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자라섬재즈페스티벌 무료공연무대
 자라섬재즈페스티벌 무료공연무대
ⓒ 박준규

관련사진보기


지난 15일부터 17일까지, 가평 자라섬과 그 일대에서 제7회 가평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이 열리고 있다.

올해로 제7회째를 맞은 '가평자라섬국제재즈페스티벌'은 매년 초가을 무렵 국내외에서 활동하는 재즈아티스트를 초청해 자라섬과 가평읍 일대에서 재즈연주를 하는 지역축제다. 문화체육관광부로부터 2년 연속 '대한민국 유망축제'로 선정되기도 했다.

페스티벌이 열린 15일에는 정병국(한나라당) 의원을 비롯해 김문수 경기지사, 이진용 가평군수 그리고 지역주민들과 국내외 관람객 등 4천여 명이 넘는 인원이 참석한 가운데 공식 축제가 시작됐다. 이번 축제엔 총 66팀의 공연이 펼쳐질 예정으로 재즈마니아들에게 기대감을 주고 있다.

1km 넘는 거리, 휠체어나 목발로 걸어가 관람하라고?

메인무대까지 걸어가는 목발 이용자.
 메인무대까지 걸어가는 목발 이용자.
ⓒ 박준규

관련사진보기


하지만 보행 장애인들이 관람하기엔 다소 불편한 점이 많아 장애인들에 대한 배려가 미흡했다는 지적이다. 이번 축제에 마련된 무대는 총 8개, 그중 2개의 (메인)무대는 유료로 진행된다. 주최 측은 장애인과 65세 이상의 노인, 미취학 아동에 한해서는 무료입장을 허용했다. 그러나 문제는 정작 장애인들이 메인무대로 이동하기가 어렵다는 것.

그중 자라섬 중도에 위치한 메인무대는 자라섬캠핑장 주차장으로부터 약 1㎞가 되는 거리로 휠체어 이용자, 목발 사용자, 보행이 불편한 사람들이 도보로 이동하기엔 제법 긴 거리다.

이럼에도 주최 측은 자라섬 메인무대로 가는 입구서부터 철저한 차량통제를 실시하고, 하다못해 행사 관련 음료수 지원 차량마저 통제해 보는 이들로 하여금 긴장감마저 주었다.

작년까지만 해도 장애인차량 및 사전에 등록한 보도차량에 대해서는 메인무대 근처까지 차량운행이 되도록 배려해 그나마 형편이 나았다. 그러나 올해는 메인무대가 기존 위치(자라섬문화공원 안쪽)에서 다소 외부로 나왔다는 이유로 행사장 공간 확보 차원에서 대부분의 차량을 통제한다는 것. 이로 인해 피해를 입은 것은 보행 장애인들이다.

기존 메인무대가 외부로 밀려 나온 이유 중 하나는 자라섬 중도 일부가 한강살리기사업으로 공사 중이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군수차량이고 뭐고 못 들어가!

무대 진입로에서 차량통제를 하고 있지만 일부 차들을 통행중이다.
 무대 진입로에서 차량통제를 하고 있지만 일부 차들을 통행중이다.
ⓒ 박준규

관련사진보기


페스티벌이 시작된 첫날, 행사장을 방문한 장애인 G모씨는 메인무대 근처까지 차량운행 할 방법이 없냐고 행사 진행 관계자에게 묻자 "아무 차량도 들어갈 수 없다. 군수차량이고 뭐고 못 들어가며 모두 걸어 들어가야 하니 저쪽 구석에 차를 대고 걸어 들어가라"며 불친절하게 답했다고 불만을 토로했다.

또한 소아마비장애를 갖고 있는 K모씨는 "행사 진행상 많은 자동차들이 운행되면 다소 어수선한 점이 있다는 건 이해하지만 최소한의 장애인 형편을 봐줄 수 있는 배려가 없어 보여 안타깝다"고 말했다. 이어 "젊은이들이 많이 관람하는 행사지만 사회적 약자들도 관람할 수 있다는 것을 감안하여 행사를 운영했으면 좋았겠다"는 아쉬움을 나타냈다.

올해로 7회째를 맡는 지역축제지만 장애인들을 배려한 운영방침은 해마다 달라지며 특별한 배려 또한 주어지지 않는다는 게 자라섬재즈페스티벌을 바라보는 장애인들의 시선이다.

노약자, 장애인들에게 공연장 무료입장을 허용했으면 입장할 수 있는 접근성 또한 용이하도록 해주는 것이 기본적인 배려일 것이다. 그러나 그것은 제외하고 무료입장만 운운한다는 건 주최 측의 생색내기 운영이 아닌지 반문해 볼 상황이다.


태그:#자라섬재즈, #장애인, #차량통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모두가 함께하는 사회가 될 수 있는 날을 꿈꾸는 사람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