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신라 화랑' 하면 어떤 것이 떠오르나요? 황산벌 전투에서 홀로 계백장군의 백제군에 쳐들어가 용감하게 싸운 관창을 떠올리는 사람이 많을 것입니다. 화랑은 이렇게 '임전무퇴', 즉 전쟁에 하는 데 있어 절대 물러서지 않는 용감함을 상징합니다. 전쟁에서 물러나지 않는 용감함은 단지 화랑뿐 아니라 신라의 정신이었으며, 이러한 정신은 신라가 고구려와 백제를 무너뜨리고 삼국을 통일하는 데 큰 힘이 되었습니다.

647년 진덕여왕 때의 일입니다. 백제군이 신라를 쳐들어오자 김유신이 1만 명의 군사를 이끌고 가서 싸웠습니다. 하지만 싸울 때마다 계속 패배하여 전투에 참가한 신라 군사들은 백제군을 이길 수 없다는 절망감에 빠졌습니다. 이때 김유신은 휘하 장군이었던 비령자를 부릅니다. 비령자는 신라군의 승리를 위해 자신의 목숨을 바칠 것을 김유신에게 다짐합니다. 비령자는 자신을 따라온 하인 합절에게 말합니다. 

"내 아들 거진이 어리지만 용맹하니 나를 따라 죽으려 할 것이다. 하지만 아버지와 아들이 모두 죽으면 집안을 누가 책임질 것이냐? 아들 거진과 함께 내 시신을 잘 거두어 집으로 돌아가 거진이 어머니를 잘 돌볼 수 있도록 도와주어라."

그 말을 마친 비령자는 적진에 뛰어들어 싸우다 전사합니다. 그것을 본 아들 거진 역시 홀로 적진으로 뛰어들려고 합니다. 그러자 합절은 거진이 탄 말의 고삐를 잡고 비령자의 말을 전합니다. 

"지금 적진으로 뛰어드는 것은 아버지의 말을 어기는 것이니 불효이고, 어머니를 혼자 남겨두는 것 또한 불효입니다. 아버지의 시신을 거두어 어머니를 봉양하셔야 합니다." 

하지만, 거진은 아버지의 죽음을 보고 구차하게 사는 것은 효가 아니라 외치며 적진에 뛰어들어 싸우다 전사합니다. 그 모습을 본 합절 역시 "나 혼자 사는 것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라며 적진에 뛰어들어 용감히 싸우다 전사합니다. 이 세 사람의 죽음을 본 신라군은 크게 용기를 내어 앞다투어 백제군을 공격하였고 큰 승리를 거두게 됩니다.  

나라에 충성하고 부모에게 효도하며, 전쟁에 있어 물러서지 않았던 비령자, 거진, 합절의 이야기는 조선시대에도 전해져 삼강행실도에 '충신'의 상징으로 실렸으며, 조선왕조실록을 보면 왕과 신하의 경연 등에서 충신에 대한 이야기를 할 때 자주 거론이 되었습니다.

1924년에 경주 금령총에서는 2개의 기마인물형토기가 발굴되었는데 하나는 귀족인 주인을 표현했으며, 하나는 하인의 모습을 하고 있습니다.  두 인물 모두 전쟁에 나가는 듯한 모습을 보이고 있습니다. 
 
기마인물형토기 주인상
 기마인물형토기 주인상
ⓒ 국립중앙박물관

관련사진보기

 
주인상은 차림새가 매우 화려합니다. 머리에 쓰고 있는 관모는 아주 화려하며, 멋진 갑옷을 입고 있습니다. 말에는 여러 가지 화려한 말갖춤을 하고 있습니다. 주인의 얼굴을 보면 콧대가 높고 매우 도도한 표정을 짓고 있습니다. 전쟁에서 공을 세우기 위해 어떤 전략을 짜는 듯한 모습과 장수로서의 위엄이 보입니다. 구석구석 작은 부분까지 화려하게 만들어져 장인의 세심한 손길을 느낄 수 있습니다.
 
