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
▲ 갯깍 주상절리대 ..
ⓒ 이명화

관련사진보기


갯깍 주상절리대

중문 관광안내소에 잠시 들린 후 예래동 갯깍 주상절리대로 간다. 예쁘게 포장된 해안도로를 따라 가다보니 색달 하수종말처리장 앞에 이른다. 하수처리장 앞엔 '반딧불이 보호지역'이란 안내판이 붙어 있다. 여기서부터 갯깍이다.

바다의 '갯'과 끝머리란 '깍'이 붙어 바다의 끄트머리란 뜻이다. 또 '주상절리'란 '단면의 형태가 육각형 내지 삼각형으로 긴 기둥모양을 이루고 있는 절리를 말한다고 한다. 화산암 암맥이나 용암, 용결 응회암 등에서 생기며 제주도 해안에는 기둥모양의 주상절리가 절벽을 이루고 있다.

주상 절리대를 걷다...
▲ 갯깍... 주상 절리대를 걷다...
ⓒ 이명화

관련사진보기


해병대길이라고 적혀 있는 길, 그리고 올레 8코스라 표시되어 있다. 제주여행을 하면서 종종 눈에 띄던 올레길을 순례하는 사람들 여기서도 만난다. 이곳은 '올레8코스'라 붙여졌으니 많은 올레꾼들이 찾아 들겠다. 그렇다면 지금 우리도 올레길을 걷고 있는 건가?!

해병대길은 해병대 장병의 도움으로 평탄화 작업이 이뤄져서 해병대길이라고 이름 해서 붙여진 이름이란다. 갯깍 주상절리대, 일명 올레8코스로 들어선다. 바다를 옆에 끼고 바다와 키 높이를 같이 하고 걷는 길 한쪽엔 기암절벽이 병풍처럼 높이 솟아 있다.

깨어 있는 바다는 하염없이 펼쳐져 있고  바다 위로 깃발처럼 펄럭이는 바람에 파도는 쉴 새 없이 뒤척이며 하얀 물보라를 일으키며 해안에 부딪친다. 발밑에도 돌길 바위길, 고개 들어 올려다보는 눈에 들어오는 곳에도 높이를 가늠할 수 없을 정도의 직각으로 뻗어 올라간 거대한 절벽이다. 그 높이는 장장 40~50m라 한다. 바위 병풍처럼 쭉 이어진 거대한 암벽을 따라 걷는다.

40~50m나 되는 기암절벽...거기 피어난 작은 생명들...
▲ 갯깍... 40~50m나 되는 기암절벽...거기 피어난 작은 생명들...
ⓒ 이명화

관련사진보기


왼쪽 옆엔 깎아지른 듯한 거대한 바위, 오른쪽엔 시퍼렇게 깨어 있는 바다의 오케스트라 대향연 파도소리 들으며 걷는 길엔 태평양 바다에서 불어오는 시원한 바람이 있다. 얼마쯤 가다보니 거대한 바위동굴이다. 물이 뚝뚝 떨어지는 그늘진 동굴 안은 짙은 그늘에 서늘한 기운이 돈다. 동굴 안을 통과한다.

그 어떤 손이 있어 이렇게 조각할 수 있을까. 자연이 조각한 섬세하고도 장엄한 기암절벽들이 이어진다. 파도소리 들으며 걷는 길에 제주올레 길을 따라 걷는 여러 명의 사람들과 앞에서 뒤에서 맞닥뜨린다. 천천히 걷기 위해 걷는 사람들이다.

쉴 새 없이 뒤척이는 파도소리 들으며 걷는 길에 잠시 바위 위에 앉았다. 뒤척이는 바다를 바라보며 땀을 식힌다. 혼자 온 것일까. 저 멀리 떨어져 앉은 아가씨, 누군가에게 핸드폰으로 사진을 찍어 보내는 것 같다. 모자를 깊이 눌러쓰고 한참을 홀로 앉아 있다.

...동굴 속을 통과하며...
▲ 갯깍 주상절리대 ...동굴 속을 통과하며...
ⓒ 이명화

관련사진보기


사람이 없을 땐 이곳은 꽤나 외지겠다 싶다. 계절은 여름, 그리고 올레길 걷는 이도 있고 여행자들이 제법 걷고 있으니 혼자 있어도 괜찮을 것 같다. 어린 아이의 손을 잡고 온 가족들도 보이고, 가다 멈추고 높은 절벽 위로 고개 꺾어 올려다보며 카메라 눈을 맞추는 여행자도 보인다. 그 표정은 짐짓 엄숙하고 진지하다.

카메라의 무게의 차이일까. 아니면 사물을 바라보는 그 자체의 태도 때문일까. 내 손에 있는 디카로 아무리 진지한 태도를 보인들, 그런 묵직한 표정이나 엄숙하기까지 한 표정이나 그림은 나오지 않을 것 같다. 어쨌든 사물을 사진기로 바라보는 눈이 진지하고 엄숙해 나도 좀 묵직한 표정을 연출해 보려 하지만 영 아니다.

우린 올레길 8코스가 끝나는 곳까지 다 가지 않고 병풍바위가 끝나가는 지점에서 다시 돌아서 걷는다. 가던 길 돌아 걸으니 또 다르게 와 닿는 풍경이다. 바윗길 끝나고 열리 해안 길을 얼마쯤 가다가 바로 옆에 논짓물이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논짓물은 열리해안길 따라 걷는 길에 연결되어 있다.

