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2000년에 태어난 아이들은 자신의 부모들보다 더 젊은 나이에 죽게 되는 최초의 세대가 될 것이다."

의학 발달로 장수 인구가 늘고 생명 연장이 얼마든지 가능하다는 환상적인 21세기에 이 무슨 엉뚱한 추론이란 말인가.

미국 질병통제예방센터는 자녀들의 35%가 과체중 비만인 현 상황에서는 이같은 추론이 가능하다고 발표했다. 또 '책임있는 의약을 위한 내과의사협회'와 '국제소아비만저널'도 2010년까지 북미 지역의 거의 절반에 이르는 아이들이 과체중이나 비만이 될 거라는 비슷한 경고를 내놓았다.

패스트푸드로 비만 학생 만드는 미국 학교급식

▲ 미국 해리슨버그 고등학교 카페테리아가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급식. 패스트푸드에 익숙한 미국 학생들의 입맛을 그대로 따르고 있다.
ⓒ 한나영
이런 현실을 우려하여 의학 관련 잡지들은 채식주의에 가까운 식사가 몸에 좋다는 증거들을 내놓고 있다. 하지만 미국의 대부분 학교들은 고기와 유제품으로 이루어진 급식을 제공하고 있다. 1주일 중 5일의 점심을 책임지고 있는 일반 공립학교의 급식 메뉴를 살펴보자.

버지니아주 해리슨버그고등학교 식단(5개 메뉴 중 하나 선택)

① 세계 음식
월: 칠리와 치즈 나초, 멕시칸 쌀밥과 롤빵, 옥수수.
화: 고구마와 감자튀김.
수: 참치 국수찜, 롤빵, 각종 야채, 쿠키.
목: 에그롤, 치킨라이스, 볶은 야채와 감자튀김.
금: 빵가루 입힌 치킨, 롤빵, 으깬 감자, 콩과 당근.

② 아메리칸 그릴
월: 매운맛 치킨 샌드위치, 또는 그릴 치킨 샌드위치, 도리토스(스낵), 옥수수.
화: 야채버거, 첵스믹스(스낵), 고구마와 감자튀김.
수: 쇠고기 데리야끼, 또는 그릴 치킨 샌드위치, 치토스(스낵), 각종 야채.
목: 치즈버거, 또는 야채버거, 선칩(스낵), 볶은 야채와 감자튀김.
금: 치킨텐더, 또는 그릴 치킨 샌드위치, 스낵, 콩과 당근.

③ 피자라인
월: 치즈크러스트 피자, 또는 페퍼로니 피자, 옥수수.
화: 피자바와 프레첼, 고구마, 감자튀김.
수: 타코피자, 각종 야채, 쿠키.
목: 프렌치 브레드 치즈, 또는 페퍼로니피자, 볶은 야채와 감자튀김.
금: 피자 소스를 곁들인 치즈스틱, 콩과 당근.

④ 서브(이태리식 샌드위치)
⑤ 샐러드바


급식으로 제공되는 제품은 많이 생산돼 가장 쉽고 싸게 구할 수 있는 것들이다. 여기에는 신선한 먹을거리보다는 가공식품을 이용하도록 회유하는 학교 급식을 둘러싼 거대 기업들의 음모(?)도 숨어 있다.

이처럼 학교 급식이 아이들의 비만을 조장한다는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는 가운데 이런 학교 급식에 반기를 들고 나선 열혈 전사가 있다. 바로 '런치 레이디'인 조리사 앤 쿠퍼.

스타 조리사 앤 쿠퍼는 왜 학교급식대로 갔을까

▲ 미국 학교급식에 일대 변혁을 몰고온 런치 레이디 앤 쿠퍼.
ⓒ Ann Cooper
미국조리대학을 졸업한 앤 쿠퍼는 '여성 조리사 및 레스토랑 경영자협회'와 '미국 센트럴 버몬트 조리협회' 회장을 역임한 유명 조리사.

30년이 넘는 그의 조리사 경력은 대단히 화려하다. 2만명이나 되는 연회의 출장 요리를 맡았고 할리우드 스타나 힐러리 클린턴 같은 유명인사나 부자들을 위한 요리도 했다.

이렇게 잘나가던 스타 조리사 앤 쿠퍼가 학교 급식 운동에 관심을 갖게 된 것은 심각한 지경에 이른 아이들의 비만 때문이었다. 그리고 이제 조리사라는 직업은 그에게 단순한 커리어가 아니라 '소명(calling)'이 됐다.

"저는 이제 더 이상 조리사가 아니에요. 이제는 아이들에게 좋은 먹을거리를 제공하는 '런치 레이디'예요. 이것은 제게 가장 중요하고 의미있는 일이지요. 이런 일을 하고 있는 저 자신이 대단히 자랑스러워요."

▲ 앤 쿠퍼가 고안한 '랩탑 도시락'. 영양 많고 환경 친화적인 미국 스타일의 도시락이다.
ⓒ Ann Cooper
앤 쿠퍼의 관심은 오직 하나, 아이들의 건강이다. 그는 성장기 아이들의 건강은 학교 급식을 장악하고 있는 선택된 소수의 농업 관련 기업의 재정 건강보다 더 중요하다고 강조한다.

이 때문에 앤 쿠퍼의 급식에는 거대 기업이 들어설 자리가 없다. 대신 유기농과 지역 먹을거리가 그 공백을 채우고 있다.

쿠퍼는 전국학교급식위원회가 승인한 농산품 주도의 점심 메뉴인 감자튀김, 가공한 치킨 너겟, 시럽 과일 샐러드가 아니라 그 지역에서 나는 지역 농어민이 제철에 공급하고 유기농인 신선한 먹을거리를 사용했다.

