북대화와 교류 등을 주창할 때는 용공좌경, 국보법과 반공법으로 탄압하더니, 불과 1년도 안 되어 이후락 중앙정보부장이 극비리에 평양을 방문하고 7.4성명을 발표하는 등 돌변하고 이를 추진하기 위해서라는 명분으로 10월유신이라는 정변을 감행한 것이다.

이와 같은 정세의 변화 속에서 서민호는 1973년 2.27 유신국회의원(제9대 국회의원) 출마를 거부하고, 통일문제연구협회 운영에 혼신의 힘을 다하였다. 그가 가는 길에 언제라고 순탄한 적이 있었던가.

월파가 주축이 된 '통일연구협회'라는 단체가 본격적인 활동에 돌입하게 되었습니다. 그런데 구정(설날)을 불과 이틀 앞두고 월파가 나를 불러 갔더니 "직원들도 다 처자가 있는 몸들인데 구정은 쇠야하지 않겠소? 권 동지가 이거 좀 팔아가지고 오시오"하고 회중시계를 하나 꺼내 놓았습니다. 

그것은 롤렉스 금제 회중시계로 당시 그런 시계를 갖고 다닌 사람은 그다지 많지 않았습니다. 값도 비쌌을뿐더러 금시계를 허리춤에 차고 다니며 정치하는 사람들도 거의 없었습니다. 멋쟁이였던 월파였기에 가능한 일이었습니다.

"아무리 그렇지만 선생님께서 애지중지하시던 그 금시계를 어떻게 팔겠습니까?"

내가 그렇게 만류를 했지만, 월파는 계속 팔아오라고 했습니다. 그래서 나는 할 수 없이 남대문시장에 나가서 당시 돈 20만 원을 받고 그 시계를 팔았습니다. 그때가 섣달 그믐날이었습니다. 

그런데 시계 판 돈을 갖고 월파에게로 돌아가려던 차에 어디선가 연락이 왔습니다. "월파가 심장마비로 돌아가셨다"는 비보였습니다.

일제와 이승만 폭정을 헤치며 살아온 그가 계엄령이나 유신체제에 기가 죽을 인물이 아니었다. 통일에 대한 국민계몽을 위해 세미나와 강연회를 열고, 1972년 9월에는 <통일연구>라는 학술지 회보를 펴냈다. 월례 발표회를 통해 발표된 논문을 모은 것이다.

"김두헌 박사 등 동 협회 연구위원들이 처음으로 내놓은 이 논집 속에는 <가치론에서 본 통합의 원리>(김두헌), <내외정세 속의 통일과 안보관계>(민병천), <3중쇄국성과 우리의 조국통일문제>(김준희), <전환기적 상황극의 한국 통일문제>(이승헌), <중공의 외교정책과 통한문제>(조재권) 등 통일논의에 관한 연구논문이 실려있다. 

이 외에도 <통일을 내다 본 농업개발문제>라는 최종식 박사의 논문과 법학자 정범식 박사가 집필한 <통일과 가족문제> 등 다채로운 논문이 담겨져 있다.(통일 연구협회 간, 비매품)"

서민호는 협회가 주최한 연설회와 세미나 인사말을 통해 "7.4성명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하기 위해서는 반공법과 보안법을 대폭 개정하고 비상사태를 철회하여 위축된 국민의 사기를 높여주는 것이 시급한 과제"라고 언성을 높이고, "남북조절위원회 위원은 대통령 측근이나 반민주인사들을 제외하고 국민의 신뢰를 받는 인재를 등용하라"고 촉구했다.


주석
3> 권노갑, <누군가에게 버팀목이 되는 삶이 아름답다>, 191쪽, 살림, 1999.
4> <신아일보>, 1972년 9월 12일. 
 

덧붙이는 글 | [김삼웅의 인물열전 - 월파 서민호 평전]은 매일 여러분을 찾아갑니다.


태그:#서민호, #월파_서민호평전, #월파서민호평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군사독재 정권 시대에 사상계, 씨알의 소리, 민주전선, 평민신문 등에서 반독재 언론투쟁을 해오며 친일문제를 연구하고 대한매일주필로서 언론개혁에 앞장서왔다. ---------------------------------------------

이 기자의 최신기사사회격변기의 청년시절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