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옛날 생각이 절로나는 동네 이발소
 옛날 생각이 절로나는 동네 이발소
ⓒ 이동호

관련사진보기


단골 이발소가 갑자기 문을 닫았다.
아주 폐업한 것은 아닌데 늘 문이 닫혀 있어 주변 사람에게 물어보니 이발소 아저씨가 팔이 부러져 당분간은 이발소를 운영하지 못한다고 한다.

다른 사람들도 마찬가지겠지만 한번 단골로 정한 곳을 바꾸기 쉽지 않다. 특히 머리의 경우는 이발소마다 깍는 기술이 조금씩 달라 내 스타일을 잘 알고 있는 단골 이발소를 쉽게 바꾸지 못한다.

어디에서 머리를 깍아야 하나 고민하다 할 수 없이 다른 동네 이발소를 찾아 보기로 했다.
미장원은 싫고 옛날 추억을 더듬을 수 있는 동네 이발소를 찾아 이곳 저곳을 다니다 드디어 마음에 드는 곳을 발견했다.
주변에 미장원이 두 군데 있고 그 가운데 보이는 이용소 간판이 반가웠다.

오후 시간이라 손님은 없고 주인과 아주머니가 TV를 보다가 반갑게 맞아 주었다.
주인 아저씨는 60대 중반으로 예전에 다니던 이발사와 거의 비슷해 보였다.
사장님은 이발 경력 40년이 넘었다고 했다. 서울에서 10년 넘게 이발을 하다 이곳에 온 지 30년이 되었다고 한다.

"한때는 이발소가 호황을 누린 적이 있었죠... 하지만 미장원이 생기면서 하나 둘 문을 닫고 남아 있는 사람들도 동네 변두리로 밀려났죠..".
사장님의 자조섞인 목소리가 서글퍼 보였다.

머리를 깍고 나서 아주머니가 얼굴 마사지와 면도를 해주었다.
숙련된 솜씨로 얼굴 마사지와 면도를 끝내고 나니 얼굴을 한꺼풀 벗겨낸 것처럼 참 시원했다.

머리를 감고 다시 의자에 앉으려고 하는데 한쪽 유리상자 안에 낯익은 물건이 눈에 띄었다.
그것은 바로 머리깍는 이발기 바리깡( bariquant)이었다.

어릴 적 공포를 느끼게 했던 바리깡
 어릴 적 공포를 느끼게 했던 바리깡
ⓒ 이동호

관련사진보기


25년이 넘었다는 바리깡... 지금껏 바리깡이 일본말인 줄 알고 있었는데 일본어말이 아닌 프랑스 말이라고 한다.

7080세대라면 누구나 바리깡에 대한 추억이 있을 듯하다.
나 역시도 초등학교 시절 아버지 손에 이끌려 동네이발관으로 가면 공포의 대상이 바로 바리깡이었다.

처음에는 할아버지가 집집마다 다니면서 손잡이가 나무로 된 바리깡으로 머리를 깍아 주곤 했는데 그 분이 돌아가시고 난 후에는 윗마을에 있는 이발소까지 걸어가야 했다.
키가 작아서 이발소 의자에 나무토막을 올려놓고 앉히고 바리깡을 들이대면 저절로 얼굴이 찡그러 들곤 했고 그 기계가 지나가다 머리를 찝히면 눈물이 쏙 빠지곤 했다.

또 중학교 다닐 때 머리가 길다고 바리깡으로 귀밑을 밀던 체육선생님과 고등학교 때 교련선생님도 잊을 수가 없다.
아주 상습범이거나 괘씸한 녀석들은 아예 뒤에서 앞 이마까지 고속도로를 내기도 했었는데 머리 찝힌 것을 항의라도 하려는듯 머리를 빡빡 밀고 오기도 했었다.

이곳에는 바리깡 말고도 아주 오래된 면도기도 눈에 띄었다.
당시에 이발 재료는 대부분 외국산을 많이 사용했는데 이 면도기는 독일제품으로 30년 넘게 사용하고 있다고 한다.

사장님이 애지중지 한다는면도기
 사장님이 애지중지 한다는면도기
ⓒ 이동호

관련사진보기


날을 교체할 수 있는 면도기 하지만 수명이 짧고 애착이 가지 않는다고 한다.
 날을 교체할 수 있는 면도기 하지만 수명이 짧고 애착이 가지 않는다고 한다.
ⓒ 이동호

관련사진보기


면도기를 갈던 소가죽
 면도기를 갈던 소가죽
ⓒ 이동호

관련사진보기


면도기의 연륜만큼이나 오래된 면도기 가는 소가죽도 눈에 띄었다.
어릴 적 저곳에 면도기를 쓰윽쓰윽 가는 소리만 들려도 오금이 저리곤 했다.

이제는 하나 둘 사라지는 동네 이발소...
머리를 깎는 동안 타임머신을 타고 고향을 다녀온 듯했다.


태그:#동네 이발소, #이발소, #바리깡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시민기자를 통하여 소소한 일상의 삶을 따뜻하게 전하고 싶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