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이 기사는 오마이뉴스 청소년 특별면 '너아니'에 실렸습니다. '너아니'는 청소년의 글을 가감없이 싣습니다... <편집자 주>

한국에서 굉장히 멉니다. 위치도, 2005년을 달리는 시간개념도요^^
▲ 에티오피아는 한국에서 굉장히 멉니다. 위치도, 2005년을 달리는 시간개념도요^^
ⓒ 박소민

관련사진보기


오늘(대한민국 기준 2013년 8월 31일) 에티오피아는 2005년 12월 25일이다. 에티오피아 달력은 고대 이집트 달력을 기반으로 한 게즈력으로 우리가 사용하는 그레고리력과는 매우 다른 날짜 시스템을 가지고 있다.

1년이 12개월인 우리와 달리 게즈력 달력은 1년이 13개월이고 매 달은 정확히 30일로 이루어져 있다. 시간을 계산하는 방법 또한 매우 다른데, 에티오피아와 한국은 6시간 차이가 난다. 오늘은 우리에게는 조금 생소한 날짜 개념 속에 살아가는 나라 에티오피아에 사는 페카두(FEKADU)와 이야기를 나누어보았다. 문득 페카두와 처음 막 연락을 시작했을 때 스카이프(영상통화 사이트)를 통해 시간약속을 잡다가 시간 개념이 헷갈려 혼쭐이 났던 기억이 난다. 그럼 지금부터 에티오피아 청소년의 일상을 샅샅이 파헤쳐보자.

"학교 규율 엄격...휴대폰 소지 절대 불가능"

FEKADU :)
▲ 아동 구호 봉사활동에 관심이 무척 많은 FEKADU FEKADU :)
ⓒ 박소민

관련사진보기

소민 : "에티오피아의 날짜 시스템은 많은 나라들이 사용하는 달력 시스템과 다르잖아. 일상에서 불편함은 없어?"
페카두 : "응. 큰 어려움은 없어.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날짜 시스템에 익숙해져 있어. 현지인들은 모두 이집트 달력을 사용하고 공공기관이나 국제적인 업무(무역, 인터넷 뱅킹, 비행기 예약)를 처리할 때는 미국 날짜 기준으로 처리를 한다는 게 이미 기정화된 사실이라 에티오피아 사람들은 헷갈리는 경우가 거의 없어."

소민 : "에티오피아 청소년의 하루 일과를 말해주겠니?"
페카두 : "대부분의 에티오피아 학생들은 오전 6시에 일어나서 학교 갈 준비를 하고 7시 반쯤 등교를 해. 학교에 도착해서 매일 오전 8시 반에는 에티오피아 국가를 부르고 수업을 시작해. 오후 4시까지 수업이 있고, 내 경우에는 집에 와서 오후 5시부터 8시까지는 그날 배운 내용을 공부해. 그 이후 시간은 영화를 보러 가거나 텔레비전을 보는 등 자유롭게 시간을 보내는 편이지."

소민 : "학교에서는 무엇을 배워? 에티오피아 고등학교만 배우는 과목도 있니?"
페카두 : "대부분 고등학생은 수학, 물리, 영어, 화학, 생물, 역사, 지리, 인종, 윤리, 암하릭어, 체육 등의 11개 과목을 배워. 에티오피아 학생들만 배우는 과목이라면 단연 에티오피아의 현지 언어인 암하릭어겠지?"

소민 : "학교 규율이 엄격한 편이니?"
페카두 : "응. 학교 규율이 매우 엄격한 편이야. 휴대폰 소지는 절대 불가능하고 항상 교복을 단정히 입어야 해. 선생님께 항상 존경의 표시를 해야 하고."

소민: "방과 후에는 주로 무엇을 해?"
페카두 : "에티오피아 학교는 경쟁이 심해서 많은 학생들이 공부하는데 시간을 보내."

소민 : "사복을 입을 때 어떤 스타일의 옷이 가장 인기 있어?"
페카두 : "대부분의 에티오피아 청소년들은 옷에 관심이 없어. 옷을 결정하고 사는 일은 부모님께 달려있거든."

소민 : "에티오피아 청소년만의 독특한 문화가 있니?"
페카두 : "딱히 우리만의 청소년 문화는 없는 것 같아. 그냥 일반적으로 영화를 보러가고, 축구를 하지."

"학교 성적과 대학 입시가 가장 큰 고민거리"

소민: "에티오피아 청소년에게 가장 핫 이슈는 무엇이니?"
페카두 : "학업인 것 같아. 대부분의 청소년들이 숙제, 수행평가, 시험에 대해서 말하는 게 일상다반사거든. 한국에서 그렇듯, 에티오피아에서도 단연 학교 성적과 대학 입시가 학생들의 가장 큰 고민거리야."

