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지금 경상북도 의성에 가면 가로수엔 노란색으로 물드는 산수유와 밭엔 파릇파릇한 마늘이 올라오고 있다. 또한 의성 읍내에서 조금 떨어진 금성면에 가면 고대 부족국가인 조문국으로 찾아가는 시간 여행을 할 수 있다.

경북 북부에 존재했던 조문국에 관한 역사 기록은 삼국사기에 남아 있다. 삼국사기에 따르면 신라의 벌휴왕이 185년 부족국가인 조문국을 벌하였다고 기록되어 있다. 의성은 넓은 평야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미천, 남대천, 위천, 낙동강이 흐르고 있어서 고대문명이 발달한 것으로 추측된다.

조문국의 존재를 알려주는 대표적인 유적으로는 금성면 일대의 고분군이 있다. 이들 고분군은 경북 북부지역의 지배계급세력의 무덤으로 추정된다. 그리고 고분들 뒤에는 2013년 개관된 조문국박물관이 있다.

의성군 금성면 금성산 고분 주변 에는 약 200여게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다.
▲ 의성군 금성면 금성산 고분 의성군 금성면 금성산 고분 주변 에는 약 200여게의 고분이 분포되어 있다.
ⓒ 여경수

관련사진보기


능과 관련된 예로부터 전해 내려오는 설화가 있다. 옛날 한 농부가 외밭을 마련하기 위하여 작은 언덕을 갈고 있는데 큼직한 구멍이 나타났다고 한다. 농부가 이상하다 생각하여 구멍에 들어가 보니 그곳은 돌로 쌓은 무덤이었다. 무덤 둘레는 금칠이 되어 있고 가운데에는 금관이 있었다고 한다.

농부는 그 금관이 탐이 나서 벗기려 했는데 금관에 손이 달라붙어서 떨어지지 않았다. 그날 밤 의성 현령의 꿈에 한 노인이 나타나서 이르기를 "나는 경덕왕이다. 아무 곳에 가서 살펴보고 무덤을 개수 봉안토록 하여라"고 하였다. 다음 날 의성 현령은 무덤을 발견하여 잘 수리하였고 그것이 오늘에 이른 것이라고 한다.

실제로 2014년도 성림문화재연구원은 의성군 의뢰로 금성면 대리리 금성산 고분군 지역 정비 차원에서 발굴한 결과, 경북 북부 지역에서는 최초로 금동제 관모를 비롯한 약 1천여점에 이르는 유물을 수습했다. 설화로 전해 내려오던 능속의 금동관이 실제로 존재했다는 의미이다.

금성산고분에서 출토된 토기들과 공예품을 보면 조문국 사람들의 기술 수준이 높았음을 알수 있다. 이들의 기술이 신라에 많은 영향을 끼치지 않았나 싶다. 초기 신라시기에 경상도에 존재한 부족국가들이 신라에 영향을 준 대표적인 사례로 보일 수 있다.

과거 여행 뿐 아니라 고운사에 방문하면 하얀 목련 꽃을 감상할 수 있다. 의성의 북부에 위치한 단촌면에 소재한 고운사는 고즈넉한 풍경을 간직하고 있다. 고운사는 의상대사가 창건했으면, 최치원이 중창했다는 기록이 있다. 고운사 수연전에는 조선시대 왕들의 계통을 기록한 문서를 보관했다. 성리학 중심의 유교를 고수하며 불교를 억압한 정책을 펼친 조선시대에 왕들의 혈통을 기록한 계보를 사찰에 보관하고 있는 점이 특징이다.

고운사 연수전은 1774년(영조 20)에 영조가 내린 어첩(御帖)을 봉안하던 건물로, 현재의 건물은 1887년 극락전 등 다른 전각들과 함께 중수되었다.
▲ 고운사 연수전 고운사 연수전은 1774년(영조 20)에 영조가 내린 어첩(御帖)을 봉안하던 건물로, 현재의 건물은 1887년 극락전 등 다른 전각들과 함께 중수되었다.
ⓒ 여경수

관련사진보기


고운사 밑에 위치한 의성군 점곡면에는 사촌마을이 있다. 사촌마을은 서애 유성룡이 태어난 곳으로 유명하다. 그리고 정비된 고택구경과 가로숲을 거느릴 수 있다.  


태그:#의성, #조문국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내게 힘이 되는 생활 헌법(좋은땅 출판사) 저자, 헌법 연구자.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