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정문에 시민들의 요구사항을 담은 피켓이 붙어있는 모습.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정문에 시민들의 요구사항을 담은 피켓이 붙어있는 모습.
ⓒ 김강현

관련사진보기


부평미군기지(캠프마켓) 맹독성폐기물 주한미군처리촉구 대책위원회가 2일 국방부에 부평미군기지 환경정화와 관련된 공개질의서를 보냈다.

앞서 지난달 26일 국방부와 환경부는 부평구청에서 '캠프마켓 환경정화 주민공청회'를 열고 다이옥신의 정화 목표를 100pg-TEQ/g의 농도로 하고,  '열 탈착+토양세척', '지하매립(차폐)' 방식의 정화 방안을 제시했다.

주민공청회 당시 환경단체와 주민들은 테스트를 진행한 후 100pg-TEQ/g이하의 농도로 정화기준을 재설정 할 수 있냐고 질의했지만, 국방부는 "기준에 맞춰 장비 설계 등을 들여와 테스트를 진행하고 그보다 더 낮은 농도로 정화 할 수 있다면 계속 노력 하겠다"며 즉답을 피했다.

녹색연합 박주희 사무처장은 "미군기지 대책위가 따로 목표를 설정하진 않았지만, 원칙적으로 농도는 0이어야 한다"며 "시민참여위원회에서도 목표를 100pg-TEQ/g으로 하되 테스트 이후 재설정 하는 것을 얘기 했었는데 국방부가 그 내용조차 받아드리지 않는 눈치였다"고 말했다.

이에 미군기지 대책위는 "테스트를 진행한 후 국방부가 제시한 정화목표인 다이옥신 농도 100pg-TEQ/g 미만보다 농도를 더 낮출 수 있다는 가능성이 확인된다면, 더 강한 기준으로 정화목표를 재설정 할 수 있느냐"고 공개질의를 하고 국방부의 확실한 답변을 달라고 주장하는 것이다.

뿐만 아니라 "국방부와 환경부가 다이옥신 정화목표로 제시한 100pg-TEQ/g농도가 인체에 노출됐을 시 위해성이 없다는 근거가 미흡하고, 시민참여위원회의 위상과 역할을 자문기구 정도로 설정한 것에 대해 유감"이라고도 했다.

이어 "정부는 국민들의 건강권, 환경권을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할 책무가 있다. 군 기지로 사용된 미군기지에서 다이옥신이 확인된 만큼, 국방부는 위해성에 대한 명확한 정보를 공개하고, 주한미군의 책임을 요구하는 등 다이옥신 처리를 위해 최선을 다해야 함을 다시 한 번 촉구한다"고 주장했다.

공개질의서에 답변 기한은 정해져 있지 않지만, 녹색연합 박 사무처장은 "다음 주 중으로 답변을 달라고 다시 한 번 요청 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시사인천>에도 게시 되었습니다.



태그:#미군기지, #캠프마켓, #다이옥신, #환경정화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