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광릉숲은 조선조 세조 대왕 능림(陵林)으로 지정된 1468년 이래로 550년 넘게 자연 그대로 보전되어 온 숲이다.
 광릉숲은 조선조 세조 대왕 능림(陵林)으로 지정된 1468년 이래로 550년 넘게 자연 그대로 보전되어 온 숲이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5월의 첫 주말, 오래 별러 온 광릉숲을 다녀왔다. 가물에 콩 나듯 서울을 드나들면서 어느 날부터 서울의 고궁을 차례로 가보고, 자투리 시간을 내어 박물관을 다녀오기 시작했었다. 간송미술관과 리움미술관도 그 목록의 맨 위에 있었으나, 리움은 그 전날 다녀왔고, 간송은 휴관 중이라니 때를 기다려야 한다.

경기도 포천시 소흘읍에 있는 광릉숲까지는 54km, 차로 한 시간 반쯤 걸렸다. 아들 녀석이 이틀 전에 국립수목원(아래 수목원) 누리집에서 주차장 이용 차량을 예약해 우리는 정문을 무사통과할 수 있었다.

떠나서 만나는 공간으로는 '자연'만 한 데가 없다

수목원에는 인터넷으로 주차장 이용 차량을 사전 예약한 사람만 입장할 수 있고 미예약 차량은 주차장에 들어갈 수 없다. 하루 예약이 가능한 차량은 오전과 오후로 나누어 각각 300대 이하라고 한다. 물론 대중교통·자전거·보행으로 오는 이들은 예약 없이 현장 입장할 수 있다(누리집 '관람 안내' 참고).

수목원을 내 답사 목록에 올린 지는 꽤 오래 됐다. 언젠가 일간지에서 '식물의 한살이'를 설명해 주는 숲 해설사의 이야기를 읽다가 '꽂히면서'였다. 그때 나는 잠깐 퇴직 뒤 숲 해설사가 된 모습을 상상했을 것이다. 그러나 나는 느긋하게 답사객을 기다리는 참을성 하나 갖추지 못했다는 걸 일찌감치 깨달으면서 그것을 상상으로 끝내버렸다.

여행이든 답사든, 떠나서 만나는 공간으로는 날것 그대로의 '자연'만 한 데가 없다. 흔히들 놀거리나 먹을거리가 잔뜩 있는 유원지를 좋아하는 이들도 있지만, 나는 게을러 직접 몸으로 놀기보다는 풍경을 기웃거리거나 그 풍경 속으로 잠기는 걸 즐긴다. 지난 4월에 다녀온 제주 여행에서 상기도 새록새록 눈에 밟히는 풍경이 비자나무숲과 사려니숲인 것은 그래서이다(관련 기사 : 제주 여행만 여섯 번째, 이 대단한 숲을 왜 지금 알았을까).
 
전나무 숲으로 가는 길. 진입로에서는 붐비던 탐방객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길은 고즈넉하기만 하다.
 전나무 숲으로 가는 길. 진입로에서는 붐비던 탐방객들은 다 어디로 갔을까. 길은 고즈넉하기만 하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수목원의 전문 전시원은 1984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여 1987년에 완공했는데 모두 24개의 전시원을 갖추고 있다.
 수목원의 전문 전시원은 1984년부터 조성하기 시작하여 1987년에 완공했는데 모두 24개의 전시원을 갖추고 있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주차장과 매표소 주변에 우뚝 솟은 나무와 울창한 숲의 모습이 이미 예사롭지 않았다. 우리는 방문자센터를 지나 천천히 수목원의 푸른 풍경 속으로 걸어 들어갔다. 수목원 방문은 대구와 경남수목원, 그리고 경북 봉화의 국립백두대간수목원에 이어 네 번째였다(관련 기사 : 세계에서 두 번째로 큰 수목원, 여름휴가 대신 가면 딱이네).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 선정

국립수목원이 임업연구원 중부 임업시험장에서 독립하여 국내 최고의 산림 생물종 연구기관으로 신설된 것은 1999년이었다. 수목원은 우리나라 산림 생물종 연구의 전통을 이으며 특히 산림생물 주권 확보에 중요한 구실을 하고 있다. 또, 조선조 세조 대왕 능림(陵林)으로 지정된 1468년 이래로 550년 넘게 자연 그대로 보전돼 온 광릉숲을 보호·관리하고 있다.

