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토론회 전경
 토론회 전경
ⓒ 성남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기사수정 : 15일 오전 9시 14분]

성남환경운동연합과 경기환경운동연합은 12일 오후 3시 경기 성남시의회 세미나실에서 분당복합화력발전소 현대화 사업 대응방향 마련을 위한 전략토론회를 개최했다. '30년 노후가스발전소 1GW 규모 증설 문제 없나?'라는 제목으로 진행된 토론회에는 약 70명의 지역 주민이 참석했다.

토론은 임장혁 기후솔루션 연구원의 발제로 시작됐다. 발제 제목은 '2023년 노후가스발전소 퇴출'이었다. 가스발전소는 2021년 기준 설비기준으로 31.1%인데, 가장 많은 에너지공급원인 화력발전소보다 설비규모가 크다고 강조했다.

문제는 가스발전은 친환경이 아니라는 것. 천연가스의 경우 메탄이 주 성분으로 이산화탄소에 비해 100년 기준 28배 높고, 20년 기준 80배 높은 기후변화 물질이기 때문에 친환경에너지가 될 수 없다는 주장이다. 더불어 가스발전의 생산주기 온실가스 배출량 비중을 살펴보면 단위발전량당 온실가스 배출량은 석당발전소 배출량인 887gco2e/kwh의 약 78% 수준으로 낮지 않다. 

더욱이 가스발전의 경우 국제에너지가격이 급변하면서 안정적이지 않고 비싼 에너지가 되면서 경제적이지도 않으므로, 발전할수록 적자가 발생하는 에너지라고 임 연구원은 지적했다. 결국 한국에 진정한 에너지 안보를 위해서는 가스가 아닌 재생에너지로의 전환이 필요하다는 뜻이다.

임 연구원은 가스발전소의 경우 퇴출이 필요하며, 늦어도 2023년까지 완전히 퇴출돼야 기후변화협약에서 약속한 지구온도 1.5도를 지킬 수 있다고 힘주어 말했다. 특히 성남에 있는 반당 1호기와 2호기는 각각 전국 발전소 퇴출 순위 11위와 17위를 차지하고 있어 증설이 아니라 퇴출이 필요한 발전소라고 평가했다.
     
이어서 필자가 대전 LNG 발전소 건립을 대응 사례를 발표했다. 대전의 경우 전력자립도가 낮은 상황에서 대규모 발전소를 두 번에 걸쳐 추진해 지역사회의 화두가 됐다. 평촌산업단지 LNG발전소 사업추진 과정 중에 주민과 시의회 시민사회가 같이 활동하면서 3개월만에 백지화를 이끌어 냈다. 주민설명회를 무산시키며 똘똘 뭉쳐 싸웠으며, 환경단체가 논거를 제공하면서 협력이 가능했다. 시의회의 적극적인 반대가 힘이 되어 무산시킬 수 있었다.

대전열병합발전소가 복합발전으로 495MW 확장하는 사례 역시 성남과 비슷한 조건을 가지고 있다. 노후화를 개선하면서 규모를 키우는 과정이 같다. 이 사례 역시 주민과 정치세력 등이 함께 반대의 목소리를 내면서 현재 중단된 상태다. 성남 역시 주민이 갈라지지 않은 채 함께 싸워서 승리할 것을 당부드리며 필자의 발제를 마쳤다.

이후 이희예 성남환경운동연합 사무처장, 이정필 에너지기후정책연구소 소장, 박선영 분당동 주택단지주민발전위원회 회장이 지정토론을 이어갔다.

방청객으로 참여한 주민들은 퇴출을 위한 구체화된 내용을 들을 수 있어 힘이 난다고 부연하면서 지역간의 연대를 할 수 있도록 할 수 있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가스발전 관련 전국 연대체를 꾸려 볼 것을 제안하는 의견도 있었다.

방청객으로 참여한 주민들은 분당복합화력발전소가 증설이 아닌 퇴출해야 한다며 피케팅을 진행하기도 했다.
 
토론회 진행모습
 토론회 진행모습
ⓒ 성남환경운동연합

관련사진보기


태그:#대전환경운동연합, #성남환경운동연합, #노후가스발전
댓글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날로 파괴되어지는 강산을 보며 눈물만 흘리고 계시지 않으신가요? 자연을 위한 활동이 필요하시면 연락주세요! 대전환경운동연합 회원이 되시면 함께 눈물을 흘리고 치유 받을 수 있습니다. 회원가입하기! https://online.mrm.or.kr/FZeRvcn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