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흔들리며 피는 꽃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아름다운 꽃들도
다 흔들리면서 피었나니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
흔들리지 않고 가는 사랑이 어디 있으랴

젖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
이 세상 그 어떤 빛나는 꽃들도
다 젖으며 젖으며 피었나니
바람과 비에 젖으며 꽃잎 따뜻하게 피웠나니
젖지 않고 가는 삶이 어디 있으랴

- 도종환, <흔들리지 않고 피는 꽃이 어디 있으랴>(2007, 랜덤하우스)


음성으로 전해지는 시어들이 활자보다 더 큰 감동을 준다. 낭송가의 희노애락이 함께 느껴져서 그런가보다. 울음을 삼키는 듯 애절한 목소리로 '흔들리면서 줄기를 곧게 세웠나니', '다 젖으며 젖으며 피었나니'를 낭송하는데 듣는 사람의 마음 또한 촉촉해졌다.

누구나 마음 속에 보듬어주어야 할 자라지 못한 어린아이가 있다. 어린 시절의 상처, 시련으로 인해 성인이 되어서도 유독 예민해지고 간혹 트라우마가 되기도 하는 어떤 부분 말이다. 시간이 지나 괜찮을 거라 생각하지만 쉽게 익숙해지지 않는 어떤 경험들.

<흔들리며 살아도 괜찮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았다>(2020, 도서출판 진포)를 읽으면서 이안나 작가의 '내면아이'와 만났다. 여섯 살이 될 때까지 엄마 젖을 빨았고, 그 후론 하얀 돌사탕을 빨았던 아이는 사랑이 고팠던거 같다. 딸만 여섯을 낳고 그 중 둘을 앞세운 어머니는 아들 못 낳은 죄를 몸 고생으로 갚으려고 했단다.

'아들인 줄 알고 낳았는데 딸이라서? 먹고 사는 게 지독히도 힘들어서?' 작가의 어머니는 어떤 마음으로 그렇게 몸을 혹사시키셨을까 헤아려 보려 하지만 어렵다. 부모님이 줄 수 있는 사랑보다 너무 큰 사랑 그릇을 가지고 있던 어린 작가에게 애잔한 마음이 든다.

여고 시절 아버지를 여의고 풍요롭지 못한 시대, 남자가 더 존중받던 시대에 작가가 겪었을 마음 고생을 감히 이해한다고 말할 수 없다. 대학 가겠다는 선언에 돌아온 엄마의 한숨과 포기, 이웃집과의 법적 다툼, '스무 살 이야기'는 너무 화가 나고 마음이 아파서 한 번에 다 읽지 못했다. "왜 여자면 안되는데?", "왜 남자만, 아들만 찾냐고?" 스무 살 작가의 울부짖는 소리가 들리는 것 같았다.

"행복은 몸에 좋다. 하지만 마음의 힘을 길러주는 것은 슬픔이다." (마르셀 프루스트)

구구단을 못 외운다고 모질게 혼났던 아이는 그 또래의 아이들에게 옛이야기를 들려주는 이야기 할머니가 되었다. 물 공포심의 근원에 자리했던 우물에 빠진 일곱 살 소녀를 알아차리고 보듬어주자 평생의 물 공포를 이겨낼 수 있었다. 여고 선생님이 되고 싶던 소녀의 꿈은 좌절되었다. 하지만 독서와 글쓰기로 숨을 쉴 수 있었고 시집과 에세이를 출간한 작가가 되었다. 글쓰기를 통해 슬픔을 알았고 위로 받았고 치유할 수 있었다.

자신감을 상실하고 좌절과 고통의 시간이 있었지만 천천히 본인의 방식으로 극복해 낸 작가에게 마음 깊은 곳에서 우러나온 존경의 박수를 보낸다. 흔들리며 산 날들에게 감사하다는 작가에게 나 또한 감사하다. 작가는 '흔들리며 살아도 괜찮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았다'고 했지만 '늦었다고 생각할 때가 가장 빠를 때'라는 걸 이미 깨달으셨을 거다.

책을 읽는 내내 마음이 아렸다. 책 속의 작은 아이가 내 안의 작은 아이가 말을 거는 것 같았다. '뭐가 그렇게 힘들었어? 흔들리며 살아도 괜찮아.' 묻어 버린 줄 알았던 기억들이 고개를 내밀었다. 희미하게 목소리를 내는 것 같기도 했다. 알아차리고 받아들이는 치유의 과정이 시작된 듯하다.

흔들리며 살아도 괜찮다는 것을 너무 늦게 알았다 - 글을 쓰면서 만난 나에게 하루하루가 선물이었던 날들

이안나 (지은이), 진포(2020)


태그:#흔들리며 살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하루 하루 좀더 나은 사람이 되고자 읽고 쓰고 생각하려고 합니다. 계획한 대로 안되는 날도 많지만 노력하다보면 조금씩이라도 앞으로 가겠지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