수목원에는 1124ha(약 340만 평)의 면적에 총 6752종의 식물종과 4487종의 서식 동물, 20종의 천연기념물, 14종의 광릉 특산식물이 자라고 있다. 2010년 6월 유네스코 인간과 생물권 계획 국제조정이사회에서 광릉숲을 생물다양성의 보물창고라며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한 이유다(아래 국립수목원 현황 참조).
 
국립수목원은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됐다.
 국립수목원은 2010년 유네스코 생물권보전지역으로 선정됐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광릉숲은 설악산(1982), 제주도(2002), 신안 다도해(2009)에 이어 남한에서 4번째로, 한반도에서는 백두산(1989), 구월산(2004), 묘향산(2005)에 에어 7번째로 생물권보전지역에 지정되었다. 광릉(光陵)은 남양주에 있는, 조선 7대 임금 세조와 정희왕후 윤씨의 능으로 그곳을 포함한 24,465ha의 숲을 광릉숲이라 이른다. 이 글에서는 편의상 수목원과 광릉숲을 같은 뜻으로 쓰고 있지만, 실제 광릉숲 한가운데 자리 잡은 수목원의 면적은 전체 광릉숲의 4.6%에 불과하다.

광릉숲은 일제 강점기와 한국전쟁을 거치면서도 화재의 피해 없이 550여 년간 자연림으로 잘 보존되어 왔다. 광릉숲이 천연활엽수인 서어나무, 갈참나무, 신갈나무, 졸참나무 등이 주종을 이루는 온대 북부의 대표적인 극상림(구성 수종이나 양이 크게 변화하지 않는 안정된 산림)인 이유다.
 
숲을 찾는 이들 가운데 유난히 가족이 많이 눈에 띈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젊은 부부의 모습이 매우 보기 좋다.
 숲을 찾는 이들 가운데 유난히 가족이 많이 눈에 띈다. 특히 어린 자녀를 둔 젊은 부부의 모습이 매우 보기 좋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숲을 있는 그대로, 더 가까이서 접할 수 있도록 만든 숲 생태 관찰로(Eco-trail). 1999년에 조성된 길이다.
 숲을 있는 그대로, 더 가까이서 접할 수 있도록 만든 숲 생태 관찰로(Eco-trail). 1999년에 조성된 길이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550년간 보존된 온대 북부의 대표적인 극상림
 
무성한 잎과 가지로 그늘을 만드는 것은 나무의 미덕 중 하나다. 탐방객들은 두꺼운 그늘 아래서 초여름의 더위를 식힌다.
 무성한 잎과 가지로 그늘을 만드는 것은 나무의 미덕 중 하나다. 탐방객들은 두꺼운 그늘 아래서 초여름의 더위를 식힌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수목원 남쪽에 있는 아름다운 호수 육림호는 1968~1969년 사이에 만들어진 인공사력 호수다. 물속에는 팔뚝만 한 잉어가 놀고 있었다.
 수목원 남쪽에 있는 아름다운 호수 육림호는 1968~1969년 사이에 만들어진 인공사력 호수다. 물속에는 팔뚝만 한 잉어가 놀고 있었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우리는 곳곳에 서 있는 전시원 이름과 이정표를 가늠자 삼아 천천히 수목원을 거닐기 시작했다. 눈을 부릅뜨고 풍경을 살필 필요도, 바삐 길을 서두를 필요도, 반드시 찾아야 할 곳도 없다. 그게 숲속에 든 사람들이 저도 몰래 익히는 느긋한 여유다. 어딜 가도 비슷하게 펼쳐지는 푸른 숲에 온전히 마음과 몸을 맡기면 되는 것이다.

