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석을 하루 앞둔 9월 28일 서울 동대문구 120다산콜재단을 방문, 서울톡(챗봇상담) 시연을 참관하고 있다.
 오세훈 서울시장이 추석을 하루 앞둔 9월 28일 서울 동대문구 120다산콜재단을 방문, 서울톡(챗봇상담) 시연을 참관하고 있다.
ⓒ 서울시 제공

관련사진보기

 
서울시가 120다산콜 센터로 들어오는 신고 키워드들을 분석해 재난 징후를 감지하는 시스템 연구에 착수한다.

서울시 120다산콜재단은 실시간으로 걸려 오는 상담 전화 분석을 통해 재난 상황을 조기에 감지, 소방서와 경찰 및 지자체 등 유관기관에 자동으로 알림 문자를 발송하는 '재난조기감지 시스템 실증 연구'에 들어간다고 13일 밝혔다.

작년 11월 오세훈 서울시장이 시의회 본회의에서 "119 신고나 120다산콜센터 문의 등에 '침수', '산사태', '화재' 등 위험을 감지할 수 있는 키워드가 반복 접수되면 이를 모아 유관기관에 공유하는 시스템을 도입하겠다"고 언급한 것의 연장선에서 나온 연구다.

120다산콜재단은 기술이 필요한 수요자와 중소기업, 스타트업을 연계하는 서울경제진흥원(SBA) 테스트베드 사업의 지원대상으로 선정돼 내년 9월까지 CS전문기업 CS쉐어링(주)과 함께 '120다산콜 특화 재난조기감지시스템 서비스 실증 연구'를 진행하게 된다.

올해는 '1단계 사업'으로 화재, 산사태, 침수 등 재난 관련 키워드 말뭉치 사전을 연내에 구축한 뒤 다양한 재난 상황을 의미하는 용어를 기록화하는 밑작업을 할 예정이다.

내년에는 재난 특화 말뭉치 사전을 기반으로 상황을 조기에 감지하여 유관기관에 자동으로 메시지를 발송하는 '2단계 사업' 연구에 들어가게 된다.

이이재 120다산콜재단 이사장은 "이번 연구를 바탕으로 서울시를 비롯한 유관기관이 긴급 재난 상황을 조기에 감지하고 시민을 보호할 수 있는 기반을 구축할 것"이라며 "시민 생활 불편을 해소하는 정책에 신고 데이터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시와 지속 공유해 나갈 것"이라고 말했다.

태그:#다산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