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10월 26일 열린 울산시 울산형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 토론회(포럼)
 10월 26일 열린 울산시 울산형 도심항공교통(UAM) 산업 육성 토론회(포럼)
ⓒ 울산시 사진DB

관련사진보기


국토교통부가 총 1007억 원을 투입해 오는 2024년부터 3개 분야, 7개 핵심기술 개발에 착수해 2026년 완료하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연구성과물에 대한 통합실증을 울산에서 실시한다.

K-UAM은 지난 8월 예비타당성 조사를 통과한 바 있다. 앞서 울산시는 지난해 6월 국토부가 주관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연구개발(R&D) 통합 실증 성능시험장(테스트베드) 입지 공모'에 참여해 도심항공교통(UAM) 실증의 최적지로 선정된 바 있다.

11월 20일 'R&D예타로(路)'(국가과학기술지식정보서비스/www.ntis.go.kr)에 공개된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운용체계 핵심기술개발사업'의 예비타당성 조사보고서에 이같이 결정됐다.

이번 국토부 예비타당성 조사사업은, 국내에서 추진하는 대표적인 도심항공교통(UAM) 분야 국책 사업으로, 유일한 예비타당성 조사 통과 사업이자, 향후 UAM 운용에 필요한 교통관리, 인프라, 인증기준·제도를 마련하는 데 큰 기틀을 마련하게 되는 중요한 사업이다.

이 사업의 연구성과물에 대한 후속사업의 통합실증은 오는 2027년부터 울산에서 진행되며 세부계획은 사업추진과정에서 울산시와 국토부간의 지속적인 소통과 협력을 통해 마련될 예정이다.

특히 예타 후속사업이 시행되면 개발이 완료된 기술 실증에 필요한 기체와 이착륙장(버티포트), 지상지원, 교통관리・운항관리・공역관리・항로관제 체계(시스템), 디지털복제(디지털트윈) 등 모든 기반(인프라)이 울산에 집적돼 울산이 도심항공교통(UAM)의 선도도시로 입지를 굳힐 것으로 울산시는 기대하고 있다.

울산시는 "국토부 예타 후속사업의 실증연구지로 울산이 선정되는 성과가 있기까지는 안효대 경제부시장 등 울산시의 중앙부처 방문과 협의 및 지역 정치권 등과 협력해 노력한 결과물이다"라며 "통합실증연구가 도심항공교통(UAM) 관련 산업의 육성과 미래이동수단(모빌리티) 사업 전환에 기여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한편 K-UAM 3개 분야는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항행・교통기술,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이착륙장(버티포트) 운용・지원 기술, ▲한국형 도심항공교통(K-UAM) 안전인증・통합실증 기술이다.

주요 핵심기술로는 ▲도심항공교통(UAM) 비행절차 및 회랑설계 자동화 기술개발, ▲도심항공교통(UAM) 운항공역 감시 기술개발, ▲실시간 운항정보 기반 도심항공교통(UAM) 교통관리 및 운항 관리 자동화 기술개발, ▲도심항공교통(UAM) 운항지원을 위한 기상관측 및 예측 기술개발이다.

또 ▲이동형(비상상황용)・조립식(모듈형) 이착륙장(버티포트) 설계 및 운용 인프라 건설 기술개발, ▲이착륙장(버티포트)네트워크 기술 표준화를 통한 통합 운용시스템 및 검증 시뮬레이션 기술개발 ▲전기동력수직이착륙(eVTOL) 항공기 시범인증(적합성 입증)을 통한 도심항공교통(UAM) 항공기 인증 체계 개발 등 7개 기술개발이 진행된다.

태그:#KUAM, #실증울산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울산지역 일간지 노조위원장을 지냄. 2005년 인터넷신문 <시사울산> 창간과 동시에 <오마이뉴스> 시민기자 활동 시작.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