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한국전쟁 전후, 수많은 민간인은 누가 적인지 알 수 없는 소용돌이에 휘말려 국가로부터 보호받아야 함에도 무참히 희생됐다. 함양군은 지리산과 덕유산을 잇는 지리적 여건으로 빨치산이 활동하는 본거지가 되었다. 1948년 10월 여순사건 이후 공비토벌작전 중 빨치산을 도왔다는 명분으로 함양에서는 민간인 학살사건이 자행되었다.

함양군 읍면 민간인 80여 명을 포함해 보도연맹, 연고지가 밝혀지지 않은 이들까지 포함하면 무고한 희생자가 300여 명이 넘는 것으로 추산된다. 이들 중 함양민간인 희생사건 86명, 강정금 상해사건 1명, 부산형무소 사건 16명, 국민보도연맹사건 29명, 적대세력사건 29명, 전주형무소사건 2명, 산청·거창 등 민간인희생사건 2명, 서부경남민간인 희생사건 15명, 전북지역민간인 희생사건 1명 총 181명은 진실·화해를 위한 과거사정리위원회의 진실규명으로 명예를 회복한다. 

하지만 70여 년 아픈 기억을 안고 살아온 유족들의 설움은 아직도 깊기만 하다. 희생자 유족들의 가슴에 응어리진 그날의 진실이 모두 밝혀지는 날까지 우리는 그들의 기억을 붙잡아 둘 의무를 갖게 됐다. 그들의 증언을 기록하는 것은 이르다 하기엔 너무 늦었고 늦었다고 하기보단 다행이었다. 아픈 기억을 들추어내야 했던 힘든 작업이었음에도 증언해 준 유족분들에게 다시 한번 감사함을 전한다.[편집자말]
박일규씨
 박일규씨
ⓒ 주간함양

관련사진보기

 
경남 함양 수동면 치라골은 지리산과 덕유산, 감악산 등으로 빨치산들이 근거지를 옮겨 다니는 경로와 접해있는 작은 농촌마을이다. 빨치산들은 지나다니며 총칼로 주민들을 위협해 가축과 곡식을 약탈해갔다. 그즈음 경찰은 빨치산이 마을에 들어오면 지서에 신고하라고 했으나 경찰서와 멀리 떨어져 있던 치라골 사람들은 치안혜택을 받지 못한 채 괴롭힘을 당했다.

수동면 죽산리 주민 전재윤은 1949년 9월 9일경 마을에 나타난 빨치산에게 밥을 해준 일로 수동지서에 끌려가 취조를 당했다. 취조과정에서 경찰이 마을 거주자 20세 이상 남자이름을 적을 것을 요구해 전재윤씨는 이름을 적어주고 풀려났다.

이후 9월 19일 새벽 수동지서 주임 최홍식과 경찰, 청년단원들은 수동면 죽산리 치라골에 들이닥쳐 18명의 마을주민을 호명하여 수동지서로 끌고 갔다. 연행된 마을주민들은 함양경찰서로 넘겨진 뒤 취조를 당했으며 이후 국군에게 인계되어 9월 21일경 이은리 당그래산에서 사살 당했다. 연행된 18명은 주로 20~30대 남성이었으며 남편의 부재로 대신 잡혀간 여성 1명이 포함돼 있었다.

죽산리에서 연행된 주민 18명 중 임기택씨를 제외한 17명이 총살당했다. 임기택씨는 당그래산 현장에서 구덩이를 파다가 어느 군인이 이름을 불러 살아 남았다. 임기택씨 어머니의 젖을 함게 먹고 자란 함양경찰서 사찰계 형사 부인이던 이정자씨는 남편에게 부탁해 당그래산에서 총살직전 이름을 불려 화를 면했다.

사건이 발생한 후 유족들은 희생자들의 시신을 찾기 위해 희생현장을 찾아 갔으나 경찰의 제지로 현장에 접근하지 못했다. 또한 경찰은 사건이 발생하자마자 바로 마을을 비우라고 해서 주민들은 아랫마을로 이주했다가 이듬해 봄에 마을로 돌아왔다.

박일규씨는 민간인희생자 사건으로 형님을 잃었다. 인터뷰 내내 말이 없던 그가 처음 내뱉은 단어는 '포승줄' 이었다. 사건당시 열 살 가량 됐던 박일규씨는 평소와 같았던 그날 아침, 사람들 소리만 듣고도 무서워서 집에 들어가 있었다.