소민 : "대학교에 들어가기 위해 어떤 준비가 필요해?"
페카두 : "대학 전에 배워야 하는 공부를 11학년과 12학년에 모두 마쳐야 하고, 에티오피아의 수능시험인 메트릭(MATRIC)을 치러야 해."

소민 : "청소년들 사이에 가장 유망 직업은?"
페카두 : "많은 아이들이 과학자(비행조종사, 우주비행사, 의사, 물리학자 등)를 꿈꿔."

소민 : "네 꿈은 뭐야?"
페카두: "나는 물리학자가 되고 싶어. 학교에서 물리를 배우는 시간이 너무 좋거든."

소민 : "에티오피아 청소년들은 아르바이트 일을 하는 게 일반적이야?"
페카두 : "응, 실제로 아주 많은 학생들이 구두닦이, 식당 종업원을 비롯한 파트타임 일을 해. 몇몇 학생들은 생계유지를 위해 풀타임 일을 하는데 그런 친구들은 대부분 밤 수업을 들어."

소민 : "몇 살을 어른이 되는 나이로 정의하니?"
페카두 : "에티오피아에서 공식적으로 어른이 되는 나이는 만 18세야."

소민 : "청소년 사이에서 '멋진 아이'는 어떤 성격을 가진 아이야?"
페카두 : "교회에 다니는 아이들이 인기가 많고, 다른 친구들을 잘 이해해주는 친구가 인기가 많아."

소민 : "에티오피아 청소년에게 가장 신나는 날은 언제야?"
페카두 : "예수 공현 축일인 '에피파니(epiphany)'라고 불리는 국가 공휴일이야. 이날 모든 학생들은 학교에 가지 않아."

"도움 받는 건 고맙지만, 우리만의 문화 없어질까 걱정"

소민 : "네가 저번에 소개해주었던 인터넷 카페에 대해서 더 자세히 설명해줄 수 있니?"
페카두 : "에티오피아의 대부분 가정집에는 컴퓨터가 없는 대신에 정말 많은 인터넷 카페들이 있어. 1분 단위로 돈을 받는데 장소마다 가격이 천차만별이고 대부분 인터넷 사용료가 비싼 편이야. 대부분은 1분에 50센트를 내. 형편이 어려운 사람은 인터넷 카페에 오는 것을 꿈도 꾸지 못하는 게 현실이야."

소민 : "검색을 통해 이것저것 알아보던 중에 에티오피아는 특히 빈부차가 매우 심한 나라라고 들었어. 이게 학생들에게도 크게 영향을 끼치니?"
페카두 : "응. 매우 큰 영향을 끼쳐. 당연한 말이지만, 부유한 집안의 자녀들은 실험실, 도서관을 비롯한 각종 시설과 좋은 선생님들이 계시는 명문 사립학교에 다니는 반면에 사정이 어려운 학생들은 작은 교실에서 엄청나게 많은 인원이 함께 공부하는 환경에 있지. 이건 결국 부유한 집안의 자녀들이 눈에 띄게 대학을 잘 가는 이유이기도 해."

소민 : "에티오피아에서 여성 차별이 심하니?"
페카두 : "없다고는 말할 수 없을 것 같지만 최근에는 정부에서 여성 차별에 대해 엄격한 처벌을 내리고 있어."

소민 : "너희는 축구를 굉장히 좋아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 특별한 이유가 있을까?"
페카두 : "맞아. 우리는 축구에 열광하지. 왜인지는 잘 모르겠지만 우리가 아프리카 국가들을 상대로 하는 규모가 가장 큰 대회의 주최국이기도 하고 항상 우승을 하기 때문인 것 같아."

소민 : "에티오피아인으로서 너희 나라를 도와주는 많은 나라들에 대해서 어떻게 생각해?"
페카두 : "물론 금전적인 도움을 받아서 우리가 당장 어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는 것은 맞는 사실이고 그것에 대해서는 고맙게 생각하지만, 너무 많은 사람들이 도움을 받는 것에 익숙해져 있어. 실직을 하는 것에 대해서도 크게 연연하지 않고 직장에서도 게으름을 피우는 사람들이 늘고 있는 게 문제야. 에티오피아 고유의 문화와 색깔이 없어지는 것도 큰 문제라고 생각해. 너무 다양한 외국인들이 에티오피아에 와서 그들 나라의 음식을 만들어주고, 옷을 주고 하는 모습을 보면서 우리만의 문화가 언젠가는 완전히 없어질 수도 있겠다는 생각이 들더라."


태그:#에티오피아, #페카두 , #남고생
댓글1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