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오마이뉴스의 모토는 '모든 시민은 기자다'입니다. 시민 개인의 일상을 소재로 한 '사는 이야기'도 뉴스로 싣고 있습니다. 당신의 살아가는 이야기가 오마이뉴스에 오면 뉴스가 됩니다. 당신의 이야기를 들려주세요.】

"아빠, 저 병원에서 자고 가면 안 돼요?"

2주 전, 인생에서 제일 무섭다는, 어디로 튈지 모르는 중학교 2학년 아들의 절친 두 명이 같은 병원에 입원했습니다. 한 명은 운동하다 다리가 부러졌고, 한 명은 계단에서 굴러 팔이 부러졌답니다. 안타까운 일입니다. 그렇더라도 병원에서 잔다니 쉽게 허락할 일은 아니었습니다. 사실, 지지난 주말에도 같은 요구를 했었습니다.

"아빠, 제발!"

아들의 외침에도 냉정하게 결정을 미뤘습니다. 게다가 아이들 엄마에게 결정을 맡기기까지 했습니다. 아내는 분명하게 "안 된다"고 말했다고 합니다. 이유는 요즘 아들이 말을 듣지 않는다는 겁니다. 집에 늦게 들어오는 건 다반사. 전화도 안 받고, 약속은 쉽게 어깁니다. 아내 말을 빌리면 이렇습니다.

"착한 아들이 달라졌다. 이제 내 아들 아니다. 당신 아들 해."

20일, 아들은 전화로 외박을 하려는데 허락해 줄 것을 요구했습니다. 잠시 고민했습니다. "엄마에게 허락 받아"라고 했더니, 아들은 한 술 더 떴습니다. 아이들 자기에게 유리한 쪽이 어딘지, 냄새 맡는데 도가 텄습니다.

"아빠, 제발…. 엄마는 안 된다고 할 게 뻔해. 아빠가 허락 해줘요."
"그러게 엄마에게 점수 좀 따지 그랬어."
"그럴 게요. 아빠가 허락해 주세요."
"그래라. 엄마에겐 네가 직접 전화해서 다시 허락 받고."
"헉, 엄마는 안 된다니깐. 아빠가 엄마 좀 설득해 주라니까."
"엄마 아들이었던 녀석이 왜 이리 됐어. 그래도 네가 전화해라."

기분 나쁜 명령조에서 부드러운 청유형 어투로 바꾸다

요즘 아들과 나는 '밀월' 관계입니다. 예전 개그콘서트의 한 코너였던 <대화가 필요해>에서 아버지와 아들 관계를 적나라하게 보여주었지요. 저희 집 부자관계와 비슷했습니다. 그랬는데 지금은 완전 좋아졌습니다. 가장 큰 이유는 단연코 아버지의 변화로부터 시작되었습니다.

아버지인 저의 변화는 아이들이 다니는 여수무선중학교에서 7월 중순 2주 일정으로 진행했던 <행복한 아버지 학교>를 다닌 후부터입니다. 이 교육에서 부모는 럭비공 같은 아이들의 변화를 감수해야 한다더군요. 아이들의 반항은 성인이 되어 가는 과정이니 자연스레 받아 들여야 한다더군요. 이를 놓치고 있었습니다. 하여, 변화를 도모했습니다.

"~안 돼."
"~해."

이처럼 그동안 제가 아이들에게 사용한 말투는 과거 아버지의 상징(?)처럼 권위적이고 무미건조했습니다. 아이들도 "아빠! 그 말투 기분 나빠요"라고 할 정도였습니다. 계속 이렇게 했다가는 자식에게 "친구 같은 아버지", 혹은 "친구 같은 부모"는 물 건너갈 게 뻔합니다. 때문에 말투를 좀 더 부드럽게 바꿔가는 중입니다.

"이거 좀 해라."
"~생각 좀 해보자."

명령적인 말투를, 아이들 입장까지 고려하는 청유형으로 바꿨더니, 아이들 태도가 달라졌습니다. 귀에 귀마개를 했는지, 말을 씹던 아들이 달라진다는 건 놀라운 변화입니다. 부모 입장에서 바람직한 변화라 기분 좋습니다. 변화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해 지난주에 부자지간 주고받았던 문자 메시지를 예로 들어 살펴보겠습니다.

부자지간 주고받았던 문자 메시지 상의 변화

지난 주, 아들과 주고 받은 문자 메시지입니다.
 지난 주, 아들과 주고 받은 문자 메시지입니다.
ⓒ 임현철

관련사진보기

"태빈아, 9시10분쯤 병원 앞 도로변으로 나오시게…."
"5분쯤 늦겠네."
"5분 더 기다려야 할 듯…."
"버스정류장 쪽에 있어요."
"가방 열렸다. 잠궈."
"나오시게 아들."

그냥 일반적인 부자지간 대화 같은가요? 아닙니다. 자세히 보시면 알겁니다. 혹 그동안 썼던 명령조 어투도 섞였습니다만 전체적으로 "나오시게", "늦겠네" 등에서 보듯, 예사 높임 어투를 쓰고 있습니다.

이런 어투를 쓰는 까닭은 부모에게 속한 자식에서 벗어나 한 인격체로 대해야겠다는 생각 때문입니다.

아들에게 자기 존재감(자존감)을 높여 스스로 아버지와 대화하려는 등의 열린 마음을 일깨운 겁니다. 그 전까지요? 아빠는 멀뚱멀뚱, 주로 엄마와만 대화했습니다. 여하튼, 아들의 외박을 허락했으니 어아들 엄마 설득은 제 몫이었습니다. 아내에게 문자를 날렸습니다.

"태비니 자라했네. 낼 집 청소하는 조건으로…."

답신이 없어 아내에게 전화했습니다. 아들에게 전화가 왔었다고 하더군요. 자기도 허락했다더군요. 아들이 엄마에게 전화하지 않고 넘어갈 줄 알았는데 그게 아니어서 다행입니다. 아들이 대견합니다.

역시, 자기부터 바뀌지 않으면 그 무엇도 바꾸기 힘든 세상임을 실감했습니다. 아버지와 아들 이렇게 '친구 같은…'이 붙어가는 중입니다. 한 가지 걱정입니다. 부자 간 밀월 관계가 언제 어느 순간 물거품이 될지…. 많은 노력이 필요하리라 생각합니다. 세상사 공짜로 생기는 건 없으니까!

덧붙이는 글 | 제 블로그에도 올릴 예정입니다.



태그:#아들, #아버지, #문자, #외박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묻힐 수 있는 우리네 세상살이의 소소한 이야기와 목소리를 통해 삶의 향기와 방향을 찾았으면... 현재 소셜 디자이너 대표 및 프리랜서로 자유롭고 아름다운 '삶 여행' 중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