"나는 그 당시에 소 먹이러 안 갔어. 아침에 자고 일어나면 감나무 밑에 홍시가 있거든, 그걸 주워 온기라. 감나무 밑에서 한 개 먹고 홍시를 손에 들고 오는데 동네 사람들이 솔무더기에 싹 다 모이가꼬 포승줄을 묶여 있다카는 소리를 들었어. 무서워서 가보도 못 했어. 그냥 집에 들어가 있었지."

"법이 법도 아이고 개판이었지"

박일규씨와 나이 차이가 많이 났던 형님은 부모님에겐 든든한 큰 아들이었다. 갑자기 아들을 잃은 부모와 남은 가족은 슬픔을 안고 살아야만 했다.

"죽은 사람도 죽은 사람이지만 그 밑에 식구들은 죽도 못하고 살도 못하고... 살아도 사는 게 아니지."

포승줄에 묶여 간 가족이 지서에서 거꾸로 매달려 고춧물을 코에 넣는 고문을 받았다는 이야기를 흘려들었지만 손 한번 써 보지 못했다.

"법이 법대로 서도 안 했고 지금 같으면 재판을 해가고 사람을 죽이고 하지. 무조건 경찰이 잡아다가 군인이 한 무더기에 몰아넣어 총으로 죽였다 아이요."

당시 시골은 없이 살아서 '공평하게 갈라 먹고 산다'는 이북 정치를 동조하는 사람들이 제법 있었다고 했다.

"이남에서 그걸 죄라고 여기지 않다가 나중에 그게 심해지니까 이북으로 머리 둔 사람들 잡아들여라 해서 그때 산으로 도망간 애들이 빨갱이 인거라. 그 사람들 산에 있다가 밤 되면 내려와서 밥 달라고 하고 안 해주면 반동이라고 참나무 몽둥이를 들고 다니면서 때려. 그러면 줘야지 어떡해."

밥을 주면 지서에 보고를 해야 하는데 보고를 하면 며칟날 밥을 해 줬다고 매를 맞았다. 보고를 하지 않으면 안했다고 맞았으니 가운데서 농민들만 죽을 지경이었다.

"근데 빨갱이들도 먹고 살아야 하니 내려와서 밥 얻어먹고 나면 저거는 고맙다고 이름을 적네, 아무데 가서 그 사람 도움을 받았다고 이름을 적어, 그럼 이 사람들이 잡히면 수첩에 나와, 그럼 지서에 불려가서 두들겨 맞아. 그러니 그게 빨갱이도 저거 먹고 살라고 그랬고 이쪽에서는 그놈은 와 이북에 동조하느냐 사람 두들기제, 골짝사람 못 죽어 산기지, 산 것도 아니라."

그는 형을 잃었지만 아버지를 잃은 자녀는 어린 나이에 숨지거나 초등학교도 못 다니고 말았다.

"그 당시 초등학교는 동네 산을 넘어서 도북학교로 다녔는데 형제간 잃고 나서는 학교도 제대로 못 다녔어. 그 시절 질서가 안 잡혔었어. 36년 동안 종질하고 살았다 아이요. 해방됐지만 정치하는 사람도 그렇고 제대로 질서가 안 잡혀서 법이 법도 아이고 개판이었지."

진실화해위원회를 통해 명예회복이 되기 전에는 연좌제로 피해를 입기도 했다.

"큰집 조카 서울 올라가서 기자로 들어갈 때도 묻더만. 공직에도 좋은 자리 못 들어갔어."

박일규씨는 마을 주민 17명이 한꺼번에 억울함 죽음을 겪고도 살기 위해 바둥거려야 했으며 이듬해는 6.25전쟁까지 겪어야 했던 치라골 사람들의 험난했던 삶을 회고했다.

유족
■ 이름 : 박일규
■ 희생자와의 관계 : 희생자의 동생
■ 생년월일 : 1939년 8월28일 / 만 84세
■ 성별 : 남
■ 주소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치라골길 95-2
■ 직업 / 경력 : 농업

함양민간인희생자 치라골사건- 희생자 정보
■ 이름 : 박팔규
■ 생년월일 : 모름
■ 사망일시 : 당시 27세
■ 성별 : 남
■ 결혼여부 : 기혼
■ 주소 : 경남 함양군 수동면 치라골
■ 직업 / 경력 : 농업

(이 기사는 증언자의 구술을 그대로 살리고자 방언을 사용했습니다. 구술 내용 중 날짜, 나이, 숫자 등에는 구술자의 기억의 외곡이 있을 수 있으며 전체 내용 또한 증언자의 기억을 바탕으로 기록됐습니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함양뉴스 (하회영)에도 실렸습니다.


태그:#함양 민간인희생자 유족의 기억을 기록하다 ⑤, #박일규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바른언론 젊은신문 함양의 대표지역신문 주간함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