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주삼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 대표의원
 김주삼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 대표의원
ⓒ 유혜준

관련사진보기

"지난 한 달 동안 임기 2년에 할 일을 다 한 것 같은 느낌이다. 너무 길고 힘들고 어려운 한 달이었다."

지난 1일,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 대표의원실에서 만난 김주삼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 대표의원은 이렇게 말문을 열었다. 힘든 한 달을 보냈다면서도 김 대표의원의 표정은 밝았다. 그의 얼굴에서는 난제가 해결되었다는 안도감이 묻어났다.   

특히 부결되면 대표의원직 사퇴까지 고려했다는 '김문수 도지사 도정공백 방지를 위한 특별위원회(이하 김문수 특위) 구성 결의안'이 무사히(?) 본회의를 통과 했기 때문일 것이다.

전반기 경기도의회에서 예산결산특별위원장으로 활동한 김 대표의원은 지난 6월 13일, 경기도의회 민주통합당 대표의원으로 선출되었다. 

현재 경기도회의의 다수당은 민주통합당이다. 경기도의회는 민주통합당 소속 의원이 72명, 새누리당 44명, 비교섭단체 14명으로 구성되어 있다. 민주당 의원들이 과반수를 차지하고 있다.

7월 1일, 임기가 시작된 김 대표의원이 맞닥뜨린 가장 큰 문제는 경기도의회 의장단 선거였다. 경기도의회 후반기 의장은 당연히 민주통합당 몫이었다. 문제는 민주통합당 내부에서 조율이 원만하게 이뤄지지 않은 상황이라는 것. 이것을 조정하고 풀어내는 게 김 대표의원의 몫이었다.

의장단 선거는 7월 12일에 진행될 예정이었지만 변수가 생겼다. 새누리당에서 "교육위원장 자리를 요구하면서 농성하고 있는 교육위원들을 문제 삼아 의장선거를 연기하자"고 주장한 것.

"7월 12일에 예정대로 의장선거가 치러지지 않으면, 13일부터는 의장 공백상태가 된다. 이 경우 회의권이 의장이 아닌 다선 의원에게 넘어가게 된다. 새누리당에 4선 의원이 있다. 민주통합당은 재선 의원만 있는 상황이고. 만일 그렇게 되면 주도권이 새누리당으로 넘어가면서 의장단 선거가 순조롭게 치러지지 않을 가능성이 높아진다. 새누리당에서 이걸 노리고 의장단 선거 연기를 주장한 것이다."

의장단 선거가 순조롭게 치러지지 않아 파행이 거듭된다면 의장이 새누리당으로 넘어갈 가능성이 있었다는 것이 김 대표의원의 주장이다. 실제로 몇몇 기초자치단체에서는 민주통합당이 다수당임에도 불구하고 의장단 선거에서 새누리당에 주도권을 넘긴 사례가 있었다. 민주통합당 의원들 내부에서 그런 분위기가 감지되었다는 것이 김 대표의원의 주장이다.

의장단 선거는 예정대로 7월 12일에 치러졌다. 이 과정에서 새누리당의 반발이 있었지만, 김 대표의원은 상임위원장직 배분을 하면서 문제를 해결했다는 것. 이 과정에서 자리 나눠먹기라는 비판도 받았다. 하지만 김 대표의원은 민주당과 새누리당 의원수를 감안한 합리적인 배분이었다고 강조했다.

김주삼 대표의원은 상반기에는 예산결산위원장으로 활동했다.
 김주삼 대표의원은 상반기에는 예산결산위원장으로 활동했다.
ⓒ 김주삼 제공

관련사진보기


의장단 선거가 마무리된 뒤 김 대표의원의 머리를 싸매게 한 사안은 '김문수 도지사 도정공백 방지를 위한 특별위원회(이하 김문수 특위)' 구성. 김문수 경기도지사가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에 합류하면서 도정공백에 대한 우려가 '우려'가 아닌 사실로 드러나고 있다는 것이 김 대표의원의 주장이다.