진입로로 들어올 때만 해도 길을 가득 메우던 탐방객들은 어느 골짜기, 어느 숲으로 들었는지 비어 있는 숲길에 문득 우리만 남겨져 있었다. 사위는 조용했고, 우리가 나누는 두런거림이 숲으로 나직이 퍼졌다가 사라지곤 했다. 

관상수원을 거쳐 양치식물원을 둘러보면서 아내와 나는 고사리가 그렇게 종류가 많다는 걸 처음 알았다. 산림박물관에서 잠깐 쉰 다음 우리는 숲 생태 관찰로(Eco-trail)를 걸었다. 숲을 있는 그대로, 더 가까이서 접할 수 있다는 이 데크 길에서도 우리는 '관찰' 대신 여느 길처럼 천천히 걷기만 했다. 

수목원은 어디나 사람들이 편안히 쉬어갈 수 있는 쉼터다. 그늘은 두껍고, 불어오는 바람은 시원하다. 그건 콘크리트 숲의 후덥지근한 공기와는 비교할 수 없는 청량한 대기다. 길고 깊게 숨을 내쉴 때마다 육신의 정화(淨化)를 실감할 수 있다.

통나무집 앞은 침엽수원, 늘 푸른 바늘잎나무(침엽수)인 섬잣나무, 솔송나무, 구상나무, 잣나무 등 자생식물과 조경수로 인기가 있는 금반향나무 등 130여 종이 심겨 있었다. 침엽수림은 세계의 펄프와 목재 대부분을 공급하고 있으나 지구온난화로 말미암아 점차 사라질 위험에 처해 있다고 하니 기후 위기는 현재형이다.

90살 넘은 우리나라 3대 전나무 숲길
 
수목원의 전나무 숲은 오대산 월정사의 전나무 종자를 증식하여 1927년께 조림한 곳이어서 나무 나이는 모두 90년을 넘는다.
 수목원의 전나무 숲은 오대산 월정사의 전나무 종자를 증식하여 1927년께 조림한 곳이어서 나무 나이는 모두 90년을 넘는다.
ⓒ 장호철

관련사진보기

 
침엽수림 옆으로는 전나무 숲이었다. 수목원의 전나무 숲은 1927년께 오대산 월정사의 전나무 종자를 증식하여 조림한 곳으로 나무 나이는 모두 90년 이상이다. 전체 약 200m 구간의 국립수목원 전나무 숲길은 월정사 전나무 숲길, 변산반도 국립공원 내소사 전나무 숲길과 더불어 우리나라 3대 전나무 숲길 중 하나이다.

사람이 숲에서 편안함을 느낄 수 있는 것은 나무들이 뿜어내는 다양한 물질과 향기 덕택이다. 이 물질을 '피톤치드'라고 하는데, 살균작용을 하는 이 물질은 숲에서 주로 휘발성의 형태로 존재해 호흡기나 피부를 통해 인체에 흡수되기도 한다. 

전나무 숲길은 길지 않지만, 숲길 끝 쉼터에서 우리는 한참 쉬었다. 어느새 두 시간이 훌쩍 지났다. 우리는 왔던 길을 되짚어 천천히 수목원을 빠져나왔다. 나는 잠깐, 광릉숲 근처에 숙소를 마련하고 한 2박 3일쯤 머물다 갔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하다 말았다.

언제 광릉숲을 다시 찾을 수 있을까. 어쩌면 우리 내외에겐 수목원 방문은 처음이면서 마지막일지도 모른다. 숲의 생명에 비기면 인간의 수명이란 얼마나 덧없고 허망한가 말이다. 우리는 아쉬움 속에 광릉숲, 그 한가운데의 국립수목원을 떠났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개인 블로그 ‘이 풍진 세상에’(https://qq9447.tistory.com/)에도 싣습니다.


태그:#국립수목원, #광릉숲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쉰이 넘어 입문한 <오마이뉴스> 뉴스 게릴라로 16년, 그 자취로 이미 절판된 단행본 <부역자들, 친일문인의 민낯>(인문서원)이 남았다. 몸과 마음의 부조화로 이어지는 노화의 길목에서 젖어 오는 투명한 슬픔으로 자신의 남루한 생애, 그 심연을 물끄러미 들여다보고 있다.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