남편은 미리 계획하고 온 길이라 알고 있었지만 나는 구체적으로 논짓물이 어디 있는지 모르는 상태였기에 갯깍 주상절리대 바로 근처에 있다는 사실에 놀랄 수밖에 없었다. 논짓물 앞에는 많은 사람들이 와글와글한다.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 논짓물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
▲ 논짓물 민물과 바닷물이 만나는 곳...
ⓒ 이명화

관련사진보기


논짓물에 들어가 수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가족과 함께 와서 그늘에 쉬고 있는 사람들은 주로 어른들이고 아이들은 신나게 물에서 물놀이하느라 정신이 없다. '논짓물'은 바닷물과 민물이(담수)서로 만나는 곳이다. 마치 쇠소깍과 비슷하다.

하지만 이곳엔 높은 산에서 내려오는 민물과 바닷물이 경계를 이루는 곳에서 수영을 즐길 수 있도록 만들어놓은 곳으로 한 여름날에 수많은 사람들이 가족과 혹은 친구와 연인들이 이곳에서 수영하며 즐거운 한때를 보내고 있다.

바닷물에서 수영을 하고 따로 헹굴 샤워장이 필요 없이 수영을 즐길 수 있어 좋은 것 같다. 민물 아래 바다에서 수영을 하다가 계속해서 콸콸 흘러내리는 담수에 물을 담그면 절로 헹궈지겠다. 제주 올레 8코스라 또 다른 이름이 붙여진 갯깍 주상절리대와 논짓물, 열리해안길이 이곳에 있다.
계속 쏟아져 나오는 물...
▲ 논짓물... 계속 쏟아져 나오는 물...
ⓒ 이명화

관련사진보기


...
▲ 논짓물... ...
ⓒ 이명화

관련사진보기


늘 푸르게 깨어 있는 바다와 자연의 신비가 만들어낸 기암절벽으로 된 갯깍 주상절리대, 열리해안 길과 논짓물... 제주도는 섬 전체가 하나의 자연적인, 천혜의 여행지 그 자체다. 따로 이름 붙이고 유명한 코스가 아니라 해도 어디를 둘러보아도 멋진 곳이 많다.

길이 아주 잘 닦여져 있어 어디를 돌아보아도 길에서 길로 연결되고 복잡한 도심에서 복작대다가 넓고 광활한 평원이 이어지는 이곳을 달리다보면 가슴이 탁 트인다. 자전거여행, 자동차여행, 택시 혹은 버스여행, 오토바이, 렌트카, 올레길... 여행객들로 넘쳐나는 제주도...

세계경제침제와 고환율, 고유가 등에 따른 경기불황으로 해외여행이 현격히 줄어든 근래에는 해외여행을 선호하던 사람들조차도 국내여행에 눈길을 많이 돌리고 있다고 한다. 해서, 제주도는 경기불황의 악재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비수기로 통하는 6월에도 관광객 유치기록을 잇따라 경신했고 사상 최고치를 찍었다고 했다.

제주를 이름 하여 여행자의 천국이라 한다. 해서 제주에서는 다양한 볼거리들을 상품화하여 여행객들에게 소개하고 또 유료화하는 것이 많다. 제주도에 대한 팸플릿과 책자들은 그래서 많기도 하다. 알찬 여행, 짠돌이 여행을 하기를 꿈꾼다면 대중들에게 많이 알려진 것도 좋겠지만 제주의 숨은 비경들을 찾아보면 얼마든지 많을 것이다.

요즘은 발품을 팔아서 숨은 비경들을 소개해주는 사람들도 많다. 중문 대포해안 주상절리대(천연기념물 제443호)는 눈으로만 감상할 수 있고 유료지만, 갯깍 주상절리대는 무료다. 자연이 주는 천혜의 신비를 경험하며 걷기만 하면 된다. 또한 주상절리대 못지않게 자연의 신비와 장엄함을 느낄 수 있는 곳이며, 직접 걸으면서 만져볼 수 있고 느낄 수 있다.

물론 논짓물 이용료 역시 무료다. 주차비도 무료, 화장실도 깨끗하다. 마음껏 수영할 수 있다. 예쁘게 포장된 여래동 해안도로를 따라 걸으며 논짓물도 구경하고 태평양에서 불어오는 상쾌한 바닷바람을 느끼며 갯깍 주상절리대를 가끔 만나는 올레꾼들과 함께 걷는 길, 좋지 아니한가. 갯깍 주상절리대나 논짓물도 여름휴가의 피크인 7,8월엔 제주에 더욱 많은 여행객들로 넘쳐날 것 같다.

찾아가는 길: ①하얏트 호텔 내에 있는 야외정원 산책로 길을 따라 바다쪽으로 내려가다보면 바로 만날 수 있다. ②예래 생태마을에서 가는 방법

ⓒ 이명화


태그:#제주, #갯깍 주상절리대, #논짓물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항상 기뻐하라 쉬지 말고 기도하라 범사에 감사하라 이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너희를 향하신 하나님의 뜻이니라.'(데살전5:16~17)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