현재 김문수 지사는 새누리당 대선후보 경선에 참여, 정치적으로 빠른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그런 김 지사를 보면서 경기도정의 공백을 우려하는 여론이 점차 높아지는 것 또한 사실이다.

"김문수 지사의 대권놀이에 경기도민들의 피로감이 높아가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도정공백에 대한 우려가 없는지 짚어볼 필요가 있다. '김문수 특위'는 김 지사의 대선행보를 막기 위한 것이 아니라 도정공백을 막기 위한 특별위원회다."

김 대표의원은 '김문수 특위' 구성의 배경에 대해 이렇게 설명했다. 김 대표의원은 전반기에 예산결산특별위원장으로 활동하면서 "김문수 지사가 대권을 바라보면서 전시성과 이벤트성 예산을 거듭하는 것이 가장 큰 문제"라는 지적을 하면서 우려를 나타낸 바 있다.

'김문수 특위' 구성은 쉽지 않았다. 새누리당의 반발은 당연한 수순이었지만, 의장단 선거와 관련, 민주당 의원 일부가 불만을 드러나고 있는 상황이었다는 것. 김 대표의원은 자신의 정치력이 시험대에 올랐다는 판단을 했다고 속내를 털어놓았다.

민주통합당 소속 의원 전원이 찬성표를 던진다면 '김문수 특위 구성 결의안'이 문제 없이 통과되겠지만, 의장단 선거에 불만을 가진 일부 의원의 불참이 예상되는 상황이었다는 게 김 대표의원의 설명. 실제로 '김문수 특위' 구성 결의안 표결이 있던 지난 7월 26일, 민주통합당 의원은 63명만이 참석했다. 이는 의결정족수 66명에 못 미치는 인원이다.

'김문수 특위' 구성 결의안이 부결될 수 있는 상황이었다. 김 대표의원은 불참 의사를 밝힌 새누리당 의원들이 본회의에 참석하도록 설득했다.

"새누리당 대선후보 토론회에서 박근혜 의원이 김문수 지사에게 도정공백을 어떻게 할 것인지 따져 물었다. 당시 김 지사는 도정공백은 없다고 답변했지만 우리는 도정공백을 염려할 수밖에 없지 않나."

김 대표의원은 "박근혜 의원까지도 경기도 도정공백에 대한 우려를 하고 있는 상황이기 때문에 새누리당 의원들에게 회의에 참석해야 한다고 설득했다"고 말했다.

'김문수 도지사 도정 공백 방지를 위한 특별위원회' 구성 결의안은 지난 26일, 경기도의회  제 270회 임시회 제 1차 본회의에서 통과되었다. 재석의원 96명, 찬성 63표, 반대 32표, 기권 1표였다. 이 날 경기도의회는 '김문수 특위' 위원으로 민주통합당 김영환, 김종석, 안혜영, 배수문, 송영만, 양근서, 염종현, 이상희, 임병택, 장현국 의원과 통합진보당 유미경 의원을 선출했다.

지난 8월 1일, '김문수 특위'는 장현국 의원을 위원장으로, 김영환 의원을 간사로 선출했다. '김문수 특위'는 오는 9월 25일까지 활동할 예정으로 8월 8일에 업무보고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활동을 벌인다.

교육위원장 선거와 관련해, "민주당이 교육위원들의 전문성을 살려주지 않고 위원장 자리를 독식하려 했다"는 지적에 대해 김 대표의원은 "중재안을 내놓아 해결했다"고 주장했다.

교육위원들은 교육위원장을 요구하면서 도의회를 점거, 삭발농성을 벌였으나 민주통합당에서는 교육위원장이 민주통합당 몫이라면서 한 치의 양보도 하지 않았던 것. 김 대표의원은 교육위원장을 민주통합당에서 1년, 교육위원 1년으로 하는 안을 중재안으로 내놓았다. 결국 교육위원들은 이 안을 수용, 민주통합당과 명분 없는 '자리싸움'을 벌였다는 비난을 자초한 셈이 되었다. 가장 큰 비난은 상임위원장 자리를 한 석도 양보하지 않은 민주통합당의 몫이었지만.

