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난 15일 충남 연기군청 소속 비정규직 직원들의 노조결성을 위한 모임이 연기군의 교묘한 방해로 무산된 것으로 알려져 논란이 되고 있다.

공무원노조 연기군지부 양진복 지부장에 따르면, 지난 15일 민주노총 충남본부 측에서 비정규직 직원들과 만나 비정규직 노조에 대한 생각을 들어보고 가능하다면 도와주려 연기군청 소속 비정규직 모임을 추진했다.

하지만 이 같은 계획이 알려지자 연기군 측에서 대상자들에게 참석하지 않았으면 한다는 입장을 전달, 이들이 실제 모임에는 참석하지 못한 것으로 전해졌다.

더구나 연기군청 자치행정과 직원이 그 시각에 모임이 있는 식당 앞에서 지키고 있는 바람에 찾아왔던 이들도 발길을 돌릴 수밖에 없었다는 전언이다.

양진복 지부장은 "연기군에도 비정규직이 80명에 이르고 있고 이들에게도 노조결성의 자유가 있는데 너무 예민하게 받아들인 게 아닌가 싶다"라며 연기군청의 태도를 비판했다.

이어 "경남의 경우, 도지사가 나서서 추진하는 사항이고 충남에서도 공주시에 최근 비정규직 노조가 생긴 바 있다"며 "시간이 걸리더라도 다시 추진하여 비정규직 처우 개선 방향을 찾도록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이에 대해 연기군청 자치행정과 이유찬 과장은 "공무원노조도 불법단체로 활동을 잘 못하고 있는데 여기에 앞장서서 비정규직에게 단체를 만들 것을 유도하는 것은 공무원노조 역할이 아니"라는 입장을 밝혔다.

이 과장은 또한 모임 방해 의혹에 대해 "단체 결성에 대한 이야기를 간부회의 때 실과장님들에게 전달하며 잘 좀 살펴보라고 얘기한 적은 있다"면서도 "모임 장소에 직원에게 나가서 지켜보라고 지시한 적은 결코 없다"고 부인했다.

그러면서 "연기군의 경우 무기계약직에 대한 특별한 차별은 없고 만일 스스로 단체를 만든다면 국가 기준에 맞도록 가능할 수도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이에 대해 공무원노조 지부장을 역임한 김부유 연기군의회 의원은 "계약직 공무원은 정규직에 비해 열악한 환경에 놓여있어 노조 설립은 이들의 안위와 직결되는 문제로 자치단체에서 적극 도와줄 필요가 있고 그것이 단체장의 역할이다"라고 지적했다.

이어 "현재 민주적인 단체장이 수장을 맡은 자치단체의 경우 정규직으로 전환하는 추세인데 노조 설립을 방해하고 노조를 불법단체라고 부정하는 것은 의식구조의 잘못"이라며  "해당 과에서야 단체장의 의지에 따라 일처리를 하는 것인 만큼 노동자에 대한 잘못된 단체장의 개념과 의식구조가 변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덧붙이는 글 | 이기사는 세종미디어에도 실렸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 게재를 허용하고 있습니다.



태그:#비정규직, #연기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