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거제시 상문동 상동2지구 공동주택(1314세대) 공사가 중단된 모습. @사진= 옥정훈 기자
 거제시 상문동 상동2지구 공동주택(1314세대) 공사가 중단된 모습. @사진= 옥정훈 기자
ⓒ 거제신문

관련사진보기


경남 거제지역 아파트 분양시장이 고전을 면치 못하고 있다.

지난 14일 1순위 청약을 진행한 '아주동 오션월드메르디앙더리치먼드'(이하 월드메르디앙)가 221세대 중 단 1세대만이 접수했다. 특별공급 신청도 1세대만 접수해 총 2세대만이 신청하는데 그쳤다. 

이같은 청약률 부진은 거제지역의 높은 주택 보급률과 실수요자 급감이 원인으로 지목됐다. 

특히 건축비 인상에 따른 고분양가 인식이 크게 영향을 미친 것으로 해석된다. 전용 84㎡의 분양가는 최고 4억8210만원(발코니 확장비 포함)으로 2022년 8월에 분양한 '아주동 한신더휴'보다 5000만원 가량 높은 금액이며, 주변시세 대비 최소 2~3억원 높다.

한신더휴도 547세대 모집에서 1순위 청약이 미달됐다. 같은 시기에 분양한 장승포지역 거제유림노르웨이숲 디오션도 299세대 모집에 나섰으나 현재까지 미분양 상태다.

거제지역 미분양 단지는 ▲수양동 거제아이파크 1·2단지(108세대) ▲일운면 지세포코아루파크드림(154세대) ▲거제면 오션파크자이(15세대) ▲사등면 미래미라지(8세대) ▲연초면 거제일성유수안(79세대) ▲장승포 거제유림웨이숲 디오션(비공개) ▲아주동 한신더휴(비공개) 등 총 8단지다. 

건설사의 요청이 있으면 지자체가 개별 단지 미분양 정보를 비공개로 처리하기 때문에 개별 아파트 단지에 미분양 세대는 정확히 알 수 없다. 

하지만 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지난 9월 말 기준 거제시 미분양 물량은 919세대다. 이중 '악성 미분양'으로 불리는 준공 후 미분양 주택규모는 372세대로 집계됐다. 미분양 물량 중 40% 이상이 악성 미분양인 셈이다.
 
거제시 아주동 한신더휴 공사가 중단된 모습. @사진= 옥정훈 기자
 거제시 아주동 한신더휴 공사가 중단된 모습. @사진= 옥정훈 기자
ⓒ 거제신문

관련사진보기


거제는 2017년 2월 '주택 미분양관리지역'으로 지정돼 4년 10개월만인 2021년 12월에 해제됐지만 월드메르디앙 등 계속된 분양률 부진으로 다시 미분양 관리지역으로 지정될 위기에 놓였다.

이같은 상황에서 대단위 아파트 건설 인허가는 계속 늘어나고 있다.

옥포동 옛 대우조선사원아파트 부지(1963세대)가 사업 승인 절차 마무리 단계를 밟고 있으며, 고현항 항만재개발사업 3단지(659세대)가 인허가 신청 처리 중이다.

현재 주택건설사업 허가를 받은 뒤 미착수 중인 사업장 △일운면 지세포리 공동주택(501세대) △일운면 소동 에버화인(991세대) △고현주공아파트 주택재건축 정비사업(952세대) △상동2지구 공동주택(1314세대) △아주 내곡지구 공동주택(1151세대) △삼성중공업 게스트하우스(423세대) △수양지구 내 공동주택(632세대) △ 삼성중공업 사원아파트 부지(1162세대) 등 총 8곳으로 7126세대에 달한다. 합산하면 향후 거제시에 분양 대기 중인 물량만 9748세대다.

여기다 인허가를 신청준비 중인 건설사도 다수인 것으로 알려졌다. 문제는 연달아 분양 미달 사태가 발생하자 '소나기는 피하고 보자'는 식의 장기적인 미착공·미분양 사업장이 늘어난 것이다.

건축자재비와 인건비가 인상된 마당에 선뜻 착공·분양했다가 분양률이 저조하면 금융비용 증가와 아파트 브랜드가치마저 떨어져 회생할 수 없는 지경까지 갈 수 있다는 업계의 판단도 착공을 미루는 한 원인으로 지목된다.

하지만 특별한 제재 수단이 없어 터만 닦아놓고 착공을 미루는 사업장이 우후죽순 격으로 생겨날 수 있다. 

이로 인한 도심 미관 저해는 물론 생활불편과 야간 안전사고 위험·우범지대화 등의 우려를 낳고 있다.

이미 상동2지구 공동주택은 터만 닦고 공사가 중단된 상태며, 아주동 한신더휴는 저조한 분양률 탓에 공사가 사실상 중단됐다. 

이에 한신더휴 시공사 관계자는 "공사중단은 아니며 분양취소 후 내년 상반기 재분양을 진행한다는 계획이다"고 밝혔다.

상동2지구 관계자도 "착공은 했으나 분양이 저조할 경우 사업이 실패할 수도 있다는 우려가 있어 분양일정을 조율 중"이라고 전했다.

시 건축과 관계자는 "공동주택 인허가와 분양 시기 조정 등에 관해 아직까지는 별다른 계획이 없다"고 말했다.

한편 미분양 물량이 많은 지자체를 중심으로 주택 시장이 안정될 때까지 주택건설계획 승인을 보류하거나 공급 속도를 조절하는 인허가 행정을 펼치기도 한다.

덧붙이는 글 | 이 기사는 거제신문에도 실렸습니다.


태그:#거제미분양아파트, #미분양관리지역, #거제아파트, #미분양사태속출, #거제아파트공사포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단체회원으로 경남 거제시의 전반적인 현황 및 사건사고 등을 알리고자 함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