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뉴 건너뛰기

close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열세 번째, 다시 대한민국! 울산과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민생토론에는 토지 규제 개선과 관련한 정부 부처의 합동 보고와 참여자들의 토론이 있었다.
▲ 윤석열 대통령, 토지규제 개선 민생토론회 발언 윤석열 대통령이 21일 울산시 울주군 울산전시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민과 함께하는 민생토론회-열세 번째, 다시 대한민국! 울산과 대한민국의 새로운 도약'에서 발언하고 있다. 이날 민생토론에는 토지 규제 개선과 관련한 정부 부처의 합동 보고와 참여자들의 토론이 있었다.
ⓒ 대통령실

관련사진보기

  
윤석열 대통령의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23일 한국갤럽 2월 4주차 조사에서 34%로 집계됐다. 전주 조사 대비 1%p 오른 결과다. 국정수행을 잘못하고 있다는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변화 없는 58%로 집계됐다. 이번 조사에서 집계된 국정수행 긍·부정평가 사유 등을 보면,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추진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풀이된다.

한국갤럽은 지난 20~22일 전국 만 18세 이상 1003명(총 통화 6490명, 응답률 15.5%)에게 무선 100% 전화조사원 인터뷰 방식으로 윤 대통령 국정수행 긍·부정평가 여부 등을 물었다(오차범위는 95% 신뢰수준에 ±3.1%p).

지역별로는 부산·울산·경남(6%p▲, 42%→48%, 부정평가 47%)과 인천·경기(4%p▲, 28%→32%, 부정평가 60%)의 긍정평가가 상승했다. 반면, 서울(3%p▼, 33%→30%, 부정평가 58%)과 대전·세종·충청(2%p▼, 39%→37%, 부정평가 57%), 광주·전라(3%p▼, 11%→9%, 부정평가 87%)에서 긍정평가가 하락했다. 대구·경북(5%p▼, 50%→45%, 부정평가 46%)의 긍정평가 하락 폭이 가장 컸다.

연령별로는 60대(8%p▲, 48%→56%, 부정평가 38%)의 긍정평가 상승 폭이 가장 컸다. 또한 30대(6%p▲, 15%→21%, 부정평가 71%), 70대 이상(3%p▲, 62%→65%, 부정평가 29%), 40대(2%p▲, 18%→20%, 부정평가 71%)에서 최소 2%p, 최대 6%p씩 대통령 국정수행 긍정평가가 올랐다. 50대(7%p▼, 34%→27%, 부정평가 69%)와 18·19세 포함 20대(2%p▼, 23%→21%, 부정평가 64%)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하락했다. 특히 20대의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11%p 오른 결과였다.

여당 지지층은 강하게 결집하는 흐름이었다. 국민의힘 지지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8%p 오른 80%, 부정평가는 전주 대비 9%p 하락한 14%로 나타났다. 다만, 이념성향별 보수층의 변화는 적었다. 보수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1%p 내린 61%, 부정평가는 변화 없는 34%였다.

지지정당이 없는 무당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1%p 내린 13%, 부정평가는 1%p 오른 66%로 집계됐다. 이념성향별 중도층의 긍정평가는 전주 대비 3%p 오른 27%, 부정평가는 2%p 내린 62%로 나타났다.

의대정원확대·보건의료정책 등 긍정평가 사유로 부각
  
정부가 의대정원을 2000명 늘리는 증원안을 발표한 가운데,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 로비에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정원 증원을 규탄하는 피켓이 놓여 있다.
 정부가 의대정원을 2000명 늘리는 증원안을 발표한 가운데, 21일 오후 서울 용산구 대한의사협회 회관 로비에 정부의 일방적인 의대정원 증원을 규탄하는 피켓이 놓여 있다.
ⓒ 유성호

관련사진보기

 
한국갤럽이 이번 조사에서 대통령 국정수행 긍·부정평가자들에게 자유응답으로 평가 사유를 조사한 결과를 살펴보면, 의대 정원 확대에 대한 긍정적 평가가 조사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높다.

'의대 정원 확대'(9%)를 긍정평가 사유로 꼽은 응답비중이 전주 대비 7%p 늘어난 9%로 '외교'(17%)에 이어 두 번째 긍정평가 사유로 꼽혔다. 또한 '보건의료정책'(4%)을 긍정평가 사유로 꼽은 응답도 이번 조사에서 새로 등장했다.

다만 대통령경호처가 지난 16일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위수여식에서 정부의 R&D예산 삭감을 비판하는 졸업생의 입을 틀어막는 과잉경호 논란 등에 대한 부정적 평가도 일부 확인됐다. 부정평가 사유 중 '독단적/일방적'(12%)을 거론한 응답이 전주 대비 6%p 늘어나서 부정평가 사유 2순위로 꼽혔다. '김건희 여사 문제'(3%)를 부정평가 사유로 거론한 응답 비중은 전주 대비 4%p 하락한 3%였다.

자세한 조사개요와 결과는 한국갤럽 및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태그:#윤석열대통령, #한국갤럽, #국정지지율, #의대정원확대, #여론조사
댓글3
이 기사가 마음에 드시나요? 좋은기사 원고료로 응원하세요
원고료로 응원하기


독자의견

연도별 콘텐츠 보기