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푸른 들판을 보면서 가는 길은 아름답다. 별의 고장이자 별의 도시라 불리는 영천의 문화재와 보현산 천문대를 찾았다. 여러번 다녀온 장소들이지만 이번에는 여름캠프를 맞아 체험하고 즐기려고 다시 찾았다.

푸르른 들녘
▲ 푸르른 들녘 푸르른 들녘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임고서원을 지나면 있는 임고초등학교에 잠시 들렸다. 이 곳은 2003년 제4회 아름다운 숲 전국대회에서 아름다운 학교 숲 대상을 수상한 곳으로 아직도 플라타너스 등 학교내 조성된 숲은 걷고 싶은 곳으로 많이 찾는다. 도심속내의 학교와는 또다른 분위기가 연출된다.

임고초등학교 숲
▲ 임고초등학교 숲 임고초등학교 숲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임고초등학교 숲
▲ 임고초등학교 숲 임고초등학교 숲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선원동 철불좌상

임진왜란 때 영천 의병장이었던 호수 정세아(1535∼1612) 선생과 그의 아들 백암 정의번(1560∼1592)의 충절을 기리기 위하여 세운 사당인 환구세덕사가 있다.

환구세덕사
▲ 환구세덕사 환구세덕사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조금 더 가면 철불선원이란 작은 절에 모셔진 선원동 철불좌상은 보물 제513호로 불상은 두 손이 없어지고 불신만 남아 있었던 것을 2002년 손을 수리하는 등 보수를 하였다. 주조 후에 땜질한 흔적이 곳곳에 보인다.

선원동 철불좌상은 신라인근에서 보기드문 경북지역 철불좌상이다.
▲ 선원동 철불좌상 선원동 철불좌상은 신라인근에서 보기드문 경북지역 철불좌상이다.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경주인근에서 나타나는 고려 전기 우수한 철불상이다. 전해지는 이야기로는 현몽에서 발견한 것이라 한다. 주변에는 복숭아가 잘 익어 가고 있다.

정용준 가옥 연정고택

영천에는 고택들도 많은데 그중 ㅁ자형 구조에 정자를 가진 정용준 가옥을 찾았다. 입구에 연꽃이 많이 피는 연못이 있어 연정고택이라고도 하며 2006년 영화 <그해여름>에서 이병헌과 그의 첫사랑 수애가 나온 촬영장소로 알려져 있다. 마을 곳곳에 전통가옥이 남아 있어 둘러보기에도 좋은 장소다.

정용준가옥
▲ 정용준가옥 정용준가옥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연정
▲ 연정 연정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보현산 천문대와 천문과학관

보현산 천문대는 보현산 정상에 건설된 천문대인 천문학 연구 기관으로 한국에서 가장 큰 1.8m 반사망원경 및 1.0m 태양 플레어 망원경 등 다수의 천체 관측 시설을 보유하고 있고
광학천문관측의 중심지로 항성, 성단, 성운과 은하 등의 생성과 진화를 연구하고 있다.

보현산천문대
▲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보현산천문대
▲ 보현산천문대 보현산천문대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주차장에서 정상까지 걷고 싶은 길인 천수누림길을 만들어 탐방객들의 편의를 활용하고 있으며 일반시민들이 쉽게 접근하여 최근 영천관광의 새로운 명소로 부각되고 있다.

천수누림길
▲ 천수누림길 천수누림길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보현산 천문대 입구 마을인 절골(탑골)에는 정각리 삼층석탑이 있는데 고려시대 초기 석탑으로 주변 전경과 잘 어울리는 곳이다.

정각리삼층석탑
▲ 정각리삼층석탑 정각리삼층석탑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천문대 입구 별빛마을에 위치한 천문과학관은 입장료가 2천원인데 5D돔영상관이 있어 우주모습을 생생하게 재현하여 볼 수 있다. 가상현실속에 만나는 우주와 롤러코스터의 실감나는 영상은 빠져들기에 충분하다.

천문과학관
▲ 천문과학관 천문과학관
ⓒ 김환대

관련사진보기


최신시설과 전시실 그리고 관측실과 설명이 곁들여져 우주에 관한 궁금증을 풀어보는 장소로 아이들과 함께 많이 찾는 학습공간으로 거듭나고 있는 곳이다.

별의 고장답게 밤 하늘의 많은 별들은 오염되지 않은 정취를 느끼기에 충분하다. 몰랐던 천문과 우주에 대해 알 수 있는 기회가 된 것 같다.  별의 도시 영천에서의 하룻밤은 이렇게 깊어가고 있다.  


태그:#보현산천문대, #영천보현산천문과학관, #선원동철불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전국의 문화유적을 찾아 답사를 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구석진 곳에 우리문화를 찾아서 알리고 문화관련 행사를 좀 더 대중에게 보급하고자 하며 앞으로 우리문화재의 소중함을 일깨워 나아가려고 합니다. 괌심분야는 역사유적, 석조조형물과 민속,고건축물 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