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 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 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 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을 전한다.[기자말]
임채길씨
 임채길씨
ⓒ 주간함양

관련사진보기


  
수동면 치라골은 지리산과 덕유산, 감악산 등으로 빨치산들이 근거지를 옮겨 다니는 경로와 접해있는 작은 농촌마을이다. 빨치산들은 지나다니며 총칼로 주민들을 위협해 가축과 곡식을 약탈해갔다. 그즈음 경찰은 빨치산이 마을에 들어오면 지서에 신고하라고 했으나 경찰서와 멀리 떨어져 있던 치라골 사람들은 치안혜택을 받지 못한 채 괴롭힘을 당하고 있었다.

수동면 죽산리 주민 전재윤은 1949년 9월 9일쯤 마을에 나타난 빨치산에게 밥을 해준 일로 수동지서에 끌려가 취조를 당했다. 취조과정에서 경찰이 마을 거주자 20세 이상 남자이름을 적을 것을 요구해 전재윤씨는 이름을 적어주고 풀려났다.

그 후 9월 19일 새벽 수동지서 주임 최홍식과 경찰, 청년단원들은 수동면 죽산리 치라골에 들이닥쳐 18명의 마을주민을 호명하여 수동지서로 끌고 갔다. 연행된 마을주민들은 함양경찰서로 넘겨진 뒤 취조를 당했으며 이후 국군에게 인계되어 9월21일경 이은리 당그래산에서 사살 당했다. 연행된 18명은 주로 20~30대 남성이었으며 남편의 부재로 대신 잡혀간 여성 1명이 포함돼 있었다.

죽산리에서 연행된 주민 18명 중 임기택씨를 제외한 17명이 총살당했다. 임기택씨는 당그래산 현장에서 구덩이를 파다가 어느 군인이 이름을 불러 살아 남았다. 임기택씨 어머니의 젖을 함게 먹고 자란 함양경찰서 사찰계 형사 부인이던 이정자씨는 남편에게 부탁하여 당그래산에서 총살직전 이름을 불려 화를 면했다.

사건이 발생한 후 유족들은 희생자들의 시신을 찾기 위해 희생현장을 찾아 갔으나 경찰의 제지로 현장에 접근하지 못했다. 또한 경찰은 사건이 발생하자마자 바로 마을을 비우라고 해서 주민들은 아랫마을로 이주했다가 이듬해 봄에 마을로 돌아왔다.

"사상범으로 몰려서 재판도 못 받고" 

유족 임채길씨는 아버지 얘기를 할머니로부터 들었다. 임채길씨 아버지는 일본에 있었으며 해방 후 할아버지와 한국으로 돌아왔다.

"저는 할머니가 두 분 계셨습니다. 본래 우리를 낳은 할머니는 치라골 고향에 계셨고 우리를 길러주신 할머니는 일본에서 할아버지를 만나 오셨는데 그 할머니가 말씀해 주시기를 큰 할머니는 아버지가 돌아가시고 얼마 후에 아마 돌아가신 것 같습니다."

할머니의 증언에 따르면 1949년 음력 7월27일 새벽 경찰과 경찰특공대원들이 들이닥쳐 총을 쏘며 마을을 수색을 했다. 집집마다 다니며 한 사람씩 잡아갔는데 남자가 없으면 그 부인을 잡아갔다.

"총 칼을 들고 설치는데 어디로 피해서 도망을 갈 여건도 못됐고 할머니 말씀으로 그 당시 따발선이라는 게 있었는데 그걸로 사람들을 엮었다고 해요. 아버지가 잡혀가고 할아버지가 황소 두 마리 값을 들고 경찰서에 구하러 가니까 이미 당그래산으로 가고 없더래요. 그래서 우리가 제사를 칠월 스무여드레 날 지냅니다."

임채길씨는 어머니 뱃속에서 3개월 되던 때 아버지를 잃었다. 마을사람들이 잡혀가고 난리통에 소개를 시켜 용수막이라는 곳으로 쫓겨나고 그는 남의 집 아랫방에서 태어났다. 어머니는 젊은 나이에 혼자가 되어 남편 없이 가정을 꾸리기 힘들어 재가를 했다.

"재가를 하실 때 저는 데리고 가셨는데 저희 형님을 혼자 놔두고 오신 게 한이 맺히셨던 거 같아요. 제 위로 여덟 살 차이나는 형님이 한분 계셨는데 고생고생 하시며 농사를 짓고 사시다가 고생을 많이 하셔서 그런지 일찍 돌아가셨어요."

유복자로 태어난 임채길씨는 아버지의 죽음을 정확히 아는 것이 자식 된 도리라고 생각하고 개인적으로 그 당시 자료를 수집하고 사람들을 만났다. "저는 누구의 아버지가 어떻게 돌아가셨는지 알고 싶더라고요. 그래서 5년여에 걸쳐서 희생자 유족이나 친척들이 치라골에 오면 꼭 연락을 달라고 해서 그분들 주소를 모았어요." 그렇게 치라골 유족회를 결성했지만 그마저도 쉽지 않았다.

"자식 된 도리로 아버지가 사상범으로 몰려 재판도 못 받고 억울하게 돌아가셨어요. 아무것도 안하면 안 된다고 설득했는데 빨갱이 자식으로 낙인찍힐까 두려워하시거나 연좌제도 폐지됐으니 그냥 살자는 분도 계셨어요."

그의 뜻을 헤아리고 협조해준 사람들도 있었던 반면 아직 그 힘든 세월에서 헤어나지 못한 유족들도 있었던 것이다.

치라골 사건에서 유일한 생존자 임기택씨는 임채길씨를 각별히 생각했다. 평소 말도 없었던 임기택씨였지만 임채길씨에게만은 속내를 비치며 "길아, 너는 커서 아버지 원수를 꼭 갚아야 된다"는 말을 항상 했다고 전했다.

임채길씨는 아버지를 떠올릴 때 마다 목이 메어 온다. "열심히 살아라, 정직하게 살아라, 그러면 사람들이 너를 알아줄 것이다"는 어머니의 가르침에 따라 '이렇게 잘 자랐다'고 아버지께 보여드리지 못하는 것조차 불효 같다.

"세계 어느 나라 역사를 봐도 자기 국민들을 학살해 놓고 그 여한이 대대로 흐르게 놔두는 역사는 없더라고요. 국가는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해야할 의무가 있다고 생각을 합니다. 늦었지만 지금이라도 유족들의 한을 풀어주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지금까지 모아둔 빛바랜 서류를 쓰다듬으며 임채길씨가 애틋한 사부곡을 써내려 간다.

*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하였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기억의 외곡이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유족

■ 이름 : 임채길
■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아들
■ 생년월일 : 1950년 4월2일 / 만 73세
■ 성별 : 남
■ 주소 : 산청군 산청읍 웅석봉로133번길178
■ 직업 / 경력 : 자영업

희생자 정보

■ 이름 : 임정택
■ 생년월일 : 모름
■ 사망일시 : 당시 28세
■ 성별 : 남
■ 결혼여부 : 기혼
■ 주소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치라골
■ 직업 / 경력 : 농업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함양민간인희생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