기마인물형토기 하인상
 기마인물형토기 하인상
ⓒ 국립중앙박물관

관련사진보기

 
하인상은 전체적인 모습은 비슷하나 꾸밈이 매우 다릅니다. 머리에 쓰고 있는 모자도 아무 장식이 없는 단순한 모양이며, 갑옷은커녕 상의는 입고 있는 않았습니다. 하의는 갑옷이 아닌 천으로 만든 옷인 것처럼 보입니다. 주인상과 달리 말을 탈 때 발을 고정하는 등자도 없고, 말이 달릴 때 흙이 사람에게 튀지 않도록 막아주는 말다래도 장식 없이 밋밋합니다. 얼굴 또한 주인상과 달리 무표정합니다.

이 주인상과 하인상은 함께 놓인 채로 발견되었는데요. 주인상이 앞에 있었을까요? 하인상이 앞에 있었을까요? 비령자의 이야기를 들어보면 주인상이 용감하게 앞서고 하인도 그 주인을 따라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전쟁에 뛰어들었을 것 같습니다.
   
기마인물형토기 발굴 모습
 기마인물형토기 발굴 모습
ⓒ 국립중앙박물관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발굴 당시의 사진을 보면 하인상이 앞에 있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하인이 앞서고 있다니 이 금령총의 주인은 다른 신라의 장수들과 다르게 비겁했던 것일까요?

답은 하인이 손에 들고 있는 방울에 있습니다. 예로부터 방울은 귀신을 부르거나 쫓는 데 사용하였습니다. 이 기마인물형토기가 발견된 곳은 금령총이라는 무덤입니다. 전쟁에 나서는 것이 아니라 저승으로 가고 있는 길이지요. 저승 가는 길에 하인이 방울로 주인의 영혼을 인도하고 있습니다. 

그렇게 바라보니 살아서 평생을 용맹하게 전쟁에서 싸웠던 주인의 영혼을 하인의 영혼이 편안하게 모시고 저승으로 가고 있는 것 같습니다. 하인의 얼굴을 보니 "평생을 앞서서 싸우셨으니 이제 편안히 제가 이끄는 대로 따라오세요"라고 말하는 듯합니다. 그래서 기마인물형토기 주인상은 결코 비겁했던 것이 아니라 살아서의 책임을 다하고 잠시 휴식을 취하고 있는 모습입니다. 

'주인 의식'이라는 말이 있습니다. 사전적 의미는 '일이나 단체 따위에 대하여 주체로서 책임감을 가지고 이끌어 가야 한다는 의식'입니다. 비령자처럼 목숨을 거는 것은 아닐지라도 우리는 우리의 삶 속에서 주인으로서 살아가고 있는지 질문을 던져봅니다. 자신의 삶에 주인으로 산다는 것은 '자신을 사랑하고, 희망을 가지고 행복해지기 위해 적극적으로 노력하고, 자신의 말과 행동에 책임을 지는 것'입니다.

가끔은 내가 감당할 수 없을 만큼의 어려움이 짓누를 때가 있습니다. 그럴 땐 자신의 무능력함에 진저리 쳐질 때도 있습니다. 개인이 해결할 수 있는 것이 문제가 아니라 사회 현실이 이런 것이라 어쩔 수 없다고 탓하고, 해결보다는 어떻게 하면 피할 수 있을까를 생각하게 될 때도 많습니다.

그래도 우리는 비령자가 전쟁이라는 위기의 상황에서 그 이름을 빛냈듯, 어려움을 극복하는 과정을 통해 사람이 성숙해진다는 걸 알고 있습니다. 그 극복의 열쇠는 내 삶의 주인은 내가 되는 것, 즉 나를 사랑하고 희망을 잃지 않는 것입니다. 그리고 그 마음으로 다른 사람의 어려움을 보듬어 안아주는 따스한 마음도 함께 가졌으면 합니다. 

태그:#기마인물형토기, #주인의식, #희망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역사와 삶에 대해 공부하고 글을 쓰는 초등교사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