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전교조 충북지부는 16일 충북도의회 교육상임위 앞에서 블랙리스트의 철저한 조사와 관련자 처벌을 촉구하는 피켓시위를 진행했다.(전교조 충북지부 제공)
 전교조 충북지부는 16일 충북도의회 교육상임위 앞에서 블랙리스트의 철저한 조사와 관련자 처벌을 촉구하는 피켓시위를 진행했다.(전교조 충북지부 제공)
ⓒ 충북인뉴스

관련사진보기

  
'블랙리스트' 파문으로 충북교육청이 총체적인 위기에 놓였다. 300여 명에 이르는 교원들이 교육청이 진행하는 연수에 불참하겠다고 선언한 데 이어 70여 명의 강사들도 충북교육청이 주관하는 연수에 강의를 하지 않겠다고 밝혔다. 또 교원단체들은 블랙리스트 명단과, 명단을 작성했다는 모니터단의 실체를 공개하라고 도교육청을 압박하고 나섰다.

충북교육청이 주관하는 연수에 출강거부를 선언한 강사들은 16일 보도자료를 통해 "블랙리스트 사건은 교육 권력에 의한 부당한 인권침해이자 성실히 연구하고 공유한 강사들의 명예를 훼손했다"며 "진상조사와 사과, 재발방지 약속 전까지 충북교육청과 직속기관에서 운영하는 모든 강의에 출강하지 않기로 했다"고 했다.

앞서 교원 295명은 충북교육청이 주관하는 교원 연수에 불참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16일 충북교육청 정책기획과가 작성한 블랙리스트 명단공개와 즉각적인 감사 실시 및 관련자 처벌을 촉구하고 나섰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기존의 감사시스템에 따라 즉각 조사해 원인과 책임소재를 밝히면 될 일인데도 굳이 불필요한 절차를 만들어 '시간 끌기'를 하고 있는 충북교육청 태도는 납득하기 어렵다"며 "교육청이 할 일은 '블랙리스트' 작성을 누가 지시했고, 누가 작성했으며, 누가 배포했는지를 어서 밝히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지난 6일 충북교육청 천범산 부교육감은 블랙리스트에 대해 "윤건영 교육감의 지속가능한 공감·동행교육을 위한 주요 현안사항 보고 및 향후 운영방향에 대한 협의를 진행한 것"이라고 해명하며 철저한 조사를 약속했다.

그러나 감사반 구성 등을 이유로 충북교육청은 현재까지 감사관 조사에 나서지 않고 있다. 유수남 감사관은 독립적인 감사반 구성과 감사 진행을 주장했으나, 천 부교육감을 비롯해 충북교육청은 4급 서기관급 이상 감사반장 참여와 내·외부 감사위원 동수를 감사 착수 조건으로 내세우고 있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특히 블랙리스트 명단을 작성했다는 모니터단에 대해 강하게 비판하고 있다. 한백순 충북교육청 정책기획과장은 지난 6일 기자회견에서 단재교육원 강좌 및 강사의 배제 기준은 '혁신', '행복', '평화통일'이고, 일선학교에 근무하는 모니터단이 작성했다고 말했다.

관계자들에 따르면 윤건영 교육감 당선 이후 운영되는 충북의 모니터단은 20여 명인 것으로 알려졌다. 모니터단에는 4~5분과가 있으며 한 분과 당 3~4명의 전문직, 교사, 교감 등이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전교조 충북지부는 "충북 교육계를 은밀하게 감시·사찰하는 조직을 비선으로 운영하고 있다면 이는 중대한 범죄행위에 해당할 것이며, 단재교육원 블랙리스트 외에 다른 블랙리스트의 존재가능성을 의심하지 않을 수 없다"면서 "'모니터단'은 대체 누구이며 무슨 일을 하는지, 그들이 생산한 문건은 윤건영 교육감에게 보고되는 것인지를 낱낱이 밝혀야 한다"고 주장했다.
 
ⓒ 충북인뉴스

관련사진보기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충북인뉴스에도 실렸습니다.


태그:#충북인뉴스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충북인뉴스는 정통시사 주간지 충청리뷰에서 2004년5월 법인 독립한 Only Internetnewspaper 입니다. 충북인뉴스는 '충북인(人)뉴스' '충북 in 뉴스'의 의미를 가집니다. 충북 언론 최초의 독립법인 인터넷 신문으로서 충북인과 충북지역의 변화와 발전을 위한 정론을 펼 것입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