2011년 10월, 수해복구현장을 찾은 김주삼 의원
 2011년 10월, 수해복구현장을 찾은 김주삼 의원
ⓒ 김주삼 제공

관련사진보기


의장단 선거에 이어 교육위원장 선거 그리고 '김문수 특위'가 구성되기까지 김 대표의원은 마음고생이 무척 심했다고 털어놓았다. 특히 '김문수 특위'와 관련, 구성안이 부결되면 대표의원직을 내놓아야겠다는 생각까지 했다는 것.

김 대표의원은 대표의원 선거에 출마하면서 대표의원 임기가 2년이지만 1년만 하겠다는 공약을 내걸었다. 이유를 물었다.

"임기 1년을 채우고 (민주통합당) 의원총회에서 더 해야 되는지 여부를 물을 작정이다. 의원들의 결정에 따르겠다는 것이다. 대표의원은 1년만 해도 충분하다는 생각을 했다. 대표의원은 의원들의 의견을 종합해서 우리 민주당의 정체성에 맞게 집행부에 제안하고 도정에 반영하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실질적으로 2년씩이나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했다."

김 대표의원은 "의장단 선거가 끝났고, 상임위원회 구성도 끝났기 때문에 도의회는 상임위원회 중심으로 돌아가는 게 맞다"며 "대표의원은 각 상임위원회와 집행부에서 쟁점이 생기면 조정하고 조율해서 원만히 해결하는 역할을 할 뿐"이라고 강조했다. 김 대표의원은 도의회가 자율적으로 잘 돌아갈 수 있게 가급적이면 개입을 자제할 생각이라고 덧붙였다.

김 대표의원은 민주통합당 대표의원이면서 하반기 운영위원장이기도 하다. 김 대표의원은 어려운 문제들을 풀어낸 만큼 하반기에는 운영위원장의 역할에 무게를 실을 예정이라고 밝혔다.

"운영위원장으로 꼭 해결하고 싶은 문제는 두 가지다. 하나는 의원 사무실 문제를 해결하고, 의원들의 의정활동 내실을 기하기 위한 인턴보좌관을 확보하는 것이다."

김 대표의원은 현행법상 의원 2인당 1명의 인턴보좌관을 배치할 수 있으나, 현재 도의회의 공간이 부족한 것이 걸림돌이라고 말했다. 인턴보좌관을 의회사무실에 배치해야 하기 때문에 어떻게 의원사무실 공간을 확보할 것인가가 가장 큰 문제라는 것이다. 이 문제와 관련, 현재 용역이 진행되고 있어 조만간 좋은 해결방안이 나올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김 대표의원은 말했다.

인턴보좌관과 관련, 시민단체를 비롯해 부정적인 시각이 많다는 지적에 대해 김 대표의원은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경기도의 예산이 15조, 경기교육청의 예산이 10조로 다 합하면 25조나 된다. 의원 130명이 나눠서 견제와 감시를 하는데 쉽지 않다. 행정사무감사가 15일인데, 공휴일을 빼면 고작 열흘 남짓이다. 이 짧은 기간에 의원들이 제대로 감사를 하기에는 역부족이다. 예산 심의도 마찬가지다. 예산이 새는 것을 제대로 잡기에는 너무 부족하다. 때문에 민감한 이슈가 되는 것만 잡아서 얘기할 수밖에 없는 게 현실이다. 국회의원은 보좌진들이 있어 우리보다 심도 깊게 할 수 있지만, 우리는 지역 민원이나 현안을 챙기면서 일을 하기에는 어려움이 너무 많다. 내실있는 의정활동을 하려면 인턴보좌관이 꼭 필요하다."

김 대표의원은 "의원들이 제대로 일할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주면 경기도에 대한 견제와 감시의 질이 보다 높아질 것"이라고 강조했다.


태그:#김주삼, #경기도의회, #대표의원, #김문수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