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 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 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 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불구하고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을 전한다.[기자말]
1949년 9월 당시에 유동마을 이장이 빨치산으로 주민들의 도장을 도용해 보도연맹에 임의로 가입원서를 작성했다. 이장 체포 당시 그 명단이 수첩에 적혀 있어 국군이 무고한 마을 사람들을 빨치산으로 오인해 안의면 상원리 탁현마을 주민 19명이 체포, 함양군 유림면 매촌마을 뒷산에 끌려가 집단 학살 당했다.

"일정시대, 여순사건, 6.25까지 그걸 다 지나왔어요. 이게 전부 전쟁 때문이라요. 지금 전쟁이 일어나면 그때처럼 똑같은 일이 벌어질까요." 혼란한 시대를 관통했던 여인, 이종남씨가 되묻는다.

"희생된 가족이 3명입니다. 우리 아버지랑 오빠 두 분이 돌아가셨어요. 당시 살던 곳은 용추사 있던 곳이었어요. 그때 내가 열여섯이고 우리 작은 오빠랑은 네 살 터울이었응께 작은오빠는 스무살, 가운데 오빠는 스물 세 살 정도 됐었겠네요. 스물다섯도 안됐죠. 우리 아버지는 육십 하나인가 그랬고."

이종남씨의 가족은 안의면 상원리 가는골이라고 불리는 산골짜기 외딴 집에서 밭을 일구며 살았다. 그 시절에는 변변찮은 직업도 없이 마을 사람들과 함께 산에서 집재 일을 하며 살았다.

"여순사건 후 빨치산들이 온 천지 산에 돌아다니고 있을 때였어요. 우리 오빠 둘 하고 마을 사람들은 집재를 하다가 점심을 먹으려는데 그 사람들이 내려왔어요. 이름을 대라고 해서 전부 다 이름을 적어준 거라요. 이게 죽는 일인줄도 모르고."

그때가 음력 7월 20일, 빨치산 토벌을 한다며 마을 사람들은 죽창을 들고, 순경들은 총을 들고 황석산으로 올라갔다. 이틀 뒤인 22일 빨치산이 잡히고 그들에게서 뺏은 서류에 마을 사람들 이름이 적힌 것을 발견하게 된다. 같은 달 30일 순경이 마을에 와서 서류에 이름이 적힌 사람들을 데려간다.

"그때는 차도 없고 순사도 걸어 올라와서 잡아가는데, 끈으로 허리에 둘둘 묶어서 잡아갔어. 우리는 내동으로 이사한다고 이삿짐을 싸고 작은 오빠랑 나는 보리 갈라고 널어놓은 거 퍼 담고 있었어요.

갑자기 소개하라고 하니까 어찌 된 건지 알아보려고 가운데 오빠랑 아버지가 동네에 나갔지. 오빠와 아버지는 그렇게 잡혀가 다시 돌아오지 못했다. 경찰은 집집마다 들어가 명단을 비교해 가며 사람들을 잡아갔다. 작은 오빠는 내 보는 앞에서 내만 놔두고 데려가서 그냥 다 죽였지. 우리 동네 7명인가 데려갔어, 안의 골무산에서 바로 총살당했어요."


아버지와 오빠 소식을 알 수 없어 사방을 다니며 무슨 일인지 알아보려 해도 가르쳐 주는 사람이 없었다.

"골무산에 산지기가 사람들을 데려가는 걸 봤다고 했어요. 그 사람 아니었으면 어디서 죽었는지 살았는지도 몰랐어요. 그 당시 무서워서 바로 시신을 찾으러 가지도 못했어요. 근처에 일렁거리기만 해도 총으로 쏴 죽이고 하니까. 몇 달 지나고 사람을 사서 어머님이 시신을 찾으러 갔는데 벌써 다 썩은 거예요. 다 썩어서 뭐 확인을 하고 찾지도 못하고 옷만 보고 겨우 찾아왔어요."

사남매를 둔 다복한 가정이었으나 이종남씨 큰오빠는 양자로 가고 아버지와 오빠 둘을 잃고 여인들만 남았다. 어머니와 단둘이 농사를 지었지만 힘에 부치는 일은 마을 사람들 도움을 받아야 했다.

"그냥 살았지요. 죽이면 그걸로 끝이야. 우리는 이름 적어준 거, 그것뿐이라요. 딴 거 아무것도 없고. 우리는 물 한 방울 안주고도 억울한 죽음을 당한기라."

*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했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왜곡된 기억이 담겨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유족

■ 이름 : 이종남
■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딸, 여동생
■ 생년월일 : 1933년 10월2일 / 만 90세
■ 성별 : 여
■ 주소 :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 759-3
■ 직업 / 경력 : 농업

희생자

■ 이름 : 이해용
■ 생년월일 : 모름
■ 사망일시 : 당시 61세
■ 성별 : 남
■ 결혼여부 : 기혼
■ 주소 : 경남 함양군 안의면 상원리779
■ 직업 / 경력 : 농업
■ 기타 : 이종남씨의 오빠
이종열(당시 24세)
이종선(당시 21세)씨 희생자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에도 실립니다.


태그:#함양민간인학살희생자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