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엔젤스헤이븐은 천사의 안식처라는 의미로, 60년 전 윤성렬 목사가 가족을 잃은 아이들을 도와주면서 생긴 사회복지법인이다. 사랑, 존중, 책임, 정직, 협력의 가치로 아이들을 보살피며, 아이들의 생활부터 직접 자립할 수 있도록 지원해 주는 단체이다.

1979년까지는 고아들을 도와주는 단체였지만, 1980년대부터 장애인 지원 사업을 시작하며 장애인복지 개척자로서 역할하고 있다. 은평구에 장애인 거주시설, 특수학교를 설립하여 장애인의 생활을 전적으로 지원하고 있고, 이후 장애인 복지관, 재활병원, 체육센터 등 여러 시설을 확장하며 현재의 엔젤스헤이븐이 만들어졌다.

2003년부터는 세계의 어려운 아이들을 위해 지원해 주고 있다. 우간다에 교육 환경 개선과 장학을 통한 교육 기회를 마련하고, 베트남에 있는 특수학교 시설을 보수하고, 전문가를 파견하여 한국의 특수교육 모델을 전수했다. 단지 금전적 지원만 해주는 것이 아니라, 자립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마련하여 지속 가능한 발전을 가능케 했다. 
 
은평구에 위치한 엔젤스헤이븐. 재활센터, 대영학교, 장애인 종합복지관 등이 함께 있다. ⓒ유영진
 은평구에 위치한 엔젤스헤이븐. 재활센터, 대영학교, 장애인 종합복지관 등이 함께 있다. ⓒ유영진
ⓒ 유영진

관련사진보기

도움받는 기업에서 도와주는 기업으로

설립 초기 엔젤스헤이븐의 운영 자금 중 82%가 해외지원금이었고, 국가보조금은 12%에 불과했다. 그만큼 전쟁 직후 한국은 경제적으로 어려운 상황이었으며, 엔젤스헤이븐 내에서 자체적인 사업 수단도 마련되지 않았다. 그러나 한국 경제가 성장하면서 국가 보조금이 늘어나고, 엔젤스헤이븐에서 아이들과 함께 지속 가능한 사업을 확장하며 해외지원금의 비중이 대폭 감소하게 됐다. 1980년대 이후 결국 엔젤스헤이븐은 해외 지원금을 받지 않는 기업이 됐으며, 오히려 생활이 어려운 나라의 아이들에게 원조해 주는 기업이 됐다.

도움받는 사람이 아닌, 도움 주는 사람이 무릎을 꿇어라

엔젤스헤이븐의 조준호 대표는 '무릎 꿇고 도우라'가 엔젤스헤이븐의 핵심 가치라고 얘기했다. 도움받는 사람이 아니라 도움 주는 사람이 무릎을 꿇어야 한다는 의미로, 도와주는 사람이 도와주는 대상을 존중해야 한다는 것이다. 보통 어려운 사람은 동정심을 불러일으키기 위해 무릎을 꿇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일방적인 금전적 도움을 주게 된다면 그 관계는 바로 끝나게 된다.

그러나 도와주는 사람이 무릎 꿇고 도움받는 사람을 사랑하고 존중하게 되면 그 관계는 지속된다. 즉, 도와주는 사람이 어려운 사람에게 눈높이를 맞추고, 존중과 사랑의 마음으로 도와야 한다는 것이다. 이는 엔젤스헤이븐 설립 당시 윤성렬 목사가 처음 제시한 핵심 가치이며, 조준호 대표는 아직 이를 최우선으로 여기고 있다고 말했다.
 
조준호 대표는 금전적 지원보다 중요한 건 사회적 관계 형성이라고 얘기했다. ⓒ한국가이드스타
 조준호 대표는 금전적 지원보다 중요한 건 사회적 관계 형성이라고 얘기했다. ⓒ한국가이드스타
ⓒ 한국가이드스타

관련사진보기

 
실패할 용기 줄 '하다 말 것' 프로젝트... 10개 프로젝트 중 7개 포기해도 돼

엔젤스헤이븐은 장애 아이들의 금전적인 지원이나 생활만 지원하지 않는다. 그 아이가 사회에 나아가 자립할 수 있도록 성장을 돕고 교육한다. 엔젤스헤이븐의 청년들은 24세까지 직접적인 보호를 받고, 6년간 국가의 보호 지원을 받으며 30세부터 자립하는 구조로 이어진다. 그러나 조준호 대표는 본질적으로 자립 준비 청년의 문제는 관계의 문제라고 밝혔다. 자립 청년은 사회적 관계 형성이 어렵기 때문에 일을 하다가 실패하거나 어려운 상황에 부닥쳤을 때 지지할 수 있는 관계가 없다. 따라서 자립 청년을 위한 사회적 관계망 형성에 대해 고민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한다.

이에 대한 방안 중 하나로 엔젤스헤이븐은 '하다 말 것' 프로젝트를 준비하고 있다. 10개 정도의 프로젝트를 자립 청년이 직접 구성하고, 일이 잘 맞지 않거나 어려움을 느낄 때 7개는 하다가 포기해도 되는 경험을 하도록 하는 것이다. 하나의 계획을 무조건 완수해야 한다는 강박은 자립 청년에게 부담을 주게 된다. 따라서 '하다 말 것' 프로젝트는 실패하는 경험을 미리 하게 함으로써 계획에 대한 부담을 줄이고, 자립 준비 청년에게 실패할 용기를 만들어준다. 조준호 대표는 이런 경험과 관계 중심 공동체가 현재 소외된 장애 청년들의 고립 문제를 해결할 방안 중 하나라고 전했다.

전국 최초의 소셜 믹스형 주택 '다다름 하우스'
 
LH 다다름하우스 지원제도 개요 ⓒLH주거복지블로그 (사진출처 : https://blog.naver.com/lhhousingwelfare/223054385779?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LH 다다름하우스 지원제도 개요 ⓒLH주거복지블로그 (사진출처 : https://blog.naver.com/lhhousingwelfare/223054385779?trackingCode=blog_bloghome_searchlist)
ⓒ LH

관련사진보기

  
2023년 발달 장애인과 비장애인 청년이 함께 살아가는 사회 통합형 자립 지원 주택이 운영됐다. 현재 다다름 하우스에는 자립 준비생 5명, 장애 청년 20명, 비장애 청년이 28명이 살고 있다. 다다름 하우스는 청년 주거 문제 속에서 소외된 장애 청년들의 주택 문제 해소를 위해 지어졌다. 느슨한 커뮤니티를 중심으로 서로 다름을 인정하고 소통을 활발히 하기 위해 600평의 공간 중 100평은 커뮤니티 공간으로 지어졌다. 장애 청년과 비장애 청년이 서로 고립되는 것이 아니라, 함께 삶을 공유하고 만들어간다는 점에서 엔젤스헤이븐의 새로운 도전이자 목표이다.

덧붙이는 글 | 이 글은 한국가이드스타 청년 공익 기자단인 '채리티 에디터 양성 과정' 참가자의 취재 기사입니다.


태그:#한국가이드스타, #엔젤스헤이븐, #공익법인, #비영리법인, #사회복지
댓글

세상이 알지 못한 따뜻한 이야기를 알립니다! 더 나은 세상을 위해 애쓰는 공익법인과 사람들의 기사를 읽어보세요. 한국가이드스타는 기부 문화 활성화 및 비영리단체의 투명성·책무성 확보를 위해 노력하는 단체이며 청년 공익 기자단 채리티 에디터를 운영하고 있습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