"지역 먹을거리란 ① 지역 농민이 재배한 먹을거리로 우리 입에 들어오기까지의 거리가 1500마일(2400㎞)을 넘으면 안 되고, ② 먹을거리가 비행기로 이동되어서는 안 되고, ③ 다국적 기업이 재배한 먹을거리가 아니어야 한다. (앤 쿠퍼)"

쿠퍼의 학교 급식 운동은 '정말 좋은 음식이 무엇인지를 아이들에게 가르치지 않는다면 우리 아이들의 미래는 희망이 없을 것'이라는 철학에서 비롯됐다. 그녀가 펼치고 있는 학교 급식운동의 비전 선언문이다.

"우리의 비전은 영양가 있고, 맛있고, 환경친화적으로 자란 먹을거리를 준비하여 아이들로 하여금 자신의 건강과 가족, 지역 사회, 나아가 주변 환경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선택을 하도록 양육하고 가르치는 것이다."

▲ 앤 쿠퍼의 '영양 성적표'. 6~18세 아이들이 섭취해야 할 하루 권장량이 표시되어 있다.
ⓒ Ann Cooper
또 앤 쿠퍼는 아이들에게 자신이 먹고 있는 음식이 어디에서 오고 있는지 개인의 건강과 관련해 설명해 준다.

그는 카페테리아가 단순히 배고픔을 해결하는 공간이 아니라 영어·수학을 공부하는 교실과 같은 '조리교실'이라고 생각하고 그렇게 바꾸려 했다. 그는 6~18세 아이들이 섭취해야 할 하루 권장량이 표시되어 있는 '영양 성적표'를 나눠주고 아이들이 스스로 점검하게 했다.

그리고 학교 관계자와 정치가·학부모 등 학교 급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사람들을 대상으로 작업도 했다. 그는 학교 경영자들에게 컨설팅 서비스를 제공, 학교 급식을 개선하게 했다. 그리고 건강에 좋은 음식을 제공하고 어린아이와 10대들에게 건강한 먹을거리와 영양 선택이 가능한 통합된 학교급식 교육과정이 들어가도록 학교 측을 설득하기도 했다.

실제로 쿠퍼가 제공한 학교 급식을 먹은 아이들은 다른 아이들에 비해 과일·채소를 2배나 더 많이 섭취하게 됐다고 한다. 그 아이들을 대상으로 실시한 소변검사 결과는 더욱 놀라웠다. 하버드 대학 등에서 검사한 결과에 따르면 쿠퍼가 제공한 급식을 먹은 아이들은 보통 아이들보다 농약 성분이 상당히 적게 검출됐다.

다이어트 광고에 드는 50억을 학교급식에 쓴다면?

▲ 학교급식과 안전한 먹을거리의 중요성을 강조한 앤 쿠퍼의 저서들.
ⓒ Ann Cooper
2000년 뉴욕 주 이스트햄튼의 로스 사립학교에서 시작된 앤 쿠퍼의 학교 급식 건강 프로그램은 큰 성공을 거두었다.

이후에도 그는 뉴욕시와 뉴욕 주의 할렘, 브리지햄프턴 지역의 공립학교 카페테리아를 변화시켰다. 쿠퍼는 현재 캘리포니아주 버클리 교육청의 영양 담당 책임자로 일하며 16개 공립학교, 9000명 학생들의 급식 개선을 책임지고 있다.

앤 쿠퍼가 주장하는 <변화를 위한 조리법> 네 가지다.

① 아이들에게 더 좋은 음식을 먹여라.
② 아이들이 먹는 음식이 어디에서 오는지 그 중요성을 가르쳐라.
③ 자신의 건강과 지구의 건강은 하나라는 사실을 가르쳐라.
④ 지구를 섬기고 지켜라. 지구를 위해 봉사하고 지구를 지켜라.


앤 쿠퍼는 저술 활동을 통해서도 학교 급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다. 지난 해 9월에 출간된 <급식 교훈- 우리 자녀들을 먹이는 방법 바꾸기(하퍼 콜린스 출판사)>도 바로 학교 급식과 관련된 책이다.

이 책에는 학교 급식에 관여하고 있는 학부모와 학교 관계자들을 위한 전략, 공공정책에서부터 기업의 관심사에 이르는 풍성한 내용을 담고 있다. 또 학교 급식 개혁의 성공적인 사례와 변화를 가져올 수 있는 자료들, 가정이나 학교 카페테리아에서 만들 수 있는 건강에 좋고, 아이들이 좋아할 만한 조리법 등도 소개되어 있다.

학교 급식의 전도사로 "우리 어른들이 아무 생각 없이 먹이는 음식이 실제로 우리 아이들을 죽이고 있다"며 목소리를 높이는 앤 쿠퍼. 그는 종종 정치적인 행동가로 보일 발언도 서슴지 않는 학교 급식의 혁명가다.

"1년에 학교 급식 예산이 70억이에요. 겨우 70억이라고요. 그게 전부예요. 다이어트 광고에 얼마를 쏟아 붓고 있는지 아세요? 500억이요. 다이어트 관련 질병에는 무려 1200억이고요.

전쟁은 또 어떤가요? 일주일에 30억 내지 50억이라는 천문학적인 돈을 쓰고 있어요. 만약 우리가 3주일만 전쟁을 안 한다면 1년 동안 아이들에게 더 좋은 음식을 2배나 먹일 수 있다고요."



태그: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이전댓글보기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