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산지하철 노동조합과 시민사회단체가 5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지하철 대티역 화재 사고 졸속대책 규탄 및 지하철 안전문제 촉구 해결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있다.
 부산지하철 노동조합과 시민사회단체가 5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앞에서 부산지하철 대티역 화재 사고 졸속대책 규탄 및 지하철 안전문제 촉구 해결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고있다.
ⓒ 정민규

관련사진보기


부산도시철도 1호선 대티역 화재사고의 후속 대책을 둘러싸고 지하철노조가 비판의 목소리를 높이고 있다. 지하철노조는 5일 오전 10시 부산시청 앞에서 대티역 화재사고 졸속대책 규탄 및 지하철 안전문제 촉구 해결을 위한 기자회견을 열었다.

노조는 이번 사고의 원인이 전동차 수명연장에도 제대로 된 점검을 보장하지 않아 생긴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날 기자회견에서 앞서 노조가 배포한 보충자료를 살펴보면 문제가 된 1호선은 일상검수를 2일 주기에서 3일 주기로 늘이면서 검수인원은 16명에서 14명으로 줄였다. 노조는 "차량이 노후화되면 점검항목과 검수인원, 그리고 점검횟수는 늘려야 한다"고 주장했다.

또 교통공사가 노후 전동차 교체 대신 대수선을 진행하겠다고 밝힌 것을 "땜질식의 처방"이라고 규탄했다. 노조는 "(노후 전동차는) 제작사에서 제작라인을 철거하여 주문부터가 어렵고 터무니없는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며 "추가 사고발생을 예견하는 것"이라고 지적했다.

기자회견에서도 노조는 교통공사의 대책을 규탄했다. 지하철노조는 "근복적인 관점에서 사고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출 것을 지속적으로 요구하였으나 시와 공사는 사고 예방보다는 사고 발생 이후 그 피해를 줄이는 대책만 추진했다"고 비판했다.

또 이들은 교통공사가 사고의 원인을 정비 소홀로 탓하고 있는 것과 관련해 "철저한 원인규명을 통한 재발방지보다는 언론플레이를 통해 서둘러 사고를 덮어버리고자 하는 속내를 드러낸 것"이라며 "예산 절감을 이유로 오히려 안전 인력을 수차례 감축한 행태가 이번 사고의 또 다른 이유"라고 지적했다.

노조는 교통공사가 지난 3일 내놓은 비상운영체제 전환 대책을 "책상머리에 앉아서 자리보전만 하는 행태"라고 비판했다. 또 이들은 교통공사가 추진하는 대수선 기간 및 점검 주기 단축 등은 "사고 이전에 추진되고 있던 계획을 마치 사고 이후 대책인 것처럼 속여서 언론에 밝한 것이 드러났다"고 지적했다. 노조 측은 사고조사에 노조의 참여를 보장하고 노후 전동차와 시설의 순차적 교체, 적정인력 확보, 철저한 원인 규명을 통한 대책 수립을 요구했다.

한편 부산교통공사는 지난 3일 지하철 사고 후속 대처의 일환으로 비상운영체제에 들어간다고 밝혔다. 또 특별점검반을 꾸려 취약지역과 안전사고 예방 및 사고조치 매뉴얼을 손 볼 예정이다. 함께 운영되는 외부 전문가 특별안전위원회도 연말까지 활동에 들어간다. 교통공사는 일련의 대책들을 바탕으로 종합안전대책을 도출한다는 계획이다.

부산시도 도시철도 1호선 전동차의 전력공급과 설비 개선을 위해 향후 6년간 1300억을 투자할 계획이다. 교통공사는 이 중 872억을 전동차 대수선에 투입하고 나머지를 문제가 된 부품과 시설물의 개선에도 활용할 방침이다.


태그:#대티역, #부산지하철, #부산교통공사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