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서울=국기헌 기자] 5월부터 서울 시내에서 밤 늦게 귀가하는 여성은 미리 신청하면 집 앞까지 2인1조 '스카우트'의 보호를 받을 수 있게 된다.

또 저소득층 독신 여성은 사설보안업체의 홈 방범서비스를 싼 가격에 이용할 수 있다.

시는 3·8 세계여성의 날을 앞둔 6일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한 5개 분야 16개 정책의 '여성안전 대책'을 발표했다.

대책에 따르면 시는 공공근로자가 오후 10시부터 다음날 오전 1시 사이에 여성의 귀가를 돕는 '안심귀가 스카우트'를 운영한다.

여성이 집 인근 역 도착 10분 전에 미리 안심귀가 지원을 신청하면 2인1조로 구성된 스카우트가 역부터 집 앞까지 차량으로 데려다 주거나 도보로 동행하는 방식이다.

이를 위해 다음달 말 스카우트 500명을 선발하고 5월부터 10개 구에서 시범 운영할 계획이다. 이 서비스는 시가 최근 발표한 서울형 뉴딜 일자리 중 하나다.

시는 또 여성이 안전한 환경을 조성하고자 보안경비업체인 ADT캡스와 함께 독신여성 가구를 대상으로 월 6만4천원인 최신 홈 방범서비스를 월 9천900원에 제공한다.

전세금 7천만원 이하 집에 사는 독신여성 등 저소득층 위주로 올해 3천 가구를 선발하고, 2015년까지 1만 가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시는 아울러 올해부터 시 건축위원회 심의기준에 범죄예방설계(셉티드, CPTED) 조항을 신설, 대형 신축건물 심의 때 적용하기로 했다. 양재 시민의 숲 등 공원 5곳을 시범공원으로 조성하고 노후 주거단지 등 재생사업지, 마곡·신내 지구 등에도 적용할 방침이다.

올해 안전취약지역의 어두운 골목등 4천개를 2배 이상 밝은 발광다이오드(LED) 보안등으로 바꾸고, 영등포구청역, 학여울역 등 6곳의 공영주차장 내 지하층 점등램프 5천444개도 교체한다.

현재 11곳에서 시범 운영 중인 여성 안심택배는 효과 분석 후 올해 상반기 중 50곳, 2015년까지 200곳으로 확대할 계획이다.

배달원들을 '마을 파수관'으로 활용, 본연의 업무도 하면서 위급상황을 발견했때 바로 경찰에 신고해 긴급 대처할 수 있도록 한다. 시는 올해 피자업체와 업무협약을 체결하고 시범운영할 방침이다.

마을공동체 사업인 '여성폭력 없는 안전마을'도 올해 10개 구에서 시범 운영하고 2014년 전 자치구로 확대할 계획이다.

자정부터 오전 5시까지 운영되는 심야전용버스는 예정보다 앞당겨 4월부터 2개 노선(강서~중랑, 구파발~송파)을 운행하고, 7월 8개 노선으로 확대한다.

시는 이 밖에 지하철에서의 생활 범죄를 예방하기 위해 CCTV, 비상벨 등을 확충하는 한편 현재 강남에만 있는 폭력피해 여성을 위한 긴급피난처를 내년에 강북지역에도 만들 계획이다.

박원순 시장은 "세계 여성의 날을 맞아 다양한 생활정책을 펼쳐 여성이 안전하고 행복한 도시를 만들겠다"고 말했다.

<저작권자(c)연합뉴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태그:#여성안전, #박원순 서울시장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 언론 빠른 뉴스' 국내외 취재망을 통해 신속 정확한 기사를 제공하는 국가기간뉴스통신사입니다. 무단전재-재배포금지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