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성남시청 전경
 성남시청 전경
ⓒ 박정훈

관련사진보기

 
경기 성남시가 3조 4406억 원 규모의 2023년도 예산안을 편성해 시의회에 제출했다고 8일 밝혔다.

내년도 예산안은 올해 본예산 3조 2639억 원보다 1767억 원(5.4%) 늘었다. 일반회계는 2조 8702억 원, 특별회계는 5704억 원 규모다.

내년도 예산안은 청년 취업을 위한 자격증 취득 지원, 판교 콘텐츠 거리 조성,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메타시티 성남 디지털 트윈 구축 등 4차 산업 특별도시 만들기와 지역경제 활성화 추진에 중점을 둬 편성했다.

분야별로는 사회복지 분야에 일반회계의 40.5%인 1조 1629억 원을 배정했다. 청년 취업을 위한 자격증 취득 지원사업 100억 원, 국가유공자 예우와 지원 104억 원, 어르신 일자리 사업 81억 원, 위례·판교대장 종합사회복지관 건립비 101억 원, 장애인복지관·청소년수련관 건립비 173억 원 등이 사회복지 예산으로 쓰인다.

교육 분야는 656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유치원·초·중·고교생 등 무상급식비 지원 344억 원, 교육환경 개선사업비 85억 원, 무상교복지원 13억 원, 고등학교 무상교육 경비지원 8억 원, 미래교육지원사업 81억 원 등이다.

산업·중소기업과 에너지 분야는 814억 원을 투입해 지역경제를 활성화한다. 성남사랑상품권 활성화 기금 105억 원, 판교 콘텐츠 거리 조성 42억 원, 성남 의료 빅데이터 플랫폼 구축 15억 원, 성남시 소상공인 특례보증 출연금 13억 원 등이 포함됐다.

교통·물류 분야는 2771억 원을 배정했다. 경기도 공공버스 운영지원 230억 원, 남한산성 순환도로 확장공사 200억 원, 공영주차장 건립비 55억 원, 희망로 잔여 구간 확장공사비 13억 원 등을 각각 편성했다.

국토·지역개발 분야는 2121억 원을 투입한다. 메타시티 성남 디지털 트윈 구축 14억 원, 밀리언 근린공원 조성 45억 원, 희망대공원 랜드마크 조성사업 89억 원, 분당 중앙공원 리모델링 30억 원, 대원공원 테마공원 조성 10억 원 등이 쓰인다.

주민이 직접 제안한 주민참여예산 사업은 192건, 70억 원의 예산을 편성했다. 금곡지하차도 보행환경 개선 12억 원, 길거리 공연 활성화 6억 원 등이 해당한다.

이 외에 정자동 금곡공원 국민체육시설 건립비 107억 원, 경기도 종합체육대회 개최 지원비 29억 원, 고등·신흥2동 행정복지센터 건립비 113억 원 등의 예산이 편성됐다.

성남시 내년도 예산안은 오는 21일 개회하는 제276회 성남시의회 제2차 정례회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9일 확정된다.

 

태그:#성남시, #신상진, #예산안, #성남시의회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삶은 기록이다" ... 이 세상에 사연없는 삶은 없습니다. 누구나의 삶은 기록이고 그만한 가치가 있습니다. 사람사는 세상 이야기를 사랑합니다. p.s 오마이뉴스로 오세요~ 당신의 삶에서 승리하세요~!!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