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김만배 인터뷰 보도 사태'에 대한 현업언론단체 긴급 기자회견이 7일 오후 서울 중구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주최로 열렸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김만배 인터뷰 보도 사태'에 대한 현업언론단체 긴급 기자회견이 7일 오후 서울 중구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주최로 열렸다. 윤창현 언론노조 위원장이 발언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대통령실과 여당이 대선 당시 <뉴스타파>의 김만배 육성파일을 인용 보도한 MBC 등 언론사들을 거세게 압박하는 가운데 한국기자협회 등 언론현업단체들이 "구시대적 획책"이라며 한 목소리로 반발했다.

한국기자협회와 전국언론노조, 방송기자연합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등 6개 언론현업단체들은 7일 서울 광화문 프레스센터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김만배 인터뷰 보도 사태'에 대한 입장을 밝히는 긴급 기자회견을 열었다.

이들 단체들은 공동회견문을 통해 "김만배 인터뷰 사태로 촉발된 전방위적 정치공세와 언론탄압이 윤석열 정권 내내 자행될 비판 언론 죽이기이자, 언론자유를 곤두박질치게 할 폭거의 시작으로 간주한다"면서 "보안사 군인과 안기부 직원을 언론사에 상주시키고 방송사들을 통폐합했던 군사독재 시절에 버금가는 국가 폭력"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개별 발언에 나선 현업단체 대표자들은 방통위의 원스트라이크 아웃제 추진과 언론사 팩트체크시스템 검증, 보도 언론사 기자에 대한 고발 등을 두고, "전두환 이래 가장 높은 수준의 통제 행위"라고 목소리를 높였다. 아울러 신학림씨가 김만배씨로부터 돈을 받은 사실과는 별개로 저축은행 수사 무마 의혹은 오히려 검증이 필요한 지점이라고 지적했다.
 
'김만배 인터뷰 보도 사태'에 대한 현업언론단체 긴급 기자회견이 7일 오후 서울 중구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주최로 열렸다. '뉴스타파' 카메라 기자가 기자회견을 취재하고 있다.
 '김만배 인터뷰 보도 사태'에 대한 현업언론단체 긴급 기자회견이 7일 오후 서울 중구 언론노조 회의실에서 방송기자연합회, 전국언론노동조합, 한국기자협회, 한국방송기술인연합회, 한국영상기자협회, 한국PD연합회 주최로 열렸다. '뉴스타파' 카메라 기자가 기자회견을 취재하고 있다.
ⓒ 권우성

관련사진보기

 
윤창현 전국언론노조 위원장은 "김만배 인터뷰와 관련한 보도의 여러 가지 문제점과 관련한 부분들은 비판적으로 고찰하고, 고칠 부분들을 고쳐가면서 가야 한다고 생각한다"면서도 "대통령실의 과격한 발언 이후 모든 국가기관이 총동원돼 언론 통제와 언론 탄압을 획책하는 구시대적 행태를 반복하고 있다"고 했다.

윤 위원장은 "방통위는 방송사들의 팩트 체킹 시스템들을 직접 점검하겠다고 했다, 그 과정을 어떻게 들여다보겠다는 것인지 의문"이라면서 "이것은 전두환 정권 아래서 보안사 직원들이 언론사에 상주하면서 보도 내용에 개입했던 보도지침 사건, 이후 가장 강도 높은 수준의 언론 통제 행위"라고 비판했다.

구영식 한국기자협회 부회장은 "지금 윤석열 정부는 김만배씨와 신학림 전 위원의 대화록을 가지고 대선 개입이다 정치 공작이다 이렇게 얘기를 하고 있다, 하지만 이것은 검찰의 선거 개입"이라며 "(보도를 계기로) 비판 언론들을 탄압하는 계기로 활용을 하고 있다고 생각한다"고 밝혔다.

구 부회장은 이어 "윤석열 당시 대검 중수부 과장이 부산저축은행 불법대출 사건을 조사하면서 봐줬다는 부분들은 의혹을 가지고 검증을 해야 될 부분"이라며 "언론들이 이번 사건을 김만배 허위 인터뷰라는 용어를 쓰는 것은 검찰의 프레임에 말려 들어가는 것"이라고 강조했다.

양만희 방송기자연합회장은 "지금까지 드러난 언론윤리 위배 문제를 갖고 (보도와) 관련된 기자들을 처벌해 달라고 (국민의힘이) 고발하는 것은 지나치다고 생각한다"며 "언론을 겁을 주고 위축시켜서 정치적 이득을 얻으려고 하는 그런 행태라고 생각한다"고 말햇다.

양 협회장은 "이런 식의 대응은 국민의힘이 바라는 목표에 도달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국민들에게도 설득력 없는 주장을 반복하게 될 것"이라며 "민주제도 아래서 정치권력과 언론이 어때야 하는지에 대해서 국민의힘이 민주당의 언론중재법 개정 시도 때 했던 말들을 찾아서 곱씹어보시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이동관 "뉴스타파 김만배 인터뷰는 국기문란행위" https://omn.kr/25hfw
뉴스타파 보도 논란에 김기현 "사형에 처할 반역죄" https://omn.kr/25jjp
 

태그:#언론노조
댓글4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