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큐멘터리 영화 <거미의 땅> 한 장면

다큐멘터리 영화 <거미의 땅> 한 장면 ⓒ 시네마달


작년 11월 17일. SBS <그것이 알고 싶다>를 통해 세상에 알려진 '몽키하우스'에 관련된 비밀은 수많은 시청자들을 충격과 혼란 속에 빠지게 하였다. 공중파 방송에서 미군 위안부를 본격적으로 다룬 것은 <그것이 알고 싶다>가 최초였기 때문에, 방송 이후 파장은 클 수밖에 없었다. 하지만 '몽키하우스'로 인터넷이 들썩이는 것도 잠시, <그것이 알고 싶다>를 계기로 공론화되나 싶었던 미군 위안부 문제는 다시 수면 아래로 가라앉게 되었다.

그런데 <그것이 알고 싶다>보다 더 일찍이 몽키하우스, 점점 사라져가는 기지촌의 역사를 다룬 다큐멘터리가 최근 개봉했다. 국내보다 해외에서 더 알려진 이 다큐멘터리의 제목은 <거미의 땅>이다.

이해할 수 없으나 받아들일 수 있는

 다큐멘터리 영화 <거미의 땅> 한 장면

다큐멘터리 영화 <거미의 땅> 한 장면 ⓒ 시네마달


영화엔 한 때 기지촌에서 미군 위안부 생활했던 두 명의 여성과 한 혼혈 여성이 등장한다. 지금은 나이 들어 더 이상 윤락업에 종사하지 않는 이들은 그럼에도 미군 부대 이전 계획으로 폐허가 되어가는 기지촌을 떠나지 않는다.

기존에 우리가 보아왔던 다큐멘터리와 달리 난해한 요소가 대거 등장하는 <거미의 땅>은 출연자의 인터뷰에 의존하는 대신, 그녀들의 행동 하나하나에 촉각을 기울인다. 제3자의 내레이션이 가미되긴 하지만, 대상에 대한 은유와 상징으로 압축되는 이 영화를 완전히 이해하기에는 턱없이 부족하다. 기지촌에 살고 있거나 혹은 살았던 여성들이 지금은 폐허가 된 그 장소를 맴돌고 있는 장면만 하염없이 나오는 이 영화는 참으로 불친절 하고도 어렵다.

기지촌의 역사, 미군 위안부를 둘러싼 숨겨진 진실은 <그것이 알고 싶다>와 같은 심층 보도 취재 방식을 통해 충분히 설명될 수 있는 이야기이다. 이 교양 프로 방식처럼 기지촌 여성들의 삶을 파헤치는 것이 보통 사람들에게는 위안부들의 비극적인 삶과 그 속에 숨겨진 끔찍한 비밀을 이해하는데 더 많은 도움이 될 수 있겠다.

일찌감치 <아메리칸 엘리>(2008)을 제작하며, 기지촌에 살고 있는 여성들의 삶에 주목해오던 김동령 감독 또한 이러한 연출 방식이 관객들에게 영화가 좀 더 쉽게 다가갈 수 있음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을 것이다. 하지만 김동령 감독은 현대 미술관에서나 볼 법한 실험적인 영상으로 여성들의 애환을 담고자 한다.

공간이 남긴 것들

 다큐멘터리 영화 <거미의 땅> 한 장면

다큐멘터리 영화 <거미의 땅> 한 장면 ⓒ 시네마달


영화에 등장하는 세 명의 여성 못지않게, <거미의 땅>이 중요하게 바라보는 요소는 '공간'이다. 마치 스틸 사진을 보는 것처럼 기지촌 주변의 풍경을 느린 정지컷으로 담아낸 오프닝에서 부터, 흑인 혼혈인 안성자가 배회하는 건물들은 이제는 더 이상 사람들의 손길이 닿지 않은 폐허다. 동시에 그녀들에게는 지난날의 끔찍한 기억이 되살아나게 하는 악몽 같은 존재다. 이 미스터리한 이야기의 실마리를 풀어내는 것은 망각과 기억이다.

한 때 외화벌이를 위해 정부가 개입하기도 하였으나, 실제로는 존재하지 않은 것처럼 쉬쉬 해야만 했던 이 비극 속에서 미군 위안부는 언제나 죄인이었다. 그녀들과 관련된 끔찍한 비밀은 철저히 베일에 가려져 잊히고 있었다. 이제 기지촌 산업을 지탱하는 미군들도 하나둘씩 떠난 자리에 사람들은 과거들을 모두 불도저로 밀어버리고, 번쩍이는 고층건물을 지어 올려 영광스러운 새로운 역사를 쓰고자 한다.

어느 누구도 기지촌의 역사를 기억하고 싶지 않은 가운데, 카메라를 들고 기지촌을 찾아간 박경태, 김동령 감독은 그 공간을 일일이 기억하고자 한다. 마치, 과거에서 온 편지를 들고 사람들의 문을 두드리는 유령처럼, <거미의 땅>의 카메라는 그렇게 기지촌의 빈 건물들을 정처 없이 돌아다니고, 이제는 자신을 포함해 기지촌의 모든 것이 송두리째 잊힐 것임을 누구보다 잘 알고 있음에도 그 땅을 떠나지 못하는 여성들의 삶을 포착한다.

이 영화는 <그것이 알고 싶다>처럼 한국 전쟁 이후 정부의 주도 하에 암묵적으로 성행 했던 미군 위안부 제도를 정면으로 비판하는 다큐멘터리는 아니다. 하지만 한국 근현대사에서 철저히 숨겨지고 잊히고 있던 트라우마의 한 편을 끄집어 올려, 이것이야말로 우리가 잊지 않고 기억해야할 역사임을 환기시킨다.

카메라가 보여주고자 하는 모든 것을 이해하려 들지 않아도, 이 영화를 통해 말하고자 하는 진실까지 가릴 수는 없는 법이다. 망각하고 싶었던 과거에서 어렵게 불러들인 유령. 이 어렵고도 마주하기 힘든 이야기를 애써 외면하지 않고, 똑바로 직시하고 응답하는 것. 그것이 반복되는 역사의 굴레 속에 살고 있는 우리들의 소명이자 의무다.

덧붙이는 글 이 기사는 권진경 시민기자의 개인 블로그(neodol.tistory.com), 미디어스에 게재되었습니다. 오마이뉴스는 직접 작성한 글에 한해 중복게재를 허용합니다.
거미의 땅 영화 기지촌 미군 위안부 김동령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로 지금 여기에서 여성의 눈으로 세상을 보고 이야기하고자 합니다.

to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